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공부 잘하는 법 - honja gongbu jalhaneun beob

쫑가 과정

학습, 혼자 공부하는 절대 원칙 본문

//www.youtube.com/watch?v=7DwXK3u0wKE 

입시 공부를 하는 학생들과 그 부모들을 위한 내용이지만 좋은 내용이 많아서 남겨본다.

이 영상은 공부, 학습에 대해 가지고 있던 내 생각을 정리할 수 있게 해 줬다.

개념

공부를 잘하기 위해 해야 할 것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눈다.

Skill, Code

Skill은 개인적인 노하우나 테크닉으로 자기만의 의견이라고 볼 수 있다.

Code는 무조건적으로 지킨다면 잘 해질 수밖에 없는 정답의 영역으로 본다. 

(내 생각이지만 Code는 나만의 Skill을 만들기 위한 지침서라고 생각이 든다.)

스스로 공부하는 데 본인만의 방법이 있고 효과적이라면 Code를 꼭 할 필요는 없겠지만

나처럼 혼자 공부하지만 스스로 효율적이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필요할 수 있겠다.

자각

CODE 1) 이상이 아닌 필수인 자기 주도 학습

왜 자기주도 학습이 필수이고 다른 학습인 1. 학원 주도 학습 2. 엄마 주도 학습(가족 주도)은 안 되는지 설명해준다.

굉장히 많은 예시를 들려주며 학원 주도 학습과 엄마 주도 학습에 반론을 하고 설득시킨다.

이 예시들이 진실인지 거짓인지 알 수 없지만 그게 말하고자 하는 핵심은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입시 공부를 하는 게 아니라 자세하게 짚고 가지는 않겠다.

자기 주도 학습 전에 먼저 학습이란 개념을 이해해본다.

학습이란 배울 학(學)과 익힐 습(習)이 합쳐진 말로 배우고 익힌다라는 뜻이다.

배우기만 하는 건 학습이 아니다. 적어도 50 정도 배우고 50정도 익혀야 학습이란 말이다.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을 꼭 가져야 학습이 된다.

어떻게 자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까?

1. 공부 중에 왜 멍한가?

의지 문제 내적 동기, 목적성 부재

이 부분은 나도 알고 있고 고민하는 부분이다.

2. 그럼 공부 중 언제 눈이 반짝이는가?

내가 부족한 부분을 인지하고 있고 그 부분을 배울 때 집중이 된다.

경험으로 느끼고 있던 부분이다.

1번은 알고 있지만 2번은 그냥 느끼고 있던 부분이다. 

1번 공부에 대한 의지는 뭘까?

의지라는 건 공부 잘하고 싶니?라고 물었을 때 네라고 이야기한다면 충분히 의지가 있는 것이라고 한다.

2번에서 부족한 부분을 인지한다는 건 뭘까?

영상에서는 뭐가 필요하고 뭐가 불필요한지 인지하고 있는 상태가 되어야 자기 주도 학습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학습, 공부가 안 되는 이유가 공부 방법을 모르는 무지한 상태일 뿐이지 공부에 재능이 없거나 멍청한 게 아니다.

운동은 하나부터 차근차근 알려주지만 공부는 그렇지 않았기 때문이다.

공부하기

이해 공부법과 자기 관리법을 보자.

공부 방법

1. 공부는 암기가 아니고 이해 영역.

예를 들어 수능은 대학에서 필요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테스트하는 거다.

국어시험을 보는 이유는 독해력이 되는지, 영어시험은 해석력, 수학은 활용력, 과학/사회 암기력을 시험 보는 거다.

국어, 영어를 잘 보기 위해서는 새로운 책들을 많이 읽어 독해력, 해석력을 기른다. 수학은 공식이 왜 만들어졌는지 이해하고 써보면서 성공, 실패 경험을 쌓아 활용력을 늘린다. 과학/사회는 어떻게 외울까? 최고의 암기는? 1등은 어떻게 암기할까? 암기도 이해이다.

중요한 건 어떤 걸 얻기 위해 왜 공부해야 하는지 알고 해야 한다.

이해하며 공부한다는 건 무엇인가?

암기는 과정이 명확하다. 방법도 명확하고 끝도 명확하다.

이해는 명확하지 않기에 어렵다.

명확하게 하는 방법.

skill 1) why공부법

배우는 모든 부분에서 why라는 물음을 붙인다. 공부의 끝은 why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한다.

단점은 시간이 오래 걸린다. 

그래도 참아야 한다. 결국 점점 빨라질 것이다.

오래 걸리면 좋아해라. 그만큼 지금까지 공부를 잘 못한 거다.

장점은 자기 주도 학습이 스스로 된다. why의 답을 얻기 위해 스스로 찾는다.

skill 2) 설명하기

이해가 끝났는지 체크하는 법 1. why가 없는 것. 2. 누군가에게 설명하기

설명을 하다 보면 막히는 부분이 생길 수 있다. 이해했다고 생각한 사각지대이다.

공부는 깊이가 중요하다.

겉을 여러 바퀴 돌면서 판다고 해도 깊어지지 않는다. 

학습을 깊게 하는 게 이해이다.

CODE 2) 시간관리 생활관리

공부 방법은 알았지만 언제까지 공부를 해야 할까?

1. 계획 짜기

역시 집중을 발휘하는 이유를 이용하자.

벼락치기가 집중이 잘 되는 이유. 시간과 시험 범위가 딱 정해져 있어서 구체적 미션이 있다.

평소 공부하는 미션은 그냥 많이 하기, 오래 하기 등 추상적이고 두리뭉실하다.

인간은 이런 걸로 집중할 수 없다.

매일 시험 범위를 설정하고 공부하자. 즉 구체적 미션을 설정하고 공부하자.

구체적 미션?

시간 별로 짜지 말고 분량으로 짜라

왜? 시간으로 세우면 집중력이 생기지 않는다. 

2. 생활관리

1. 보상 제도

그날 정해진 계획을 다 했다면? 놀아라 나에게 보상을 줘라.

계획을 못하면 절대 절대 절대 놀지 마라. 기분전환도 하지 마라. 고통 받아야 한다.

극악의 고통과 즐거움이 왔다 갔다 해야 한다.

그래야 그 계획을 다하고 놀기 위해서 집중력을 발휘한다.

매일매일의 동기부여를 주자!

또 중요한 점 죄책감 없는 휴식

게임하면 죄책감이 쌓이고 공부하고 있으면 게임이 하고 싶다.

계획을 다 하면 깨끗하게 쉬자.

그 맛에 익숙해지자. 스스로를 위로하면서 푹 쉬자

게임이 왜 재밌나? 투자한 만큼 보상을 잘 주기 때문이다.

게임을 재미없게 하는데도 왜 계속 하나?

재미없어도 경험치를 쌓고 레벨이 올라가는 보상이 있기 때문.

공부하는 법도 그래야 한다.

2. 하루 공부 범위는 어떻게 정할까?

하루 공부 계획을 다 했는지 못 했는지 기록해라

노는 시간이 늘어나면 분량을 늘린다.
노는 시간이 줄어들면 분량을 줄인다.

하면서 조절을 할 수 있다. 스스로 조절한다.

정착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 인내하라.

익숙해지면 쉴 때와 놀 때 구분이 되는 생활패턴이 생길 것이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