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대화 주제 - cheolhag daehwa juje

...

저널정보

  • 사회와철학연구회
  • 사회와 철학 학술저널
  • 사회와 철학 제19호
  • 2010.04 227 - 264 (38page)

저자정보

  • (전남대학교)

이용수

내서재

1

피인용수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이 논문의 목적은 넬슨이 체계화한 소크라테스 대화를 우리 사회의 교육과 소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보고, 넬슨의 소크라테스 대화를 이해하고 그 적용가능성과 범위를 구체화 하는 데 있다. 소크라테스 대화가 보여주는 현장성은 사유와 일상의 삶이 분리되지 않은 상호 순환적 관계라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소크라테스 대화를 만연해 있는 교육의 결과 중심을 극복하고 과정으로서의 교육 방법을 위한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넬슨의 소크라테스 대화에 대한 방법론적 이해를 위해서 먼저 소크라테스 대화를 역사적으로 천착한다. 역사적 접근을 통해서 소크라테스의 특징적 사유형식과 대화의 본질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넬슨의 이론 이해를 통하여 소크라테스 대화의 실제적인 적용 가능성을 살펴본다. 적용방법과 과정, 그리고 그 결과를 관찰함으로써 적용의 가능성만이 아니고, 그 한계와 문제점까지 살펴본다.
넬슨은 소크라테스 대화를 시민 정치?사회적 교육 목적에 응용하고자 시도한 최초의 철학자이다. 그는 철학적 지식을 현실적 실천과 결합하는 소크라테스 대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사회구성주의적 교육의 현장에 적용하였다. 넬슨은 소크라테스 대화법이 공동의 토론을 통해서 진리에 도달한다는 점과 특히 구체적인것에 대한 공동의 이해를 통해서 추상적 개념을 공유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넬슨에 의하면 소크라테스 대화의 본질은 철학을 가르치는 기술이 아니라 철학함을 가르치는 기술에 있다. 철학함이란 구체적인 것으로부터 보편적인 것을 스스로 도출하는 환원 능력을 갖는 것을 말한다.
본 논문을 통해서 우리 사회의 미래지향적인 철학교육을 위한 하나의 틀을 제시하고 나아가서 사회 소통장애 원인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넬슨의 소크라테스 대화 이해와 적용의 방법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주장한다. 넬슨이 교육현장과 사회에서 이해하고 적용한 소크라테스 대화는 먼저 철학교육의 현장에서 교육의 주체자들이 서로 대화를 통해서 진리에 이르는 과정을 공유할 수 있게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교육대화의 참여자들이 개별적이고 생생한 경험을 교환함으로써 자신의 경험한계를 극복하고, 제한적 인식의 벽을 넘어서서 보편성으로 나가는 과정을 통하여서 더 나은 개념이해에 도달한다. 이렇게 해서 얻은 개념은 태도를 규정하는 힘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에서 넬슨의 소크라테스의 대화 이해와 그 적용을 철학교육과 소통문제의 해결에 필요한 시급한 과제로 제시한다.

목차

[논문개요]
Ⅰ. 들어가기
Ⅱ. 역사적으로 되돌아보기
Ⅲ. 레오나르드 넬슨(Leonard Nelson)의 소크라테스 대화와 그 방법
Ⅳ. 나가기
참고문헌
【Zusammenfassung】

참고문헌 (0)

참고문헌이 DBpia에서 서비스 중이라면, [참고문헌 신청]을 통해 등록해보세요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 Zur philosophischen Leistung des historischen Sokrates

    서영식

    동서철학연구

    2018

  • 소크라테스의 비극과 해소

    이상형

    철학연구

    2012.03

  •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에게서 디오니소스적인 것의 존재

    윤병렬

    철학탐구

    2011.11

  • 게오르크 카이저의『구원된 알키비아데스』에 나타난 차이의 미학

    함경희

    카프카연구

    2013.06

  • 모순과 구별의 문답법: 소크라테스의 논박

    이상인

    대동철학

    2010

이 논문의 저자 정보

박해용

소속기관 전남대학교

주요연구분야 인문학 > 철학

논문수 5 이용수 2,947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인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0-300-002875323

***[현대과학과 철학의 대화 : 적극적 소통을 위한 길 찾기]  학술대회 연기 안내***
 

한국철학회 회원분들께

안녕하십니까?

한국철학회 회장 이중원입니다.

안타깝게도 코로나 19의 급격한 재확산으로, 11월 28일 토요일 개최 예정이던 [현대과학과 철학의 대화 : 적극적 소통을 위한 길 찾기]  학술대회를 깊은 고민 끝에 2021년 3월(혹은 5월)로 연기하게 되었음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본 학술대회는 현대과학과 철학이 함께 공유하는 주제를 놓고 서로 소통과 대화를 나누는  자리, 그리고 앞으로도 이러한 소통과 대화가 지속될 수 있는 길을 적극적으로 찾고 모색하는 자리입니다.  따라서 이에 관심을 갖고 계신 많은 철학자, 과학자, 타 분야 학자, 일반 시민들이 가능한 한 많이 참석해서 문제의식을 함께 공유하고 쟁점을 함께 고민해 보는 열린 공간으로서의 지향적 취지를 갖고 있습니다.  첫 시작이자 출발인 만큼,  성공적인 자리매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오랜 기간 정성을 들여 준비해 왔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19의 심   산(확진자 600명 임박, 국공립대 교원들에 대한 모임 자제(취소) 공문, 서울대측으로부터 공간 사용에 대한 재고 요청, 한국철학회 집행부의 학술대회 연기 의견, 지원 재단 쪽의 연기 협조 당부 등),      렵다고 판단어, 한국철학회 이사들의 의견을 모아 부득이 하게 연기하게  안타까운 마음으로 말씀드립니다.

이번 기획한 학술대회는 2021년 3월 말, 한국철학회 정기 학술대회 행사 때, 원래 계획대로 개최할 예정입니다.  한 해를 건너 코로나가 진정 기미가 보이고 본 학술대회의 취지가 최대한 잘 발현될 수 있을 때에, 다시 개최토록 하겠습니다. 

너른 양해 부탁드리며, 코로나 19가 요동치는 상황에서 회원님들 모두 건강 유의하시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한국철학회 회장 이중원 배상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