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고등학교 학기 - ilbon godeunghaggyo haggi

  • 日本語
  • English
  • 中文
  • 한국
  • やさしいにほんご
  • 用語集(ようごしゅう)

TOP >교육・일본어 교육

일본의 학교제도

일본의 학교제도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합니다.

  • 일본에서는 그 해 4월 1 일을 기준으로 만 6세에 해당하는 아동은 초등학교에 입학합니다.
  • 학년은 4월에 시작하여 이듬해 3월에 끝납니다.
  • 초등학교는 6년제, 중학교는 3년제이며 일본 국민은 9년간 의무교육을 받습니다.
  • 외국인의 경우에는 의무교육이 아니지만 희망하면 지역의 공립초·중학교에 다닐 수 있습니다
  • 일부 공립초·중·고등학교에는 외국인과 귀국자녀를 위한 학급이 있는 곳도 있습니다. 거주지의 구청, 시청, 정·촌사무소로 문의해 주십시오.
  • 중학교 졸업 후에는 희망에 따라 고등학교나 대학교에 진학하거나취업할 수도 있습니다.
  •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고등전문학교·단기대학교·대학교·대학원은 모두 국립, 공립(도립), 사립학교가 있습니다.
  • 일반학교에서 수업을 받기 어렵다고 판정된 질병, 신체장애를 가진 경우에는 전문학교에 다닐 수 있습니다.
그 밖의 자세한 것은 도쿄도 교육위원회 또는 거주지의 교육위원회나 구청, 시청, 정•촌사무소로 문의하십시오.

  • 일본의 학교제도
  • 초등학교・중학교
  • 고등학교・대학교・대학원
  • 국제 학교
  • 교육지원
  • 일본어 교육

TOP >교육・일본어 교육

일본의 초·중·고등학교 방학제도 현황

일본 방학기간의 정식명칭은 ‘장기휴업기간’이다. 일본은 우리나라와 달리 3학기제를 채택하여 운영하고 있는데, 1학기가 4월초에서 7월 중순까지이며, 9월초부터 2학기가 시작되기 때문에 7월 중순부터 8월말까지가 여름방학(하계휴업) 기간이다. 그리고 2학기는 12월 하순에 끝나고, 3학기가 이듬해 1월 상순경에 시작되는데, 그 사이에 겨울방학(동계휴업)이 있고, 3월 중순에 3학기를 종료하면 4월 초에 새 학기가 시작될 때까지 봄방학(춘계휴업 : 학년 말 휴업+학년 초 휴업)을 한다. 방학동안 학생들은 주어진 과제를 하며, 교내외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다.

1. 방학 체계

장기휴업기간(長期休業期間)은『학교교육법』 시행령 제29조에 의해 학교 설치자 즉 교육위원회가 정하도록 되어있다. 장기휴업일의 종류로는 학년 초 휴업일(봄방학), 하계 휴업일(여름방학), 추계 휴업일(가을방학), 동계 휴업일(겨울방학), 학년 말 휴업일(봄방학)이 있는데, 지자체에 따라 추계 휴업일을 실시하지 않는 곳도 있다. 장기휴업일의 일반적인 실시기간은 다음과 같다.

- 학년 초 휴업일: 4. 1 ~ 4. 7

- 하계 휴업일: 7. 21 ~ 8. 31

- 동계 휴업일: 12. 26 ~ 다음 해 1. 7

- 학년 말 휴업일: 3. 25 ~ 3. 31

대부분은 위와 같은 기간에 실시되나, 치바시(千葉市)와 같이, 추계 휴업일(10.11 ~ 10.15)을 실시하는 곳도 있다. 또한, 방학기간을 교장의 재량에 맡기고 있는 곳도 있다. 예를 들어, 시마네현 이즈모시(島根? 出雲市)의 경우, 2007년도부터 시립 초?중학교에 있어서 학년 말 휴업일 외에는 해당 기간 내에 교장이 결정할 수 있게 되었는데, 다만 하계 휴업일은 42일 이내로, 동계 휴업일은 13일 이내로 지정하도록 하여 수업일수에는 차질이 없게 하고 있다.

2. 방학 프로그램 운영 현황

초등학교의 방학과제는 주로 일기, 독서감상문, 자유연구, 만들기, 문제집, 그리고 각 지자체의 교육위원회 등에서 편집하여 발행하는 ‘방학 과제용 책자’ 등이 있다.

이외에 방학을 유효하게 활용하도록 학교에서 제공하는 시설 또는 프로그램으로는 학교도서관 개방, 실습실과 컴퓨터 교실 개방, 심화 보충 학습 기회, 체험학습 기회, 인턴활동 기회 등이 있다. 2011년도에 초?중학교에서 제공하는 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의 비율은 아래 표와 같다.

〈표 1> 2011년 장기휴업 중 희망자 대상 학습기회 제공 상황(복수 응답)

학교도서관 개방

실습실, 컴퓨터 교실 개방

기초학력 향상, 보충, 발전적 학습기회 제공

자연체험 등 단체 숙박 활동, 문화, 스포츠 등의 체험학습 기회 제공

직장 체험 등 캐리어 교육 기회 제공

초등학교

40.0%

7.9%

60.4%

22.4%

1.7%

중학교

33.4%

14.8%

84.9%

11.4%

13.8%

2004년도 공립 초?중학교의 장기휴업기간 중 학습기회를 제공하는 상황을 보면 학교도서관을 개방하고 있는 곳이 초등학교가 46.4%, 중학교가 49.1%로 2011년도보다 높았으며, 컴퓨터 교실 등 특별교실을 개방하고 있는 곳도 초등학교가 16.4%, 중학교가 27.5%로 2011년도보다 높았다. 자연체험이나 단체숙박활동, 문화스포츠 등 체험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곳도 초등학교가 29.5%, 중학교가 20.3%로 2011년도보다 높았다.

다시 말해, 2011년도에는 학력향상과 보충학습의 기회를 제외하면, 시설개방과 체험학습 기회 등은 2004년도에 비해 적게 제공되었다고 할 수 있다. 장기휴업기간 중의 활동이 학력향상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고등학교의 장기휴업기간 중 학습기회 제공 상황은 아래 <표 2>와 같다.

〈표 22011년도 고등학교 장기휴업기간 중 학습기회 제공 상황

학교도서관 개방

실습실, 컴퓨터 교실 개방

진로, 자격 취득 등을 위한 학습기회 제공

자연체험 등 단체 숙박 활동, 문화, 스포츠 등의 체험학습 기회 제공

인턴십 등 캐리어 교육 기회 제공

보통과

68.3%

30.4%

87.8%

19.0%

34.0%

전문학과

61.7%

53.5%

85.3%

16.4%

40.5%

종합학과

69.8%

48.6%

91.4%

23.8%

52.7%

2009년도에는 학교도서관 개방, 실습실이나 컴퓨터 교실 개방, 체험학습의 기회제공 등의 비율이 2011년도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은 감소하고, 그 대신 인턴십 등 캐리어 교육의 기회제공과 진로나 자격취득 등을 위한 학습기회 제공의 비율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최근 들어 방학을 활용하여 학력향상과 취업을 위한 활동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주목을 받고, 주류를 이루어가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인성교육과 관련하여 체험학습도 뒤처지지 않도록 민간단체를 활용하여 다양한 체험활동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나가노현에서는 여름방학을 이용하여,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자연체험 캠프를 주최하기도 한다. 올해로 19회째를 맞는 이 캠프는 7월에 1박 2일간의 준비캠프를 거쳐, 8월에 4박5일의 본 캠프를 개최하며, 정원은 50명이고, 23,00엔의 참가비가 필요하다. 이 캠프 프로그램 내용은 첫째 날이 ‘만남의 날’로 야외식사나 캠프파이어, 설문조사 등을 하고, 둘째 날에는 ‘친구 만들기’로 그룹별로 넷째 날의 일정을 계획한다. 셋째 날 은 ‘강 체험’이라고 하여 강에서 고기잡이나 물놀이 등을 하며, 넷째 날은 사전에 계획한 일정을 그룹별로 실시한다.

오사카 지방에서는 일대의 교육위원회가 후원하는 ‘어드벤쳐 키즈 스쿨’ 실행위원회가 있는데, 여름방학을 이용하여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연체험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실시하고 있다.

자연체험뿐 아니라 과학이나 방재 등과 같은 체험활동도 많이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면 오사카부 교육위원회는 ‘여름방학 키즈 체험 강좌’를 제공하는데, 건전지 만들기, 현미경으로 곰팡이를 관찰하기, 가죽으로 여러 가지 물건을 만들기, 에코 생활체험, 브록콜리의 DNA 추출 등 외부기관이 주최하는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고 있다.

3. 특징 및 시사점

방학과 관련한 일본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 번째, 최근 들어 방학기간을 단축하는 학교가 늘어나고 있다. 수업일수와 관련해서 살펴볼 때, 2011년도에 연간 총 수업시수를 늘린 학교는 초등학교가 75.9%, 중학교가 13.3%인데, 연간 총 수업시수를 늘리기 위해 방학을 단축한 학교는 초등학교가 6.1%, 중학교가 6.2%로, 학력향상을 위해 방학기간을 단축하는 곳이 늘어났다. 특히, 쿄토부는 약 절반의 초등학교가 3일간 여름방학을 단축했으며, 중학교도 약 40%가량이 여름방학을 단축했고, 고등학교는 5일 이상 단축한 학교가 67.4%나 되었다. 이렇게 수업시수를 확보하기 위해 방학기간을 단축하거나, 방학 동안 학생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주로 보충학습과 관련된 것을 볼 때, 학력향상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방학도 학력향상을 위한 기간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방학 동안에 가능한 한 체험활동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것은 학력향상의 측면과 인성교육의 측면을 종합적으로 가지고 있는데, 문부과학성의 2002년도 학습의욕에 관한 조사연구에서는 ‘자연을 접한 체험을 한 경우 학습 의욕이 생기는가’라는 항목에서 초등학생의 44.7%가 ‘아주 많이 생긴다’, 46.8%가 ‘생긴다’고 하였으며, 중학생의 22.7%가 ‘아주 많이 생긴다’, 50.5%가 ‘생긴다’고 하였고, 고등학교의 13.2%가 ‘아주 많이 생긴다’, 49.7%가 ‘생긴다’고 하여, 자연체험이 학습의욕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자연체험활동 등에 관한 실태조사-보고서 2005년도 조사’에 의하면, 자연체험을 많이 한 초?중학생은 도덕의식이나 정의감이 강한 사항이 많고, 자연을 접하는 것을 통해 학습의욕이 환기되는 사람이 많다는 결과가 나왔다.

한편, 방학 동안 여러 가지 활동을 제공함에 있어, 교원업무 부담이 가중된다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일본의 교원은 방학이 되어도 기본적으로 연수, 클럽활동 지도, 수영장 지도, 학부형과의 면담 등 많은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방학기간에 학교시설을 개방하거나 보충수업 또는 체험학습 등을 제공하는 것은 좋으나, 교원업무 부담을 가중시키지 않는 방향으로 모색하는 것도 필요하다.

시마네현 이즈모시 ‘장기휴업일의 탄력적인 운용에 대해’

//www.mext.go.jp/a_menu/shotou/new-cs/__icsFiles/afieldfile/2012/01/31/1315677_1_1.pdf

2011년도 공립 초중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실시상황 조사 결과

//www.mext.go.jp/a_menu/shotou/new-cs/__icsFiles/afieldfile/2012/01/31/1315677_1_1.pdf

2004년도 공립 초중학교 장기휴업기간중의 학습기회 충실 상황

//www.mext.go.jp/b_menu/shingi/chukyo/chukyo3/004/siryo/06080916/010/013/007.htm

2011년도 공립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 실시 상황조사 결과에 대해

//www.mext.go.jp/a_menu/shotou/new-cs/__icsFiles/afieldfile/2011/01/21/1301650_1_1.pdf

//www.mext.go.jp/a_menu/ikusei/npo/npo-vol2/1316406.htm

//www.mext.go.jp/b_menu/shingi/chukyo/chukyo0/toushin/07020115/005.htm

작성자 : 김지영(일본통신원)

※ 본 자료의 무단배포를 금합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