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늘 도둑 이 소도둑 된다 - baneul dodug i sododug doenda

바늘 도둑이 소 도둑 된다

작은 도둑이라도 진작 그것을 고치지 않으면 장차 큰 도둑이 된다는 뜻

바늘 도둑이 소 도둑 된다

작은 도둑이라도 진작 그것을 고치지 않으면 장차 큰 도둑이 된다는 뜻

처음에 저지른 잘못이 아무리 작다고 해도

그냥 웃어넘기면 안됩니다.

설득의 방법에도 문간에 발들여 놓기 기법이 있지요??

작은 잘못이 큰 잘못으로 가기 위한 계단으로 생각한다면

매사에 행동을 조심해야 겠습니다.~!

오늘 그린 속담이야기에서

강아지가 처음엔 자기 먹이를 훔쳐가자

그냥 귀여워서 웃었던 까실이..

하지만 닭백숙을 훔쳐가니깐 당황해서 쫓아가네욬ㅋㅋㅋㅋ

코로나19에 가장 크게 영향받은 분야 중 하나가 교육이다. 인터넷을 통한 비대면 수업이 대폭 늘어났고 시험까지 온라인으로 치러지기도 한다. 감독관 없이 진행되는 재택 온라인 시험은 필연적으로 부정행위에 대한 유혹을 키운다. 이미 우리나라 대학 몇 곳에서 집단 부정행위가 적발됐다. 최근에는 미국 육군사관학교 생도 수십 명이 미적분 시험에서 답안을 공유했다는 사실이 보도되기도 했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의 막냇동생이며 존경받는 정치인이었던 테드 케네디 상원의원도 학생 시절 저지른 부정행위 때문에 평생 곤욕을 치렀다.

감독관 없는 재택 온라인 시험 #필연적으로 부정행위 유혹 키워 #작은 점수 차를 다르게 평가하니 #부정의 유혹에 빠지는건 아닐까

1951년, 하버드 대학 1학년이던 케네디 의원은 친구에게 스페인어 시험을 대신 보게 했다가 들통나 퇴학 처분을 받았다. 그는 2년 동안 군 복무를 한 후에야 다시 입학할 수 있었다. 졸업 후 버지니아 법대에 지원했는데, 부정행위 전력 때문에 반대가 심해 교수 모두가 참여한 찬반 투표 끝에 겨우 입학 승인을 받았다고 한다. 젊은 상원의원으로 맹활약하던 그가 1980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 뛰어들어 현직 대통령이던 지미 카터와 치열한 경쟁을 벌일 때도 부정행위로 퇴학당했던 사실이 계속 발목을 잡았다.

물론 케네디 의원만 부정행위를 한 것은 아니다. 미국의사협회 소속 드위트 볼드윈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1991년에 발표한 연구가 있다. 이들은 미국 31개 의대에 재학 중이던 2학년 학생 3975명에게 부정행위에 대한 설문을 보냈고, 이에 응한 2459명의 회신을 분석했다. 이들 중 무려 39%가 남의 답안을 베끼거나 먼저 시험을 치른 친구에게 문제를 물어보는 등의 부정행위를 목격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다만 스스로 부정행위를 한 적이 있냐는 질문에는 4.7%의 학생들만이 그렇다고 인정했다. 물론 이 수치는 실제보다 낮을 가능성이 있다. 당연히 의대생만 부정행위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연구팀이 여러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발표한 적이 있는데, 부정행위를 한 적이 있다고 인정한 비율은 의대생들에서 가장 낮았다.

사정이 있어 시험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해 한번 실수한 것일 수 있으니 그냥 너그럽게 봐주면 어떨까? 그렇지만 부정행위로 적발된 학생들의 상당수가 이전에 부정행위를 한 전력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 한번 실수가 아닌 경우가 많다는 뜻이다. 더구나 잘못된 행동의 영향은 오래간다.

의학노트 1/8

미국 UCSF 의대 맥신 파파다키스 교수팀은 혹시 의사가 된 후의 일탈이 의대생 시절에 보여준 모습과 연관되어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발표한 적이 있다. 연구팀은 우선 1970년 이후 미시간 의대, 토머스 제퍼슨 의대, UCSF 의대를 졸업한 의사들 중 1990년에서 2003년 사이에 의사협회의 징계를 받은 적이 있는 235명을 확인했다. 징계사유 중 가장 흔한 것은 약물이나 알코올 중독으로 환자에게 위험을 초래한 경우였다. 그 외 범죄행위에 연루된 경우, 최소한의 적절한 진료도 하지 못한 경우, 보험회사에 부당하게 진료비용을 청구한 경우 등도 있었다.

파파다키스 교수팀은 이들 235명과 비슷한 시기에 같은 학교를 졸업했지만 의사가 된 후 징계받은 적이 없는 469명을 뽑아서 학부 성적, 의대 입학시험 점수, 유급 여부, 의대 성적, 의사시험 점수는 물론 각종 평가기술서와 학장 추천서 등을 세세히 검토하여 비교했다. 징계를 받은 적이 있는 의사들의 의대 입학시험 점수가 다른 의사들보다 낮았고, 유급한 적도 더 많았지만, 가장 크게 차이가 난 것은 의대 재학 중의 행동이었다. 의대생 시절 부적절하게 행동했던 사람들의 비율이 징계 경력이 있는 의사들에서 세 배나 높았다. 특히 임상 실습에 무단으로 빠지거나 주어진 임무를 완수하지 않았던 사람들은 무려 여덟 배나 흔했다. 이렇게 간단한 연구가 자타가 공인하는 최고 의학 학술지인 ‘뉴 잉글랜드 의학저널’에 출판되었다는 것은 이 연구 결과의 함의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이렇게 바늘 도둑이 소도둑 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니 부정행위는 그냥 웃어넘길 일이 결코 아니다. 그렇지만, 우리 사회가 아주 작은 점수 차이를 근거로 너무 다르게 평가하여 학생들을 부정행위의 유혹에 취약하게 만드는 것은 아닌지 한번 돌아보아야 한다. 시험 점수와 진짜 실력이 꼭 비례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우리 모두가 잘 알고 있지 않은가. 

바늘을 훔치던 사람이 계속 반복하다 보면 결국은 소까지도 훔친다는 뜻으로, 작은 나쁜 짓도 자꾸 하게 되면 큰 죄를 저지르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소 #사람 #결국 #반복 #도둑 #바늘 #짓 #죄

  • 쇠코에 경 읽기 : 소의 코에 대고 경을 읽어 봐야 단 한 마디도 알아듣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하거나 효과가 없는 경우를 이르는 말.
  • 말 귀에 염불 : 소의 코에 대고 경을 읽어 봐야 단 한 마디도 알아듣지 못한다는 뜻으로, 아무리 가르치고 일러 주어도 알아듣지 못하거나 효과가 없는 경우를 이르는 말.
  • 대소한에 소 대가리가 얼어 터진다 : 살아 있는 소의 대가리가 얼어서 터질 만큼 소한과 대한의 추위가 몹시 지독하다는 말.
  • 덕은 덕으로 대하고 원쑤는 원쑤로 대하라 : 자기를 좋게 대하는 사람에 대해서는 선의로 대하고 자기를 해치려는 원수에 대해서는 원수로 대하여야 한다는 말.
  • 던져 마름쇠 : 마름쇠는 누구나 던지면 틀림없이 꽂히고 한쪽은 위로 솟는 데서, 어떤 일에 별로 숙달되지 않은 사람도 실수 없이 능히 할 수 있는 일인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대중은 말없는 스승이다 : 평범한 사람으로부터 창조적 지혜와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배우게 된다는 말.
  • 도깨비 땅 마련하듯 : 무엇을 하기는 하나 결국 아무 실속 없이 헛된 일만 하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끼로 제 발등 찍는다 : 남을 해칠 요량으로 한 것이 결국은 자기에게 해롭게 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제 언치 뜯는 말이라 : 자기 언치를 뜯으면 장차 자기 등이 시리게 된다는 뜻으로, 친척이나 동기를 해치는 것은 결국 자기를 해치는 것과 같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사돈 밤 바래기 : 사돈은 어려운 손님이므로 밤이 늦었다 하여 바래다주면 이번에는 저편에서 또 바래다주고 하다가 날이 밝는다는 뜻으로, 자꾸 반복하여 끝이 없음을 이르는 말.
  • 부지런한 것도 반복은 된다 : 부지런한 것이 행복한 생활을 이루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말.
  • 찰떡도 한두 끼 : 좋은 것도 한두 번이지 여러 번 반복되면 싫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둑개가 겻섬에 오른다 :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할 때에는 그 동작이 매우 재빠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둑개 살 안 찐다 : 늘 남의 것을 탐하는 자는 재물을 모으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둑놈 볼기짝 같다 : 도둑이 관가에 잡혀가 볼기를 맞아서 멍이 든 것과 같다는 뜻으로, 얼굴 빛깔이 시푸르죽죽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오늘은 바늘도둑이 소도둑된다는 속담의 깊은 의미까지 분석을 해보려고 합니다. '바늘도둑이 소도둑된다'라는 속담은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만큼 자주 쓰이는 속담입니다. 바로 알아봅시다.

 

'바늘도둑이 소도둑된다'는 속담의 의미

바늘도둑이 소도둑된다는 속담의 의미는 간단히 해석하자면 한번 나쁜 일을 시작하면 더 나쁜 일을 시작하게 된다는 겁니다.

 

표면적으로 분석하면 이러한 속담이 됩니다. 분석을 해보면 이 속담이 주려는 의미는 위에서 말했듯이 나쁜 일을 시작하면 더 커지니, 나쁜 버릇은 빨리 손 떼라는 겁니다.

 

 

이렇게, 조상들이 만든 이 '바늘도둑이 소도둑된다'는 속담은 일상에서 보는 등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러한 속담을 만들어서 이렇게 될 수 있으니 나쁜 버릇은 빨리 손 떼라는 깊은 의미를 주고 있습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