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의 목표와 사업 및 활동 목표에 비추어 결과를 확인하고 그 효과성과 효율성을 측정하는 기능 - gigwan-ui mogpyowa sa-eob mich hwaldong mogpyoe bichueo gyeolgwaleul hwag-inhago geu hyogwaseong-gwa hyoyulseong-eul cheugjeonghaneun gineung

  • 삼동윤리 나눔실천 이세상의 모든 이치는 그 근원이 하나 모든 인류는 한 형제 이 세상에 전개되는 모든 사업이 그 목적은 같다" />
  • 눈물을 닦아요! 힘들고 지친 당신에게 아프고 괴로운 당신에게 힘이 되어 드리고 싶습니다." />
  • 정성으로 모아저수니 마음 빛나는 그 마음을 함께합니다. 삼동회" />

  • 법인소개
    • 이사장인사말
    • 법인소개
    • 삼동회사업지표
    • 법인연혁
    • 찾아오시는길
  • 산하시설현황
    • 삼동회산하시설
    • 유형별시설현황
    • 지역별시설현황
  • 공지사항/게시판
    • 법인게시판
      • 삼동회공지사항
    • 산하시설게시판
      • 공고게시판
      • 행사소식란
      • 자유게시판
    • 구인게시판
  • 삼동회후원
    • 후원안내
    • CMS후원신청
    • CMS후원
  • 자료실
    • 삼동회자료실
    • 일반자료실
    • 사진자료실
    • 동영상자료실
  • 산하기관링크
    • 산하시설사이트
    • 복지관련사이트
    • 원불교관련사이트

1. 평가의 의미와 중요성

사회복지실천에서 평가란 사회복지실천의 결과를 사정하는 것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개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사정하게 된다. 사회복지사는 사회복지실천의 결과를 평가함으로써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도 있으며 전문기술과 지식을 향상하는 데에도 도움을 받게 된다.

(1) 평가의 의미

① 사회복지사가 개입 내용에 대해 점검함으로써 반성할 기회를 갖는다.

② 반성을 통해 부족한 점을 발견하고 새로운 활동에 참고한다.

③ 사회복지실천 현장과 관련된 잘못된 상황의 요인을 발견하여 시정을 요청할 수 있다.

(2) 평가의 의의

① 클라이언트는 어떻게 반응하고 있나? 또는 지금의 사회복지실천 과정이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가? 등을 포함하는 윤리적·전문적으로 중요한 문제를 설명하는 준거틀을 제시한다.

② 평가는 재정적인 지원이나 지역사회의 승인이 필요할 때 이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 계획안이 된다.

2. 평가의 개념과 유형

1) 평가의 차원

(1) 성과평가(결과평가)

성과(outcome)에 대한 평가는 목표에 비추어 성취된 결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성과 평가의 방법은 평가단계에서 결정한다.

① 점수 척도로 목표달성의 정도를 클라이언트에게 물어볼 수 있다.

· 5점 : 완전히 성취함

· 4점 : 대부분 성취함

· 3점 : 중간 정도 성취함

· 2점 : 약간 성취함

· 1점 : 전혀 성취하지 못함

② 상태변화의 성과 측정은 클라이언트에게 변화가 일어났는지 직접 물어볼 수 있다.

③ 성과의 양적 평가 : 문제나 표적행동 발생률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측정기준선과 최근의 측정내용을 비교하여 평가한다.

(2) 과정평가

클라이언트에게 도움이 되었는지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원조과정을 어떻게 인지했는지와 관련된 평가이다. 원조과정에서 도움이 되었거나 방해되었던 기술과 사건에 대해 클라이언트의 피드백을 받으면 사회복지사는 분별력을 갖고 기술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3) 사회복지사 평가

· 어떤 세팅에서는 사회복지사가 제공한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문제도 평가한다.

· 클라이언트의 긍정적 피드백은 사회복지사로 하여금 자기 강점을 더 잘 알게 하고 그것을 미래에 자주 활용하게 된다.

· 부정적인 피드백은 때로 고통스럽지만, 주의 산만, 반치료적 행위나 태도, 매너리즘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역시 매우 도움이 된다.

2) 평가의 시점

(1) 형성평가(formative eval!!!uation)

· 개입과정에 대한 평가이다.

· 사회복지 실천 과정에 초점을 두고, 주기적으로 진전 상황을 평가한다.

· 활동의 진행과정에서 그것을 부분적으로 수정, 개선, 보완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실시하는 평가활동이다.

· 이는 사회복지실천에서 원조과정 동안 실시되는 사정과 관련된다.

· 사회복지사가 과정을 검토하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에 개입계획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형성평가는 실천과정의 점검이라고 할 수 있다.

(2) 총괄평가(summative eval!!!uation)

· 활동이 종결되었을 때, 그 활동의 결과로서 산출된 성과와 효율성에 대하여 종합적인 가치판단을 하는 행위이다.

· 사회복지실천에서 개입(프로그램)이 종결되었을 때 그것의 효과성, 즉 목적 달성여부와 관련하여 그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면에서 형성평가와 대조된다.

· 개입이 목표로 하는 바를 얼마나 잘 성취했는가의 여부를 평가하는 것으로 개입방법의 성과나 효과, 즉 효율성과 효과성을 평가한다.

· 총괄평가의 단계 및 고려해야 할 요소

- 기관의 사명

- 프로그램의 목적

- 프로그램의 목표

- 프로그램 목표달성 여부 결정 방법

- 목표달성 여부

- 평가자료 활용방법

3) 평가의 대상

① 실천평가(practice eval!!!uation)

② 프로그램 평가(program eval!!!uation)

4) 기초 자료의 측정과 평가

(1) 양적 평가

양적 평가(quantitative eval!!!uation)는 문제의 발생빈도와 심각성의 정도를 측정하는 과정의 활용이라는 형태를 띤다. 개입을 사용하기 이전에 기초 자료를 측정하며, 이는 발전정도와 절차의 종료, 후속조치들을 비교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비교는 클라이언트에게 개입한 활동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양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초자료 측정 유형은 다음과 같다.

① 명시적 행동 측정

· 명시적 행동(overt behavior)은 관찰 가능하므로 빈도를 셀 수 있다.

· 날마다의 평균 빈도는 발전상황을 측정하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며, 이러한 측정은 문제행동을 계량화하고 주간 발전 상황과 변화 노력의 궁극적 결과를 탐지할 수 있게 한다.

· 빈도측정은 클라이언트, 관찰자 또는 사회복지사가 수행할 수 있다.

② 소급해서 추정(retrospective estimate)

· 개입 이전의 기초측정 자료는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변화를 목표로 한 행동범위를 소급해서 추정하게 하거나 이전의 자료를 수집함으로써 확보된다.

· 소급 추정(retrospective estimate)에 따라 표적 행동의 기초 자료를 파악할 때, 클라이언트에게 표적 행동의 일상적인 빈도에 따라 특정 시간간격(몇 분에서부터 하루)동안의 행동을 추정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③ 암시적 행동의 측정

· 문제 유발적인 감정이나 생각 같은 암시적 행위(covert behaviors, 예를 들어 비이성적 공포, 우울증 상태, 자기 비하적 생각)에 대한 기초 자료를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 클라이언트는 표적이 되는 생각의 발생빈도를 세거나 감정적 상태에 대한 점수를 매길 수 있다.

(2) 기초자료 측정의 지침

① 측정의 목표를 명확히 하고 조작적인 형식으로 규정한다.

② 측정은 변화에 초점을 맞춘 목표에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관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③ 클라이언트는 대개 하나 이상의 문제를 호소하고 하나의 문제는 몇 가지 차원으로(예. 우울증의 요소는 의기소침한 감정, 낮은 자부심, 낮은 자기주장 등) 나타나므로 복합적인 측정기준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④ 측정기준은 상대적으로 일관성 있는 상황에서 얻어야 한다.

⑤ 따로 떨어진 별개 목표에서의 기초 자료에 대한 측정기준은 실현가능성이 없다. 반대로 진행 중인 목표에 대한 측정은 발전적이며 제한을 받지 않는다.

(3) 과업성취 척도(task attainment scale)

·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가 개입과업에 대한 완수 정도를 결정할 때 활용된다.

· 이 척도는 기초선 설정이나 단일사례 설계의 적용이 어려울 때 또는 단기 서비스 상황에 적용되는 것으로 과업중심실천에서 개발되었다.

· 과업중심실천은 여러 개의 독립적인 활동과 과제로 세분화하고 이를 약 1-2주 안에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합의된 과제가 실제로 달성되었는지를 측정하는 것이 과업성취척도이다.

· 보통 4점 척도(①최소한 달성 또는 전혀 달성되지 않음, ②부분적 달성, ③상당히 달성, ④완전 달성)를 사용한다.

3. 집단설계와 단일사례연구설계

1) 집단설계

(1) 실험집단설계(experimental group design)

· 연구대상이 되는 두 집단을 무작위 표집한 후 실험집단에는 의도적으로 개입하고 통제집단에는 개입하지 않은 후 두 집단의 결과를 비교한다.

· 전형적인 실험조사설계는 무작위 추출 과정을 통해서 각각의 표본이 실험집단 또는 통제집단에 들어갈 수 있는 확률을 같게 하여 인과관계의 추론을 높인다.

(2) 유사실험집단설계(quasi-experimental group design)

· 조사대상자는 난선화가 아닌 방법에 의하여 선정되고, 실험변수는 조작되었거나 조작 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고, 관찰 또는 검사를 여러번 할 수 있게 된 조사설계의 형태를 말한다.

· 유사실험에는 무작위 추출 과정이 결여되어 있지만, 비동질적인 특성인 것으로 보이는 집단을 비교하거나 한 집단을 여러 번에 걸쳐 관찰하기도 한다. 

2) 단일사례연구설계(single-subject design)

(1) 단일사례연구설계의 개념

단일사례 설계는 가능한 한 엄격한 방법으로 개별 클라이언트 체계(개인, 가족, 집단, 지역사회, 혹은 다른 체계일 수 있다)에 대한 개입의 가치를 검증하려는 노력이다.

(2) 단일사례연구설계의 특징

· 단일한 대상(개인, 집단, 조직, 지역사회 등)에 초점을 둔다.

· 클라이언트는 스스로 통제집단이 된다.

· 클라이언트의 문제, 상황, 목적에 관련된 개별화된 기초선(baseline)은 개입과정 동안 변화를 측정하는 기준이 된다.

· 가설의 검증이 아닌 표적행동에 대한 개입효과를 관찰,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3) 단일사례연구설계의 이점

단일사례연구설계는 클라이언트의 목표에 대한평가와 분류, 개입의 실행, 그리고 종결과 이후 개입 등을 이끌어 갈 준거의 틀을 마련해 준다.

① 클라이언트 목표의 평가단계

· 평가단계에서, 다양한 자료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얻게 되므로 이로써 편견을 줄이고, 클라이언트의 상황에 대한 좀 더 정확한 자료를 만들 수 있다.

· 신뢰도의 원칙을 면접에 적용하면 좀 더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측정 기제의 선별과정을 통해서 클라이언트나 사회복지사 모두 당면한 과제에 대해 더욱 완전히 이해할 수 있다.

② 목표와 개입계획 단계

· 단일사례연구설계는 목표를 설정하고 개입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그 잠재력을 발휘한다.

· 개입 목표는 선별 후 주의 깊게 분류되어야 하기 때문에, 목표 설정은 일상적인 실천에서 보다 많은 주의를 필요로 한다. 목표는 분명하게 제시되어야 한다.

· 사회복지사는 단일체계설계의 틀에 근거하여 목표를 사려 깊게 재고해 볼 수 있다.

(4) 단일사례연구설계에 대한 한계

① 실천상의 왜곡

일정한 시간이나 기간에 치료를 시행하거나 이를 보류, 지체하려는 것이 치료계획의 의도인 경우 실천이 왜곡될 수 있다.

(5) 단일사례연구설계의 주요 개념

① 기초선(baseline)

· 단일사례설계에서 변화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입시점에서 설정하는 기준선

· 대개 며칠 또는 몇 주간의 표적행동의 빈도, 강도, 지속시간을 관찰함으로써 설정된다.

· 개입 전에 관찰이 허용되지 않으면 이전의 행동패턴에 초점을 둔 클라이언트, 또는 클라이언트의 가족, 중요한 타인과의 면접 또는 기관의 기록 등의 정보를 통해 회고적으로 기초선을 설정할 수 있다.

(6) 단일사례설계의 유형

① AB설계 : 기본단일설계

· 기초선(A) 설정 후 개입(B)이 뒤따르는 것을 말한다.

· 개입전 국면(A)에는 개입이 없으며 단순히 표적행동빈도 등에 관한 관찰만 이루어진다.

② ABA설계

· AB설계에 개입 이후 또 하나의 기초선(A)을 추가한 설계이다.

· AB설계에 개입을 일정 기간 실시하고 나서 개입을 중단한 후 표적행동을 관찰하는 설계이다.

· 기초선(A) 개입(B) 기초선(A)의 형태이다.

③ ABAB설계

· ABAB설계는 외생변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제2기초선(A)과 제2개입단계(B)를 추가하는 것이다.

④ BAB설계

· 기초선 측정 없이 바로 개입할 때 사용하는 설계이다.

· 클라이언트가 위기에 처해 있거나 기초선을 측정할 수 없는 상황에서 바로 개입하는 설계이다.

· 클라이언트 상황이 어느 정도 안정되면 개입을 중지하고 기초선 단계 자료를 수집한다.

⑤ ABCD설계

· 다중요소설계라고도 한다.

· 하나의 기초선 자료에 대해 여러 개의 각기 다른 개입방법으로 연속적으로 도입해보는 것이다.

(6) 단일사례설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측정방법

① 직접관찰(direct observation)

② 자기보고 평가척도(self-anchored scale)

③ 표준화된 측정도구(standardized measures)

4. 프로그램 평가

1) 프로그램 평가의 정의

① 프로그램 평가에서는 주로 프로그램의 총체적인 측면이나 결과보다는 프로그램의 형성이나 과정을 강조한다.

② 프로그램 평가는 사회과학 조사방법을 사용하여 사회프로그램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③ 평가조사는 프로그램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효과, 목표 집단에 대한 영향력, 장기간의 효과에 대한 예상, 비용과 손실의 관계 등과 같은 프로그램이 달성된 결과를 강조한다.

④ 평가조사는 프로그램 평가보다 더 복잡하고 포괄적이며, 평가조사가 잘 수행되면 프로그램평가를 포함하기도 하지만, 평가조사는 특수한 훈련과정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평가조사는 프로그램 평가에 뒤이어 실시된다.

2) 프로그램 평가의 목적

① 프로그램 과정상 환류적 목적

② 기관운영의 책임성

③ 이론 형성

④ 프로그램 진행과정 개선

⑤ 설계적인 목적

⑥ 합리적인 자원배분

⑦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

3) 기관 중심의 프로그램 평가

(1) 이해관계 당사자 확인 작업

① 이해관계 당사자

② 사회복지사의 직무

(2) 연구문제의 구성

① 인터뷰나 소집단 회의 등을 통하여 이해당사자로부터 아이디어를 요구한다.

② 초점집단(focus group)이나, 델파이(Delphi), 명목집단 전략과 같은 질적 조사방법은 프로그램평가를 위한 연구문제 구성에 유용하다.

4) 조사과정

(1) 가설설정

(2) 데이터 수집

① 투입변수

기관의 구조와 자원을 설명한다. 이 변수는 프로그램의 목적, 기관의 배경, 서비스가 제공되는 환경, 클라이언트 집단의 특징, 직원의 특징, 프로그램의 비용과 재원 등을 포함한다.

② 실행변수

과정변수라고도 한다. 이 변수는 기관과 접촉과정에서 전문적인 기술(방법)을 사용하는 직원,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와 이용방법, 제공되는 서비스의 빈도, 기간, 강도 등에 따라 클라이언트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다룬다. 기술을 적용하거나 하부구조를 세울 때 비용이 들기 때문에, 비용문제는 투입변수이면서 실행변수이다.

③ 산출변수

서비스의 결과를 서술한다. 전형적인 결과로는 심리 적응의 향상, 가족갈등의 감소, 개인기능의 향상, 자부심의 증가, 개인이나 지역사회에서의 삶의 질 향상, 학업이나 직무의 향상, 독립성의 강화 등이 있다. 프로그램 평가는 산출변수보다는 투입과 실행 변수에 더 중심을 둔다.

 

출처 : //blog.naver.com/dae05

퍼가실때는 출처도 가져가시고

댓글도 꼭~ 달아주는 센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