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엠텍 gtx1080 슈퍼제트스트림 - iemteg gtx1080 syupeojeteuseuteulim

주소 (우) 07995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동로 233-1, 501 (목동, 드림타워) 대표이사: 안징현
사업자번호: 117-81-40065 통신판매업: 제2004-서울양천-00918호 부가통신사업: 제003081호사업자정보확인

콘텐츠산업진흥법콘텐츠산업 진흥법에 의한 콘텐츠 보호 자세히보기

콘텐츠산업진흥법에 의한 표시

콘텐츠의 명칭상품콘텐츠(정보) 및 기사, 이벤트 정보콘텐츠의 제작 및 표시 연월일개별 표기된 제작일 또는 갱신일콘텐츠의 제작자(주)다나와
전화: 1688 - 2470 (유료) / 팩스: 1688-2451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1동 923-14 드림타워 501호콘텐츠의 이용조건이용약관 및 서비스 안내 참조
(동의 없이 무단복제 및 가공을 금함)이용약관 보기

㈜다나와 홈페이지 내의 모든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제작일 또는 그 갱신일로부터 5년간 보호 됩니다.

콘텐츠이용안내

(주)다나와는 상품판매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모든 상거래의 책임은 구매자와 판매자에게 있습니다.
이에 대해 (주)다나와는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사에 등록된 모든 광고와 저작권 및 법적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게 있으므로 본사는 광고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danawa Co., Ltd. All Rights Reserved.

주소 (우) 07995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동로 233-1, 501 (목동, 드림타워) 대표이사: 안징현
사업자번호: 117-81-40065 통신판매업: 제2004-서울양천-00918호 부가통신사업: 제003081호사업자정보확인

콘텐츠산업진흥법콘텐츠산업 진흥법에 의한 콘텐츠 보호 자세히보기

콘텐츠산업진흥법에 의한 표시

콘텐츠의 명칭상품콘텐츠(정보) 및 기사, 이벤트 정보콘텐츠의 제작 및 표시 연월일개별 표기된 제작일 또는 갱신일콘텐츠의 제작자(주)다나와
전화: 1688 - 2470 (유료) / 팩스: 1688-2451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1동 923-14 드림타워 501호콘텐츠의 이용조건이용약관 및 서비스 안내 참조
(동의 없이 무단복제 및 가공을 금함)이용약관 보기

㈜다나와 홈페이지 내의 모든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제작일 또는 그 갱신일로부터 5년간 보호 됩니다.

콘텐츠이용안내

(주)다나와는 상품판매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모든 상거래의 책임은 구매자와 판매자에게 있습니다.
이에 대해 (주)다나와는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본사에 등록된 모든 광고와 저작권 및 법적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게 있으므로 본사는 광고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danawa Co., Ltd. All Rights Reserved.

저가형 게이밍 컴퓨터에서의 그래픽카드는, 전체 가격의 30~50퍼센트를 차지할만큼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며, 그렇기에 상당히 신중하게 제품을 선택해야만합니다. 개인적으로 출시일과 안정성 같은 부분들을 제외하고, RTX 3080 Ti가 등장하기 전 2020년 가장 무난한 그래픽카드가 뭐냐고 묻는다면 저는 당당하게 GTX 1080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사실 이번에 GTX 1080과 리퍼비시나 A/S가 넉넉하게 남아있는 RTX 2060 둘 중에서 상당히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성능과 가성비는 중고의 GTX 1080이 뛰어나지만, 안정성을 생각하면 RTX 2060을 선택해야합니다. 저만 그런건지는 모르겠지만, 보통 백만 이하에서 컴퓨터를 맞춘다고 생각했을 때 몇만원의 가치는 생각보다 크게 작용합니다. 저는 약간의 성능과 가성비를 더 중요시하게 생각했구요. (그렇다고 하더라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RTX 2060을 선택하게 될거고 그게 맞습니다.)

현 시점에서 GTX 1080과 병목 현상이 일어나지 않을만한 CPU를 장착했을 때 FHD 화질 기준으로, 대부분의 FPS 게임은 144 프레임 방어가 가능합니다 이엠텍 GTX 1080 슈퍼제트스트림의 수치상의 스펙에 대해 짧막하게 언급하고, 바로 심층 리뷰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GPU 성능

칩셋 - GTX 1080

쿠다 프로세서 - 2560개

베이스 클럭 - 1708MHz

부스트 클럭 - 1847MHz

제조공정 - 16nm

전체적인 RTX 2060과 성능적으로 비교하자면, 역시 이엠텍 GTX 1080 슈퍼제트스트림의 기본적으로 조금 더 좋습니다. RTX 2060에는 DLSS 기능이 있지만, DLSS에 대한 큰 효과를 보려면 QHD나 4K로 게임을 해야되는데, 메인 스트림 중에서는 계급이 낮아 사실상 QHD나 4K 화질로 RTX 2060을 선택한다는건 무리수가 있는 선택이고 무엇보다 아직까지는 제한되는 게임이 더 많습니다.

쉽게 말씀드려서 FHD 화질로 게임을 즐기기에는 GTX 1080 정도 수준만한 GPU가 없다는 것이죠.

좋은 그래픽카드일수록 온도관리는 필수 중에 필수라고 볼 수 있는데요. 이엠텍 GTX 1080 슈퍼제트스트림의 경우 100mm 크기의 2개의 쿨링팬이 장착되어있고, 전원부도 8+2 페이즈에 벌집형 브라켓 설계와 히트 싱크가 적용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타 GTX 1080에 비해서 상당히 두께가 있는 편인데, 이는 방열 면적을 최대한 넓혀 열관리에 신경썼음을 보여줍니다.

팬 속도는 국민 게임이라고 할 수 있는 파이어 스트라이크(?)를 구동했을 시 최대 1210 RPM 정도였습니다. 팬 속도 설정은 따로 없었고, 상당히 조용한 편입니다. 그럼 이제 진짜 실 성능 벤치마크로 가봅시다.

CPU - AMD Ryzen 5 3500X O.C 4.4GHz

CPU 쿨러 - 3RSYS RC 500 RGB

메인보드 - ASUS PRIME B350M-A 아이보라

RAM - 삼성 DDR 8GB PC4-19200 X 2 3200MHz O.C

SSD - PM891a M.2 2280 512GB

케이스 - 3RSYS S700 에스프레소 CT(WHITE)

파워 - 잘만 GigaMax 650W 80PLUS Bronze 230V EU

국민 게임을 시동하고 있는 모습이다.

우선은 국민 게임(?)인 3DMark 타임 스파이/파이어 스트라이크 수치입니다. 참고로 이 점수는 아직 CPU 오버클럭을 43배수로 놓고 돌린 결과입니다. 타임 스파이는 7625점 파이어 스트라이크는 22463점으로 이엠텍 GTX 1080 슈퍼제트스트림을 구매하자마자 테스트했을 때보다 소폭 상승된 수치입니다. 온도도 최대 72도를 넘어서는 일은 없었습니다.

오버워치의 경우 FHD 해상도에 모든 그래픽 품질 '매우 높음'을 설정하고 테스트해봤습니다. 원래라면 캡처 도구로 프레임이 얼마나 나오는지 찍으려 했으나, 오버워치의 경우 0.5초라도 안움직이면 급격하게 프레임이 떨어져 부득이하게 스마트폰으로 촬영했습니다. 격한 전투 상황에서도 144 프레임 방어는 충분했습니다.

다음은 국민 FPS라고 할 수 있는 배틀그라운드입니다 해상도는 FHD 옵션은 보시는대로 모두 울트라로 설정해놓고 플레이 해봤습니다. 평상시에는 평균 130~140 프레임을 오갔으며, 교전 상황에서도 130~140 프레임을 유지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은 프레임 수치가 FPS 게임에 비해서 덜 뽑히는, 삼탈워 전투 상황입니다. 다소 가볍게 전투한 정도라, 정확한 테스트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그래도 생각 이상의 프레임을 보여줍니다.

정말 정확한 테스트를 위해서 비슷한 급인 RTX 2060과 비교해서 분석하는 것이 훨씬 더 정확하겠지만, 금전적인 어려움을 이유로 그건 불가능하고 단순 이엠텍 GTX 1080 슈퍼제트스트림을 사용했을 때 후기로는 FHD 해상도에서 게임을 플레이하기에는 최적화 되어있다는 것이 결론입니다.

단, 그런만큼 QHD로 넘어가면 다소 가성비가 떨어질 수 있으며(애초에 이 단계에서 가성비를 논할 수준은 지났지만) 혹시라도 QHD 144Hz 모니터를 사용하고 싶으신 분들은 GTX 1080 Ti 혹은 RTX 2070 Super 이상을 선택하시는 걸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내용은 여기까지이며, 다들 마지막 연휴 즐겁게 보내시기 바랍니다.

관련 게시물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