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피 꼬리 접힘 - gupi kkoli jeobhim

구피 바늘꼬리병 치어 바늘꼬리 치료!! 이유는.. 어항돌

안녕하세요 나실장입니다~

얼마전 구피 치어들 태어난거 포스팅 했었는데

그날 사람들이 많이 들어와주시고 댓글도 많아서 왜그런가 봤더니

오늘의 TOP에 .. 올라와있더라구요 ㅎㅎ

오 열심히 쓰니깐 이런일두 생기구 좋았지요

그리고 우리 구피 치어들 열심히 키웠지요

어항도 사고 히터기, 여과기 등등 필요한것 구매하고

물도 잡아서 수초도 넣고 어항에 돌도 넣고

쇼크방지제와 박테리아 활성제도 넣어주고 비타민도 넣어주고

2일이나 여과기 돌려주면서  치어들 이사준비 했어요

이사 완료!! 

이사하기 전까지 다른 구피가 새끼를 또 낳아서

치어들이 모두 50마리 가 되었어요
 

여과기의 물살은 최대한으로 줄였는데.. 

치어라서 밤에 물살 때문에 잠을 못자는것 같아서

꺼주기도 했어요

너무 쪼금해서 어항이 더 커보이는데~  얼른얼른 커라~~~아가들아

근데.. 어항에 넣은지 3일 만에.. 치어들이 이상했어요....... 

( 증상 )

약간 힘이 없는거 같고

물 위 쪽에 돌아다니는 아이들이 많아지고

가까이서 보니........ 꼬리가 바늘처럼 뾰족해져 있더라구요

근데 더 중요한건 그런 치어가 한 두마리가 아니였어요...

50마리중 거의 40마리? 정도가

다시 말해 거의 모든 치어들의 꼬리가 이상했어요

초보인지라 처음에는 아직.. 치어라서 꼬리가 자라고 있어서 그런건가??

라고 생각했다가...

평소와는 다른 느낌이라  폭풍 검색을 시작했어요

치어 꼬리, 구피꼬리, 꼬리가 뾰족  등을 검색 했더니..

바늘꼬리병이라는 것에 걸린것이였요.....

보이시죠.. 구피 바늘꼬리병

꼬리가 바늘처럼 점점 뾰족해져요

꼬리가 녹아 버린 것 같은 느낌인데

알고보면 말리는 거라고 하더라구요

일딴 치어들을 전부 꺼내고

가장 흔한 방법이면서도 효과가 있을 수도 없을수도 있다는

소금욕을 시작했습니다

너무 갑작스러워서 놀래기도 하고

지금 그램 재는 것도 없는데 ㅠㅠ

소금욕 0.5%

차도가 없을경우  1% 소금욕 을 하라는데..

0.5%와 1%를 어떻게 맞춰야 할지..

그런거 어떻게 해야될까 했는데

어떤 지식인 분의 답변을 보니

1L 정도의 물에 페트병 뚜껑 1개 만큼의 소금을 넣으면 된다고 하더라구요

소금 너무 많이 넣으면 구피들이 쇼크가 올수도 있다고 하니 욕심부리지 말고

1L 물에 페트 병뚜껑 딱 하나 정도 천일염을 녹여

에어를 돌려주고 온도를 맞춰주고

치어들을 모두 옮겼어요

처음에는 비슷한듯했는데

소금욕 2일 차가 되니 많은 치어들의 꼬리가 원래대로 돌아오는것을 보였어요

 3~4일차 완전하게 치료가 되었을

5일차 약한 소금욕을 하루 더 해주었습니다

그 사이 저는 본어항 청소를 했어요

세제없이 찬물로 아주 깨끗하게 청소했지요

1차로 바늘꼬리병이 걸렸을때의 이유는.. 무엇일까

고민을해 해봤는데 아무래도 수질 때문인것 같았어요

주방세제로 닦은 물병을 이용해 물을 담아서 그런가..?

그래도 깨끗하게 닦는다고 했는데 비눗물이 남아있던건가

조심해야겠다고 생각했죠​

검색해보니 수질이 나쁘면 바늘꼬리병에 걸릴 수 있다고

특히 치어일땐 잘 걸리는 병이라고 하더라구요

정말 조심해야겠다 ....ㅠ

1차때.. 50마리중 5마리 정도가 떠나갔지만..

나머지 아이들은 모두 완치를 했어요

그때 정말 착잡하고 ㅠㅠ 미안하구.....

아 ,,, 눙물이..ㅠㅠ

다시 어항의 물을 잡고 조심히 우리 애기들을 넣어주었어요

이렇게 잘 ... 지냈는데.....

그런데 또.............

이틀 ? 만에 바늘꼬리병 증세를 보이기 시작했어요

아직 완치가 안 되었던건가!?? 싶어서

본어항에 아예 소금을 넣었어요

그래도 애기들이 이상하더라구요 ...

하..... 저주의 어항인가.......

일단은 처음보다 침착하게

소금욕을 준비하고 다시 치어들을 옮겨 주었어요

스트레스 많이 받게 해서 미안하다 ㅠㅠㅠㅠ

이아이는 거의 죽을뻔.... 근데 살렸어요!!!!!!!!

소금욕을 해주고

다시 한번 이유는 무엇일까 고민을 해봤습니다

분명 바늘꼬리병에 걸리는 이유가 있을텐데.....

초보인 저보다는 구피를 먼저 키운 동생에게 조언을 구했지요

저의 어항 안에는

히터기와 여과기가 있고

아래 자갈을 넣고

베이스 돌, 진짜 수초들 , 인공수초 이게 끝인데..

근데 생각해보니 수초와 인공수초, 자갈은 동생 어항에 있던 것들이라

이상이 없는거 같고

히터기와 여과기는 새로 구매 한것이고..

의심되는 것이 바로 돌이였지요

돌????? 설마 돌때문에?????

돌 깨끗하게 씻고 넣었는데.....

그리고 또 검색을 해봤더니.....

어항 돌 아무것이나 넣으면 안된다고 합니다

문제의 돌..
 

어항에 넣었을 때 너무 예쁘기도 하구,

돌때문에 수질이 나빠질것이라고는 전혀 정말 꿈에도 생각을 못했거든요

근데 돌 중에는 물속의 PH가 올라가는 것들이 있다고 합니다

방해석이라고도 하고

물과 반응하여 수소이온농도가 증가된다는 과학적인 내용도 읽어보고 ..

또 이것을 실험해 보는 쉬운 방법이 있어서 해봤습니다

돌과 식초 혹은 빙초산

돌위에 식초를 뿌려서 봤더니

뭔가 기포가 올라오는 것이 보이더라구요 !!!!!!!

이때 기포나 끓는 듯한 모습이 보인다면 이것은 바로 방해석...

어항에 넣으면 안되는 돌입니다!!

(반응하지 않으면 넣어도 된다고 해요 )

우리 치어들 바늘꼬리병 원인이 바로 이 돌이였다니...

바로 돌을 집밖으로....

우리 치어들 몰살 당할 뻔 한 살인돌이 될뻔했어요

또 한번 본어항과 어항안에 있던 전부를 깨끗하게 찬물로만 씻어주고

돌을 뺀 상태에서 물을 잡아주고

동생의 성어들을 넣어봤는데  아주 멀쩡하더라구요

휴~~~ 원인을 알아서 다행다행

저주의 어항이 아니였구나..

저주의 어항인줄 알고 어항을 깨부셔 버릴뻔 했지 뭐예요 ......

두번째 치료에서 단 한마리도 죽지 않고

모두 모두 완치가 되어 지금은 다시 열심히 먹이먹으면서 잘 지내고 있답니다

참고로 아직 큰 어항으로 옮기지 않았어요

태어나서 1달 동안 성장을 가장 많이 한다고 했는데..

어항이 너무 커서 밥을 잘 못찾아 먹는것 같고

그래서 밥을 많이 주면 물이 또 금방 나빠지고 하는것 같아서

조금 성장 할 동안은 작은 곳에서 키우고 있어요

이번 바늘꼬리병 때문에 구피에 대해서 또 한번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물에 따라 몸이 변화가 일어나고

병까지 걸리고 죽을수도 있다는 것을..

그리고 물이 맑고 깨끗해도 PH 때문에 바늘꼬리병에 걸릴 수 있다는 것

(물이 맑고 이상없는것 같다면 어항속에 있는것들을 체크해주세요)

주어온 돌이나 주어온 소라 껍데기 같은것은

될 수 있으면 어항에 넣지 말라고 하더라구요

물의 PH가 어떻게 변화될지 모르니 

수족관에서 산 것이 아니라면 조심조심 해야 합니다

바늘꼬리병 소금욕으로 완치까지 할수 있다는 것

무서운 병이면서도 쉽게 치유할수도 있다는

바늘꼬리병은 참 다양한 원인으로 일어날수 있다는 것

기생충 같은 것이 꼬리에 살아서 그럴수도 있고

그런 것은 소금욕으로 치유가 안될수 있고

약품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까지

또한 치어들이 1달 동안 성장 하는데

바늘꼬리 병에 걸리면 성장이 1주일에서 1달정도 느려 진다는 사실까지....

바늘꼬리 병에 걸린 구피 치어 영상

꼬리가 없기에 헤엄치는것이 참으로 힘겨워 보여요 ㅠㅠ

치료후

우리 치어들 앞으로 조금만 더 크면 ~~

저 어항보다는 작고 지금보다는 조금더 큰집으로 이사 시켜 줄껭 !!

아프게 해서 미안해

어떤 분이 그러시더라구요..

바늘꼬리병은 사전에 걸리지 않게 하는것이 가장 중요하다

맞는 말이지요..

하지만 걸리고 싶어서 걸리는 사람이 어디 있겠어요 ㅠㅠㅠㅠㅠ

이제라도 공부 했으니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지요

검증되지 않은 것은 다신 어항에 넣지 않겠어요 !!!

근데 .. 벌써 구피들 태어난지 1달 되어 가는데 ....

처음 치어를 낳았던 아이가 또 출산을 하려고 해요 ......

이렇것이 바로 폭번... 폭풍번식이라는 것이군요 ㅋㅋㅋㅋ

저의 물생활 위기.. 잘 치료되서 다행이죠~~

앞으로는 이런일 없길 바라며

저 같은 분이 없으시길 바라며..!!

구피 키우시는 분들 모두 바늘꼬리병 조심하셔요 ~~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