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구매 TV AS - haeoe gumae TV AS

해외 직구 TV 국내 AS기준 - TV같은 경우에는 해외에서 직구하여 들여오는 것이 배송료와 관세, 부가세를 포함하더라도 같은 모델인데도 훨씬 저렴한 경우가 많습니다. 유통 구조의 차이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이렇게 해외 직구한 TV의 경우 AS의 기준은 어떤지, 보증기간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하실텐데요. 이번 글에서는 해외 직구 TV 국내 AS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간혹 해외 브랜드의 제품의 경우 국내 수입사가 해외 직구 제품의 AS를 거부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브랜드는 같지만 공식수입사에서 구입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수리의 의무가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수입사가 여러개일 경우 자신이 유통한 제품만 AS를 해주는 경우도 있는데요. 보통 해외직구하시는 TV의 경우 제조사가 삼성, LG이고 국내 브랜드이기 떄문에 국내에서도 공식 AS가 가능합니다.

해외직구 TV의 보증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해외직구 TV의 보증기간을 알아보기 전에 먼저 국내구입 TV의 보증기간을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구입 TV 보증기간 (삼성 / LG)

국내에서 구입한 TV의 보증기간의 경우 삼성과 LG 양사 모두 보증기간을 12개월로 두고 있습니다.

단, TV의 패널에 대해서는 2년 내 사용기간 5000시간 이내로 기준을 두어 24개월을 보증하게 됩니다.

국내용 제품의 부품은 9년간 보유하게 됩니다.

해외직구 TV 보증기간 (삼성 / LG)

해외직구 TV의 경우 국내 기준의 품질보증조건 및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을 적용받지 않습니다. 해외에서 구입한 TV의 경우에는 판매한 국가의 보증기간을 따르게 되는데요. 대부분 직구로 구입하는 곳이 미국이다보니 미국을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미국용 TV의 경우 제품 및 패널에 대해 1년간 무상수리를 제공합니다. 또한, 40인치 미만 제품에 대해 방문 요청시에는 보증기가나과 관게없이 출장비를 부과합니다.

그러므로 국내용과 해외용의 보증기간에서의 가장 큰 차이는 제품 보증은 1년으로 동일하지만, 패널의 경우 국내용은 2년, 해외용은 1년의 무상보증기간을 갖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해외직구 TV 국내 AS시 유의사항

해외직구 TV를 구입할때 한가지 유의해야 하는 부분인데요. 해외직구 TV의 경우 보증기간확인을 위해 제품 구매 영수증과 송장을 반드시 보관해야 합니다. 또한, 국내에서 판매되지 않는 제품인 경우 부품을 해외에서 수입해서 수급하기 때문에 수리기간이 장기간(15일 ~ 30일)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TV 해외 직구시 관세와 부가세는 얼마나 드나요?

해외직구시 TV에 관한 관세와 부가세는, 해외 발생금액 기준으로 관세 8%, 부가세 10%가 발생되는데요. 전자기기의 경우 개인 사용의 목적으로 1대씩만 수입 통관이 가능하다는 점은 유의해야 합니다. 

더 자세한 직구시 품목별 관세와 부가세는 아래 글을 참고해 보세요.

직구 시 품목별 관세 및 부가가치세(부가세) 정리

직구 시 품목별 관세 및 부가가치세(부가세) 정리 - 최근에는 직구가 굉장히 많아지고 있어서 세금 부분도 알아둬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개인 사용 목적으로 해외 직구하는 물품에

antennagom.com

이번 글에서는 직구TV 국내 AS기준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지금까지 안테나곰이었습니다.

해외 직구하는 방법, 유의점, 꿀팁 총 정리 (배대지, 개인통관고유번호, 관세, 부가세, 배송, 중고

해외 직구하는 방법, 유의점, 꿀팁 총 정리 (배대지, 개인통관고유번호, 관세, 부가세, 배송, 중고판매) - 최근에는 해외 직구로 사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직구가 아니더라도 해외 상품을 올려

antennagom.com

개인통관고유번호 조회 방법

개인통관고유번호 조회 방법 - 몇 년 전부터 해외 직구가 엄청나게 활성화되고 있는데요. 같은 물건이 국내에만 들어오면 어찌나 비싸지는지.. 더구나 국내 브랜드 제품의 경우에도 해외에서 구

antennagom.com

코로나19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자 TV 교체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이려는 소비자가 눈에 띄게 많아지고 있다. 최신 TV 구매를 고려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두 편에 걸쳐 궁금증을 살펴본다.

7일 롯데하이마트에 따르면 올해 들어(1/1~12/6) 판매한 TV 품목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증가했다.

■ 해외 직구 TV와 국내 제품, AS 어떻게 다를까

미국 최대 쇼핑 시즌 ‘블랙프라이데이’가 임박하면서 TV 해외 직구(직접 구매)를 고민하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지난해 한국소비자원이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자제품 해외 직구 건수는 2016년에서 2017년 사이 8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투아니아 카우나스(Kaunas)市에 위치한 가전 매장을 찾은 고객이 LG 올레드 갤러리 TV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LG전자)

직구 제품과 국내 제품의 가장 큰 차이점은 AS(사후 서비스) 부분이다. 국내에서 정식으로 TV를 구매할 때와 달리 직구 제품은 정식 AS를 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모두 TV 제품에 대해 월드 워런티를 제공하지 않는다. 월드 워런티는 물품을 구매한 구입국가 외의 해외 해당 브랜드의 취급점에서 AS를 받을 수 있는 국경 없는 품질 보증 서비스다.

양사는 국내에서 구매한 TV의 경우 무상 보증 기간 2년을 보장한다. 해외에서 판매하는 TV에 대해서는 국내 서비스 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한국에서 쓰다가 제품의 결함 또는 하자가 발생 시 한국의 품질보증 조건 및 소비자 분쟁 해결기준을 적용받을 수 없다. 

TV는 해외 직구 인기 품목으로 꼽힌다. (사진=씨넷)

삼성전자는 해외 직구 TV에 대해 한국에서 수리 가능한 경우에는 판매국가의 보증기간을 적용해 수리를 제공한다. 대개 1년이다.

LG전자도 해외에서 구매한 TV의 구매 영수증과 송장 보관 시 TV 패널에 대해 구매 후 1년 이내 무상서비스를 제공한다. 해외 산지에서 부품을 조달해야 하므로 15~30일 소요될 수 있다.

■ 시야각을 확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TV를 볼 때 꼿꼿이 앉아서 정면으로 보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비스듬히 눕거나 옆에서 보는 경우가 많다. TV를 고를 때 시야각도 따져볼 필요가 있는 이유다.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이미지는 보는 각도에 따라 변화한다.

통상적으로 LCD보다 OLED가 시야각이 더 넓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백문이 불여일견. 온라인에서 구매하더라도 매장에 방문해 어느 위치에서 봐도 같은 색인지 여러 각도에서 직접 살펴보는 게 좋다. 제조업체가 제시하는 숫자보다 내 눈이 더 정확할 수 있다.

■ 저가 사운드바 vs. TV 내장 스피커, 뭐가 더 나을까

TV와 연결해 음향을 강화하는 데 쓰이는 ‘사운드바’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일부 마니아층의 전유물로 여겨졌지만, TV 대형화 트렌드 및 OTT 성장과 맞물려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다.

LG전자 모델들이 사운드 바 신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LG전자)

사운드바 라인업은 통상적으로 보급형(300달러 미만)과 스텝업(800달러 미만), 프리미엄(800달러 이상)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에 100달러 미만의 저가 사운드바도 시장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전문가들은 가격이 높다고 해서 무조건 음질이 더 좋은 건 아니지만, 저가 사운드바의 경우 사실상 TV 내장 스피커의 한계를 극복하기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일반적인 TV가 좌우 2.0채널은 제공하는데, 저가형 사운드바 역시 대부분 2채널 제품이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저가형 사운드바는 스피커가 없는 TV나 모니터에 적합한 제품”이라며 “하지만 2.0채널 사운드바가 TV랑 똑같이 좌·우만 사운드를 처리한다 해도 TV보다 용적이 더 클 테니 더 풍부한 소리를 낼 수는 있겠다”고 말했다.

■ 스탠드형과 벽걸이형, 어떻게 다를까

관련기사

  • [살까말까] QLED, OLED?...TV 바꿔볼까2020.11.30
  • [살까말까] 살균수 전해수기, 인체에 안전할까2020.11.23
  • [살까말까] LG 스타일러, 삼성 에어드레서...뭘 사지?2020.11.16
  • [살까말까] '전기료 폭탄이 걱정?'…전기히터로 겨울나기2020.11.09

TV는 설치 방식에 따라 스탠드형과 벽걸이형으로 나뉠 수 있다. 각각 장단점이 명확하다.

롯데하이마트 관계자는 “스탠드형은 고객이 직접 설치할 수 있고, 위치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며 “벽에 시공할 필요가 없으나 제품이 넘어지면 외부 충격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벽걸이형은 공간 활용도가 높고, 깔끔한 인테리어 연출이 가능하다”며 “다만 전문가 설치 도움을 받아야 시공을 할 수 있다”고 전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