84m2 공급면적 - 84m2 gong-geubmyeonjeog

84m2 몇 평? 전용면적을 평수로 환산하는 방법


반갑습니다.
부동산 관련 지식들을 부린이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부동산 관련 정보들만 다루는 부동산 전문 블로그를
운영중인 부동산은 모르면 손해다. 라고 합니다.

오늘은 전용면적을 평 수로 환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표적으로 가장 많이들 궁금해하시는 전용면적은
84m2이죠.

평 수로 환산하는 방법을 알아보기 전에 간단하게
전용면적과 분양면적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고 갑시다.

아파트를 분양으로 계약하실때 분양계약서를 보면
분양면적 혹은 공급면적, 계약면적 등
용어가 되게 다양하게 있다는걸 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하나하나 차례로 설명드릴게요.

첫번째. 계약면적 입니다.
계약면적은 자신이 계약하는 아파트에서 서비스 받는

모든 면적을 계약면적이라 합니다.

지하주차장의 세대별 면적도 포함되구요.
엘리베이터, 복도, 계단 등 계약하는 아파트에 서비스
받는 모든 면적을 포함한게 계약면적 입니다.

계약면적이 면적 중에 가장 크다고 할 수 있겠구요.

두번째. 공용면적
공용면적은 지하주차장 세대별 면적을 제외한

주거에 필요한 서비스공간을 공용면적이라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주거에 필요한 면적..
당연히 집에 들어가려면 메인 로비나 엘리베이터가
필요하죠?

이런 면적들은 공용면적 입니다.

세번째. 전용면적

전용면적은 자신이 주거하는 집.

자기 집의 면적만을 가지고 얘기하는게 전용면적이죠.

분양계약서에 표시를 34평형이라 해놨다고 해서
자신의 집이 34평인게 아닙니다.

실제 주거면적은 그에 못 미치는 20평대고 나머지는
위에서 언급한 공용면적, 계약면적을 전용면적과
합쳐서 34평형 이라고 하는 것이죠.

이해가 되시죠?
간단하게 34평형이라 해도 자신이 사는 집은 34평형이
아니다. 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자 이제 전용면적. 84m2, 74m2, 112m2, 144m2 등
다음과 같은 전용 면적들을 평 수로 환산하는 방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숫자에 0.3을 곱합니다.
원래 0.30124 어쩌고 인데 소수점은 무시하고 0.3만
곱해도 대략적인 산출이 가능합니다.

84m2 X 0.3 = 25.2평

84m2

전용면적은 25.2평이 되네요.

나머지 공용면적과 계약면적은 분양하는 아파트마다
다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계약면적의 평 수를 구하는데는
어려움이 있구요.

보통 아파트들이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평형대를
만들기 때문에 통상 전용면적이 84m2이면 평 형도
대충 이정도 만드는 그 기준이 있습니다.

그 기준에 대해서 알려드리고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전용면적이 74m2이면 보통 29평형이나
30평형으로 만들고전용면적이 84m2이면 보통 33평형이나 34평형으로
만듭니다.

그리고

112m2가 전용면적이면 39평형,
이나 40~41평형
까지 만들죠.

이렇게 대략적인 평형을 만드는 기준이 있으니
어디 아파트에 84m2을 분양한다.

그럼 대충 아. 32~34평형대구나.라고 생각하면 되겠죠,

한가지 TMI 정보를 알려드리자면
33평형이나 34평형의 전용면적을 보통 84.987m2
84.984m2 이런식으로 만들잖아요?

왜 그럴까요?

농어촌특별세, 즉 농특세 때문에 전용면적을 85m2
미만으로 만드는 겁니다.

전용면적이 85m2를 초과하면

농특세 문제도 그렇고
면세사업자가 취득시 부가가치세도 발생하기 때문에

85m2이하로 만든다고 84.98m2 이런식으로
전용면적을 뽑아내는 겁니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 작성하겠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부동산 정보와 꿀팁들을 공유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아직은 평수가 많이 익숙하신 분들에게는 제곱미터로 면적을 표현하는 것이 어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부터는 제곱미터로 표현하는 것이 표준화가 되었기 때문에 자주 접하셔서 익숙하셔야 하는데요. 그중에서 아파트 84m2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선호하는 평수 중에 하나입니다. 과연 몇 평이나 될까요.

공급 면적 84m2는 몇 평?

결론은 32~36평 정도 나옵니다. 공급 면적은 내가 발로 밟는 개인 공간뿐만 아니라 다른 입주자와 함께 사용하는 공간을 전부 포함한 실제 내가 가질 수 있는 모든 면적을 얘기하는데요. 그러다 보니 실제로 분양 사무실에 가서 공급 면적이 84m2라고 설명을 들으면, 실제로 내 개인 공간의 면적은 60m2, 즉 18평 정도가 되는구나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신혼부부가 살기에 좋은 평수입니다.

공급 면적이란?

> 전용 면적 + 주거 공용면적

주거 공용면적은 다른 입주자와 함께 사용하는 공간으로, 집 앞 복도, 엘리베이터, 계단, 비상구 등이 있습니다.

전용 면적 84m2는 몇 평?

결론은 내 개인 공간의 면적이 33~34평 정도 나옵니다. 그러면 실제로 공급 면적은 44~48평 정도 나올 것입니다. 생각보다 공용으로 사용되는 면적들이 너무나도 많죠. 굳이 공급 면적을 얘기하는 이유는 이 자체가 아파트의 여유로운 공간이 어느 정도 되는지 알 수 있는 척도가 됩니다. 

  • 의외로 복도가 좁은 아파트가 많습니다.

전용 면적이란?

> 공급 면적 - 주거 공용면적

방, 거실, 주방, 화장실 등 아파트 현관문을 통과한 실제 내 개인 공간을 얘기합니다.

3기 신도시 사전청약 시작

> 일정 : 2021년 7월 28일 10시부터 8월 3일 17시까지

3기 신도시에 대한 1차 사전청약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정부가 추진 중인 공공주택인데요. 수도권 내에서 주거문제로 경쟁이 워낙 치열해지다 보니 주거 안정을 위해 3기 신도시가 출범하게 되었습니다. 공공분양과 신혼 희망타운 2가지에 대해서 청약신청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차 사전청약 지구

인천 계양, 남양주 진접 2, 성남 복정 1, 의와 청계 2, 위례 지역

[관련 글]

보조금24 홈페이지 이용방법(나의 혜택 찾기)

휴면예금 찾아줌 숨은 내돈 알아보자

폐가전제품 무상 방문 수거 서비스 신청방법

잡학다식 / / 2022. 6. 22. 22:29

부동산 시장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평면은 33~35평으로 '국민평수'라고 불립니다. 이는 3~4인 가족이 생활하기에 너무 크지도, 너무 작지도 않은 크기이기 때문에 아파트 매매에서도 분양시장 청약에서도 가장 인기가 높습니다. 그런데 2007년 7월부터 비법정 계량단위의 사용이 전면 금지되어 '평'이라는 단위 대신 제곱미터(m2)를 공식적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기 시작했습니다.

부동산 청약 첫 걸음, 얼마나 큰 집을 원하는가?

공간의 크기는 집이나 차를 고를 때에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청약 모집공고문에 나오는 84m2, 59m2 등의 크기가 대략 얼마인지 알아야 합니다.
평(坪)은 우리나라가 옛부터 토지 혹은 집의 규모를 말할때 사용하는 단위였습니다. 성인이 두팔과 다리를 벌리고 대(大)자로 누웠을 때의 면적을 말하는데 오늘날의 미터단위로는 가로세로 1.82m의 정육면체의 면적정도가 됩니다. 그래서 1평은 대략 3.3m2 정도입니다.

3.3m2 ≒ 1평

이에 따라 주택청약 공고문에서 자주 보이는 평면 면적을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102m2 = 약 31평
84m2 = 약 25평
74m2 = 약 22평
59m2 = 약 18평
49m2 = 약 15평
39m2 = 약 11평
29m2 = 약 9평


그런데 부동산 관련 컨텐츠, 블로그, 홍보물에서는 제곱미터(m2)대신 타입(Type)이라는 말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는 아파트의 평면은 어디나 비슷하지만 면적에서는 조금씩 차이가 있기 때문에 타입(Type)이라는 말을 편의상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102m2 = 약 31평 = 102타입
84m2 = 약 25평(py*) = 84타입
74m2 = 약 22평(py) = 74타입
59m2 = 약 18평(py) = 59타입
49m2 = 약 15평(py) = 49타입
39m2 = 약 11평(py) = 39타입
29m2 = 약 9평(py) = 29타입

*평 단위를 영어로 Py라고 표기하기도 합니다. 이는 법정계량단위가 바뀌면서 '평'이라고 표기하면 단속에 걸리기 때문에 영어로 Py라고 써서 단속을 피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같은 단지라고 하더라도 84A, 84B 등으로 분류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단지 배치에 따라 거실을 최대한 남향으로 하기위해 평면구성을 조금씩 달리 했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기 위해서라고 보시면 됩니다.

국민평수에 청약을 넣으려면 102타입을 선택하면 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안됩니다. 청약시장을 유심히 관찰하신 분들이라면 사람들은 84타입을 훨씬 선호합니다. 그 이유는 84타입이 바로 국민평수인 32평 주택이기 때문입니다. 도대체 왜 그런지는 청약 공고문의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의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청약홈의 입주자모집공고 정보를 보면 주택형과 주택공급면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택형 84타입의 공급면적은 110.4m2라고 나옵니다. 여기서 주택형이란 전용면적을 의미합니다.

주택 공급면적 = 주거전용면적 + 주거공용면적

주거전용면적 = 주거의 용도로만 쓰이는 면적(거실, 방, 주방, 화장실 등. 단, 발코니 면적은 제외)

주거공용면적 = 다른세대와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계단, 복도, 엘리베이터 홀 등)


우리가 흔히 33평이라 부르는 아파트는 주거전용면적이 아니라 공급면적을 부르는 것입니다. 그래서 타입으로 이야기할 때는 84타입이 국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아파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관련 게시물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