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김씨 안경공파 족보 - gimhaegimssi angyeong-gongpa jogbo

조부 : 재자 돌림 => 김해김씨 안경공파 76대손

부친 : 진자 돌림 => 김해김씨 안경공파 77대손

본인 : 호자 돌림 => 김해김씨 안경공파 78대손

 1. 시조 및 유래

=> 김해김씨(金海金氏)의 시조는 김수로왕(金首露王)입니다. 가락국에는 본래 아도간, 여도간, 피도간, 오도간, 유수간, 유천간, 신천간, 오천간, 신귀간 등 아홉 촌장이 각 지방을 다스렸는데 서기 42년 3월에 구지봉(龜旨峰)에서 이상한 소리가 났죠. 아홉 촌장과 사람들이 올라가자 “산봉우리에 흙을 파며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밀라. 만약 머리를 내지 않으면 구워먹겠다.’라고 하면서 춤을 추면 곧 임금을 맞이할 것이다.”라고 하자 그대로 하였더니, 자줏빛 줄이 하늘에서 땅에 닿아 있는겁니다. 그 끈의 끝에 붉은 보자기에 금으로 만든 상자가 싸여 있으므로 이것을 열어 보니 둥근 황금알 여섯 개가 있었습니다.

이것을 아도간의 집으로 가져가자 다음날 여섯 개의 알에서 여섯 어린아이가 나왔는데, 제일 먼저 나온 아이 이름을 수로(金首露, 42~199.3.23)로 하고 으로 정해 나라 이름을 가락(대가야)라 하였죠. 나머지 다섯 아이도 각기 5가야의 임금이 되었다고 합니다.

- “삼국유사” 중에서 -

그 중 먼저 알에서 나온 수로는 금알에서 나왔다 하여 성을 김으로 하였습니다.

- “개황력(開皇)” 중에서 -

이 수로을 시조로 하는 성씨가 바로 김해김씨입니다. 김해는 가락국의 고도로서 지명도 여러가지로 변했으나 고려 충선 때 김해부가 설치됨으로써 본관을 김해로 하였죠. 또는 가락김씨라고도 불리우고 있습니다.

수로이 즉위 7년에 아유타국(현재 인도 중부지방의 고대국가)의 공주인 허황옥(許黃玉, 33~189.3.1)을 비로 맞이하여 10남 2녀를 낳았는데 맏아들은 김씨로 통을 이었고, 두 아들은 비의 간곡한 요청으로 비의 성인 허(許)씨를 주었죠.(태인허씨의 시조) 그리고 나머지 일곱 아들은 불가에 귀화하여 하동 7불이 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허씨에서 갈라져 나온 인천이씨가 있으며, 세 성씨가 다 같은 혈족이라며 종친회도 ‘가락중앙종친회’로 하였습니다.

김해김씨의 중시조는 수로의 12세손인 김유신(金庾信) 장군입니다. 김유신은 가락국 마지막 인 구형의 증손자이며 무열의 딸 지소 부인(智炤夫人)과 혼인을 하죠. 할아버지는 신라의 장군이가 각간(角干)인 김무력(金武力, 구형의 막내 아들)이고, 아버지는 당대의 이름난 장군인 김서현(金舒玄), 어머니는 진흥의 동생인 숙흘종(肅訖宗)의 딸 만명(萬明)입니다.

2. 경파의 인물

=> 경파의 파조인 김목경(金牧卿)은 고려 충정 때 조적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김녕군(金寧君)에 봉해졌으며, 당시 혼란한 국정을 개탄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이조년(李兆年)과 함께 누차 에게 상소 했으나 듣지 않자 속리산으로 들어가 세상과 인연을 끊고 여생을 마칩니다.

김목경의 맏아들 김보(金普)는 공민이 세자 때 국가의 사절로서 중국의 북경에 갈 때 시종(侍從)한 공으로 일등공신(一等功臣)의 호(號)를 받습니다.

김보(金普)의 6세손 김영건(金永堅 : 동지중추부사), 김영서(金永瑞 : 현감), 김영정(金永貞 : 성종 때 대사헌), 김영순(金永純 : 한성판관) 4형제가 빼어났으며, 숙종 때 명신 김우항(金宇杭)은 김영정(金永貞)의 후손으로 1713년(숙종 39년) 우의정(右議政)에 오릅니다.

3. 경파와 안경공파는 무슨 관계인가요?

제가 가계도를 그려보겠습니다.

상주(相宙) : 시조 김수로왕으로부터 47세손

ㅏ------------------------------------------------------

ㅣ                                                                                             ㅣ

방직(邦直) : 48세손                                                                 용직(龍直)

ㅣ                                                                                             ㅣ

익섬(益섬) : 49세손                                                                 관(管) : 판도판서공(삼현파)

ㅣ                                                                                             ㅣ 

주국(柱國) : 50세손                                                               (밑으로 생략하겠습니다.)

ㅏ------------------------------------------------------------------------

ㅣ                      ㅣ                                                                                                  ㅣ      

석경(晳卿)        목경(牧卿) : 김령군(경파)                                                             익경(益卿) : 감무공(사군파)

                         ㅣ                                                                                                  ㅣ

                         ㅏ------------------------ -----------                             (밑으로 생략하겠습니다.)

                         ㅣ                              ㅣ            ㅣ           ㅣ                        

52세손->         보(普)                          저(著)      수(秀)      란(蘭)

                         ㅣ

                         ㅏ--------------------------------------------------- ㅓ

                         ㅣ                              ㅣ                          ㅣ                            ㅣ

53세손->          도문(도門)                  담문(담門)              현문(顯門)               창문(昌門)

                         ㅣ

                        근(覲)

                         ㅣ

                         ㅏ-----------------ㅓ

                         ㅣ                              ㅣ

54세손->         효분(孝源)                   효분(孝芬)

                                                          ㅣ

                                                          ㅏ-------------------------ㅓ

                                                          ㅣ                                            ㅣ

55세손->                                           진손(진孫)                                진저(진敍) : 호참공파

                                                          ㅣ

                 ---------------------------------------------------------------

                ㅣ                                  ㅣ                              ㅣ                                    ㅣ

56세손-> 영견(永堅) :참판공파    영서(永瑞) : 횡성공파   영정(永貞) : 안경공파    영순(永純) : 석정공파

* 이제 아시겠죠. 안경공파(安敬公派)는 경파(京派)에서 분파된 작은 소파인 것이죠.    

우선 항렬표를 보도록 해요.

 

시조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金榮君派

경파(京派)

 51대

 파조

 목경

 17

 18

19

20

顯 

21

 

22

鐘 

23

泰 

24

榮 

25

謙 

26

載 

27

鎭 

28

浩 

29

根 

30

 

31

用 

板圖判書公派 

삼현파

(三賢派)

49대

파조

관 

19

昌 

20

斗 

21

容 

22

坤 

23

鐘 

24

洙 

25

東 

26

 

27

基 

28

鎬 

29

洛 

30

植 

 監務公派

사군파

(四君派)

51대

파조

 익경

17

錫 

18

泰 

19

相 

20

炫 

21

在 

22

鎬 

23

永 

24

植 

25

炯 

26

奎 

27

容 

28

淳 

29

東 

30

煥 

31

基 

질문자는 김해김씨 78세손, 안경공파 28대손이 맞네요.

가야는 연맹국이었습니다.

6개의 알에서 태어난 각각의 들은

대가야, 금관가야, 아라가야, 고령가야, 성산가야, 소가야를 다스립니다.

 - 대가야의 이진아시

 - 금관가야의 : 김수로

가야 연맹 중 제일 강한 나라인 금관가야, 대가야이 일부분 알려진 것에 비하면

다른 가야는 그 국이 한 명도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김수로왕은 가락국의 시조이며, 김해 김씨의 시조이다.
김수로왕의 탄생과 치적은 <삼국유사>에 실린 가락국기에 전해지고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락 지역(경상남도 김해지역)에 촌장 아홉 명이 각각의 부족을 다스리고 있었다.
3월 어느 날 하늘에서 구지봉으로 가서 하늘이 내려 주신 을맞이하라는 소리가 들렸다.
촌장과 사람들은 구지봉으로 올라가 을 맞이하기 위해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춤을 추고 노래를 불렸다.
그러자 하늘에서 붉은 보자기에 싸인 금빛 상자가 내려왔는데
그 속에 황금알 여섯 개가 들어 있었다.
얼마 뒤 이 알에서 남자 아이가 차례로 태어났는데 그 중 제일 먼저
나온 아이의 이름을 '수로'라고 하였다.
사람들은 수로를 으로 추대하고 나라 이름을 '대가락국'
또는 '가락국'이라고 했다.
나머지 다른 남자 아이들도 각각 5가야의 이 되었다.
이때가 42년(신라 유리19)이었다고 한다.
김수로왕은 다른 부족국가를 정복하여 금관가야를 세우고, 금관가야의 이 되었다.
그리고 관직을 정비하고 도읍을 정하여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48년에 인도 아유타국의 공주인 허황옥이 파사 석탑을 가지고
 바다를 건너오자 공주를 맞이하여 비로 삼았다.
수로위에 올라 157년간 나라를 다스리다가 죽었다.
수로은 허후와의 사이에서 여러 명의 자들을 두었는데, 그 중 일곱 명은 지리산에 들어가 운상원을 짓고 수행하여 부처가 되었고, 거등이 수로의 뒤를 이어 위를 이었다.
김수로왕은 199년까지 157년 동안 으로 있으면서 많은 업적을 남겼다고 전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그 구체적인 사례는 알 수가 없다.
가야가 신라에 통합되면서 가야에 대한 수많은 자료들도 모두 사라졌기 때문이다.
김해 지방의 가야 유적지 발굴 현장에서는 고도로 발전한 문화 유물이 발견된다.
이것으로 미루어 보아 금관가야나 대가야도 독자적인 국가 체제를 갖추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 바다 건너 인도 아유타국의 공주를 비로 맞이한 것은 가야가 바다로도 진출했음을 알려 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관련 게시물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