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일러 온도조절기 고장 원인 - boilleo ondojojeolgi gojang won-in

귀뚜라미 보일러를 사용 중인데, 온도조절기 운전 표시등에 대한 설명을 찾아봤다. 

에러 표시는 안 뜨는데 운전 램프 불 들어오는 게 보일러 고장인지 정상인지 궁금할 때 참고가 되면 좋겠다.

귀뚜라미 보일러 온도 조절기 운전 램프

귀뚜라미 보일러 A/S 문의 고객센터 전화번호 1588-9000

귀뚜라미 보일러 운전 램프 상태 의미

빨강색 점등: 점화되어 보일러 가동되고 있는 상태다. 보일러에 불꽃이 감지되고 물을 가열하고 보일러가 열일한다는 표시다. 가스와 전기가 소비된다. 가스요금 전기요금 둘다 든다.

초록색 점등: 보일러가 돌아가긴 하는데 점화되진 않은 상태다. 이미 데워진 물을 내부 혹은 외부로 순환 시킨다. 모터에 사용되는 전기만 소비된다. 전기세만 든다.

운전 램프 꺼짐 상태: 보일러 전원이 켜져 있는데 운전 램프가 꺼져있다면 보일러가 아무일도 하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실내 희망 설정 온도가 실제 온도보다 낮거나 예약 상태라 보일러가 열일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쉬고 있는 상태.

귀뚜라미 보일러 예약 설정 가동 정지 순서

기본적으로 귀뚜라미 보일러 예약모드를 설정하면 보일러가 돌아가고 나서 쉰다. 가동이 먼저 되도록 설정이 되어 있어서 예약가동 20분 예약정지 2시간 설정하면, 20분 먼저 돌고 2시간 쉬고, 20분 돌고 2시간 쉬고가 반복된다.

2시간 먼저 쉬고 20분 가동되는 것이 아니다.

보일러 온수만 안나올때 냉수 난방 되는데 온수배관 얼었을 때

보일러 온수만 안나올때 냉수 난방 되는데 온수배관 얼었을 때

수전을 중간으로 똑똑 틀어놔도 부족한 역대급 한파였나 보다. 다행히 드라이기로 금방 해결이 되었는데 이참에 정리해본 내용이다. 증상 난방 되고, 냉수 나오는데, 온수만 안나온다? 부엌 수

bluesauce.tistory.com

가정용 저전력 히터 모리타 카본히터 300W 지름 MNS-C30P

가정용 저전력 히터 모리타 카본히터 300W 지름 MNS-C30P

하.. 여름엔 에어컨 없음 죽겠고 겨울엔 온갖 보조난방기 구비하느라 바쁘다. 사계절 뚜렷한 거 단점 맞고요. 이번에 산건 가정용 카본히터다. 고르고 골랐다. 그럴 수 밖에!! 가정용 히터는 누��

bluesauce.tistory.com

전세 보일러 고장 수리 세입자 대처 집주인 원만하게 해결하기

전세 보일러 고장 수리 세입자 대처 집주인 원만하게 해결하기

보일러 고장이 많아지는 겨울철이다. 내집이라면 당장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방법으로 수리기사를 불러 수리하면 그만이지만, 전세집일 경우 이래저래 신경쓰이는 일이 많다. 우선 보일러 수리

bluesauce.tistory.com

마이파랑

보일러 작동이 갑자기 안될 때 실내온도조절기 점검

2018. 10. 8. 08:39

이제 아침녁에는 보일러를 틀어야 할 정도 날씨가 쌩콩하다. 10월초 날씨치곤 춥다. 올해 겨울을 뜨뜻하게 무탈하게 잘 보내려면 보일러점검을 잘 해줘야겠다. 얼마전까지 에어컨으로 난리를 쳤는데 에어컨 들어넣자마자 보일러 점검을 해야하다니! 사계절이 너무 뚜렸해서 살면서 준비할게 많다!

보일러 전원을 켰는데 전원이 먹통이다. 이 버튼, 저 버튼, 다이얼까지 다 돌려봐도 먹통이다. 사용법을 공부해야 할 것 같은 복잡스런 실내온도조절기가 먹통이라면 전원문제일것이다. 그래서 보일러본체 전원이 잘못되었나 봤더니 이상무.

그렇다면 이 실내온도조절기(FR-5) 자체의 문제일것이다. 그래서 실내온도조절기를 벽에서 분리했다. 분리방법은 엄청 간단하다. 벽 브라켓에 끼움방식이기 때문에 좌우로 살짝씩 흔들어주면서 위로 올려 빼면된다. 실내온도조절기에 이어진 선은 두가닥인데 이중에 하나가 빠져 있었던 것! 이게 군기가 빠져가지고! 나사에 선을 고정해 주었더니 작동된다.

가만히 있는 실내온도조절기의 선이 빠지는 일은 흔하지 않다. 하지만 벽지등을 새로 했다면 의심해 봐야한다. 벽지할때 벽에 붙어 있는 걸 죄다 떼고 하니까. 이번에도 이런 케이스다.

'마이파랑' Related Articles

보일러

보일러 고장시 처리방법

2013. 5. 12. 22:54

기름보일러 고장시 처리방법  

현 상

원 인

처리방법

1. 전원 코드선을 연결하여도 
모터가 회전하지 않는다

1. 보일러내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다
2. 실내온도조절기가 외출 
혹은 off로 설정되어 있다

1. 고장은 아니며 보일러 내부의
온도가 설정온도 보다 내려가면
재가동 된다
2. 실내온도 조절기를 운전상태로 
맞춘다

2. 모터는 회전하는데 점화가
되지 않는다

1. 기름탱크 밸브가 잠겨 
있다 
2. 기름탱크에 기름이 없다
3. 배관내에 공기가 들어있다
4. 기름여과기가 막혀 있다

1. 밸브를 연다
2. 기름을 보충한다
3. 공기빼기를 한다
4. 청소를 한다

3. 점화는 되나 바로 정지된다

1. 기름탱크에 기름이 부족
하다
2. 화염감지기(CdS)가 감지
못한다
3. 기름여과기가 막혀있다
4. 기름중에 불순물이 혼압
되어있다

1. 기름을 보충한다
2. 화염감지기(CdS)를 청소한다
3. 여과기를 청소한다
4. 양질의 기름으로 교체한다

4. 전자(기름)펌프에서 심한
소리가 난다

1. 기름여과기가 막혀있다
2. 배관내에 공기가 들어있다

1. 여과기를 청소한다
2. 공기빼기를 한다

5. 점화시 역화된다

1. 배기관에서 역풍이 분다
2. 점화장치의 고장

1. 연관 및 연도가 막혔는지 확인후
조치한다 
2. 점화트렌스.전극봉등 점화장치
를 점검한다

6. 이상소음이 발생한다

1. 연소공기의 과다
2. 연료토출량의 과다

1. 담파를 조정하여 공기량을 맞
춘다
2. 전자펌프 압력을 조정한다

7. 연기와 그을음이 나온다

1. 기름이 나쁘거나 불순물이
들어있다
2. 연소공기의 부족

1. 기름을 교환한다
2. 담파를 조정하여 공기량을 맞
춘다

8. 기타

1. 연료배관이 샌다
2. 배관에서 물이샌다

1. 누유 부분을 조치한다
2. 누수 부분을 조치한다

 가스보일러 고장시 처리방법

현 상

원 인

처리방법













* 전원램프가 켜지지 않는다 * 휴우즈가 끊어져 있다
* 정전중
* 전원플러그 접촉불량
* 전원프러그가 뽑혀져있다

* 휴우즈를 갈아 끼운다
* 전기가 들어올때까지 기다린다
* 전원플러그를 수리한다
* 전원플러그를 꽂는다

* 전원램프는 켜지는데 보일러가 작동되지않는다 * 실내온도가 온도조절기 설정온도보다 높다
* 보일러 온도조절기 설정온도가 낮다
* 보일러 온도조절기 설정 온도를 높여준다
* 보일러 온도조절기 설정 온도를 높여준다
* 난방수 온도부에(02)이라고 표시된다 * 난방배관에 물이없다
* 보충수밸브 고장이다
* 직수가 공급되지 않는다

* 난방수를 보충한다
* 점검 의뢰한다

* 난방수 온도부에(01)이라고 표시된다 * 난방배관이 막혔다
* 순환펌프 고장이다
* 난방배관에 막힘이 있는지 확인한다
배관이 막혔을 경우
(배관 시공자에게 점검의뢰)
* 난방 스트레나를 청소한다
* 순환펌프를 점검한다
※ 원인 제거후 재운전 스위치를 누른다

* 운전을 시작하여 불이 붙은 후 바로 정지되며 점검램프에 불이 들어온다

* 중간 가스밸브가 잠겨있다
* 공급 가스압이 낮다
* 화염 감지를 하지 못한다

* 가스밸브를 열어 준다
* 점검 의뢰한다
* 점검 의뢰한다

* 운전을 시작하여 불이 붙지않고 바로 정지되며 점검램프에 불이 들어온다

* 중간 가스밸브가 잠겨있다
* 점화 스파크가 튀지 않는다

* 가스밸브를 열어준다
* 점검 의뢰 한다

* 점화는 되지 않고 송풍기가 계속 돈다

* 풍압스위치 튜브가 빠져있다
* 급배기관이 바르게 설치되어 있지않다
* 굴뚝이 막혀 있다

* 풍압스위치 튜브를 꽂아준다
* 바르게 설치한다
* 굴뚝을 점검한다

* 보일러는 정상 작동하나 난방이
되지 않는다

* 난방배관에 밸브가 잠겨 있거나 배관이 막혀있다
* 난방배관에 공기가 많이 차있다
* 순환펌프가 고착되어 작동을 하지 않는다
* 난방 배관이 샌다
* 스트레나가 막혔다

* 난방 배관을 점검한다
(스트레나 점검)
* 배관 내 공기를 빼준다
* 점검 의뢰한다
* 누수 부분을 조치한다
* 분해하여 청소한다

* 보일러는 정상 작동하나 온수가 나오지 않는다

* 수압이 낮다

* 가압장치를 설치한다

* 보일러 물보충 램프가 자주 작동 된다

* 배관이 누수되는 곳이 있다

* 나방라인을 점검한다

* 착화중 역화되거나 연소중 소음이 발생한다

* 급배기관이 바르게 설치되어 있지 않다
* 급배기관이 막혀있다

* 점검 의뢰한다
* 청소한다

* 온수사용시 온수가 나오지 않는다

* 급탕 흐름 스위치에 이상이 있다

* 점검 의뢰한다


 

 보일러 가동 중지시 응급처치 요령

 가정용 보일러 침수 시 응급처치 요령

보일러가 침수되었다가 물이 빠졌을 때 특히 주의할 사항이 전원스위치 를 절대 넣어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침수된 보일러를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본체의 내·외부, 자동조절기, 순환 펌프를 분리하여 흙탕물등 이물질을 깨끗한 물로 씻어내고 건조시킨다. 또한 보온재가 사용된 본체, 배관의 보온상태도 점검하고 교체가 필요한 경우는 재시공한다. 연통, 굴뚝은 찌그러지거나 변형된 곳, 가스의 누설 유무, 흙이나 이물질 등으로 막혔는지를 점검, 청소하여 연소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기름탱크에 물이 찼을 때는 물을 분리 배출한다. 재가동할 경우는 반드시 전문가의 사전 점검 후 가동해야 한다.

  침수된 보일러의 점검 순서
* 전원코드 및 연료 계통을 차단한다. 
* 본체로부터 순환 펌프, 자동조절기, 버너(연소기), 연통을 분리한다 
* 보일러 내·외부를 깨끗한 물로 세척한다. 
* 분리된 순환펌프 및 버너 등의 부분품을 청소한 다음 건조시킨다 
* 보일러 전문가로부터 A/S를 받아 가동 전 시운전을 해본다.

※ 침수시, 경동보일러는 지역번호 관계없이 1588-1144로 문의하시면 빠른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