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 쏘였을때 병원 - beol ssoyeoss-eulttae byeong-won

벌에 쏘였을 때 대처법, 병원 어디가하나?

야회할동이 많아지는 계절이라 본의 아니게 벌에 쏘이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그럴때 어떻게해야하는지 누구나 당황하게 되죠. 저도 어릴때 가만히 서있다 벌에 쏘여본 경험이 있어 그 고통은 잘 알고 있습니다. 벌에 쏘였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그리고 병원은 어디를 가야하는지 정리해봤습니다. 

벌에 쏘였을 때 대처법

1. 일단 피부에 벌침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해야합니다.

2. 벌침이 있다면 신용카드 같은 것으로 밀어내면서 제거해야합니다.

*손이나 핀셋으로 제거하다가 벌의 독이 터져 독이 더 주입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신용카드로 밀어줍니다.

3. 벌에 쏘인 부위를 얼음찜질해줍니다. 얼음이 덜 아프게하고 독이 퍼지는걸 늦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4. 30분정도 알러지 반응이 있는지 살펴 봅니다.

5. 알러지 반응이 없다면 보통은 괜찮지만, 꼭 병원에가서 의사의 처방을 받아야합니다.

-

-

알러지반응이 있을때

알러지 반은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피부에 종창이나 두드러기, 호흡곤란, 저혈압과 쇼크증상, 구토,복통,설사등의 여러가지 증상들이 있습니다. 사람마다 증상이 다를 수 있습니다. 무조건 병원으로 가셔야합니다. 

말벌에 쏘였을때

그늘에 환자를 눕히고 기도를 확보하고 벨트나 단추는 풀어줍니다. 재빨리 119에 전화해야합니다.

벌에 쏘였을때 가는 병원

응급실과 피부과입니다. 일단 벌에 쏘이면 사람마다 반응이 다르기 때문에 처음으로 벌에 쏘인거라면 병원에 가셔야 합니다. 어떠한 알러지 반응이 나올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벌에 쏘이면 쏘인 부위가 붓고 가려우며, 심한 통증을 겪게 되는데, 호흡곤란, 오심, 구토,

어지럼증 등이 나타나거나 심하게 붓는 경우는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그런데

벌에 쏘였을 때 어느병원을 가야할까? 벌에 쏘였을 때 어느병원을 가야 하는지 살펴보기로

하자.

<벌에 쏘였을 때 병원>

벌에 쏘이고 증상이 심해 병원을 가야 할 경우는 119 응급구조서비스를 이용해 종합병원

응급실이나 대학병원 응급실을 가야 한다. 만약 인근에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이 없다면

의원급 병원인 피부과, 외과, 내과, 가정의학과 중에 가장 가까이 있는 병원으로 가면 된다.

<벌에 쏘였을 때 응급처치>

1. 벌침 제거

쏘인 부위에 벌침이 박혀있는지 확인하고 만약 벌침이 박혀있다면 핀셋이나 손톱 등으로

제거하지 말고 바늘이나 신용카드 등으로 긁어서 제거하도록 한다. 이 때 주의할 점은

벌침을 짜서 뽑으려고 하면 안된다. 왜냐하면 독액낭이 터져 독이 피부에 흡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2. 벌에 쏘인 부위 씻기

흐르는 물이나 비눗물로 벌에 쏘인 부위를 깨끗이 씻어준다.

3. 상처부위 소독하기

암모니아수 등 소독약을 이용해 깨끗하게 소독한다.

4. 얼음 찜질하기

얼음찜질이나 냉찜질로 통증과 부종을 완화시킨다.

5. 약물 치료하기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고, 칼라민 로션이나 스테로이드가 들어간 로션을 쏘인 부위에

발라 준다.

*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조금 붓는 정도라면 집에서 치료하면 되지만, 심하게

붓거나, 발진이나 두드러기가 나거나, 심하게 간지럽거나, 호흡이 곤란하거나, 마른

기침이 나거나, 청색증이 나타나거나, 오심과 구토가 있거나, 여러 곳에 쏘인 경우는

신속히 병원으로 가서 치료해야 한다.

<참고사항>

침을 쏘는 꿀벌에 쏘인 경우는 피부에 침이 박혀 있을 수 있지만, 침을 찌르는 말벌에

쏘인 경우는 대개 피부에 벌침이 박혀있지 않다.

과거에 곤충에 물려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난 사람은 야외 활동시 에피네프린

응급키트를 가지고 다니는 것이 좋으며, 벌은 냄새에 아주 민감하므로, 야외활동시는

벌이 좋아하는 향수나 강한 향의 화장품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끝.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