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 배출량 - isanhwatanso baechullyang

TEST RESULT

ȫ�浿���� �̻�ȭź��(CO��)�߻��� ����Դϴ�.

ȫ�浿 �� ������ �̻�ȭź�� ���ⷮ�� �� 1,017kg �̸�,
����� �ٸ� ���� ��� 315.9kg ���� �� 222% �� ���� �����ϰ� �ֽ��ϴ�.
1,017kg�� �̻�ȭź�� �� ����Ű�� ���ؼ��� 367 �׷��� �ҳ����� �ɾ�� �մϴ�.
������ �׷����� ���� ��� �κп��� �̻�ȭź�Ҹ� ���� �߻��ϰ� �ִ��� ���� ������.

아울러, 온실가스 배출효율성 지표인 '국내총생산(GDP) 당 배출량'은 356톤/10억원으로 2011년 이후 계속 개선되는 추세이며, 이는 2021년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대비 4% 증가한 반면, 온실가스 배출량은 이보다 낮은 3.5% 증가한 것이다.

분야별 배출량 비중을 살펴보면, 에너지 분야가 5억 9,060만톤으로 86.9%를 차지했으며, 산업공정 7.5%(5,100만톤), 농업 3.1%(2,120만톤), 폐기물 분야가 2.5%(1,680만톤) 순으로 분석됐다.

< '21년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비중 >

이산화탄소 배출량 - isanhwatanso baechullyang

에너지 분야는 제조업·발전·수송부문을 중심으로 생산량 및 연료 소비 증가로 배출량이 2020년에 비해 3.6% 증가했다.

<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추이 >

이산화탄소 배출량 - isanhwatanso baechullyang
 

제조업 부문에서는 화학 580만톤(12.4%↑), 철강 440만톤(4.7%↑) 등 전체 배출량이 1,270만톤(7.0%)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발전 부문은 산업활동 회복에 따른 전력수요 증가로 전년에 비해 400만톤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발전량은 4.5% 증가*했으나, 기존 석탄발전 감축과 고효율 신규 석탄설비 운용, 원단위가 비교적 낮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증가(13%) 및 재생에너지 발전 증대** 등의 정책적 노력에 힘입어 온실가스 배출량은 1.8% 증가에 그친 것으로 추정되었다.

* '20년 552 테라와트시(TWh) → '21년 577 테라와트시(TWh) (자료 : 전력통계속보)

** 석탄 발전비중('20 35.6% → '21 34.3%) 감소 및 고성하이 1·2호기 및 신서천 1호기 신설, LNG 비중 증가(26.4% → 29.2%), 신재생 발전 증가(6.6% → 7.5%)

수송 부문은 이동수요 증가*로 배출량이 전년보다 160만톤 증가(1.7%↑)한 것으로 나타났다.

* 휘발유, 경유 소비량이 각각 5%, 1% 증가, 전국 고속도로 교통량 7% 증가

상업·공공·가정 부문은 연초 한파 등의 영향으로 도시가스 사용이 늘어(2%↑) 배출량이 전년보다 60만톤 증가(1.4%↑)한 것으로 추정됐다.

산업공정 분야 배출량은 시멘트, 반도체 등 생산량 증가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5.2% 증가한 5,100만톤으로 추정됐다.

한편, 농업 분야는 가축 사육두수 증가와 경작면적 감소의 상쇄로 전년대비 0.9% 증가한 2,120만톤 수준으로 나타났다.

폐기물 분야는 폐기물 발생량 증가에도 재활용 증가 및 누적 매립량 감소 경향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1.6% 감소한 1,680만톤을 배출한 것으로 예상됐다.

서흥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은 "2021년에는 그간 코로나19로 위축되었던 산업활동이 회복되면서 전세계적으로 에너지 소비가 증가했고, 국내에서도 발전량 증가, 산업생산 활동 회복, 수송용 연료 소비 증가 등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했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2022년에도 에너지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기에, 2030년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NDC)'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위기의식을 가지고 적극적인 감축노력을 이행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제공한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가이드라인을 국내 실정에 맞게 적용하여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서 매년 국가 온실가스 통계 산정·보고·검증지침 제공

  • Revised 199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 Good Practice Guidance and Uncertainty Management in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2018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우리나라의 2018년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727.6백만톤CO2eq.이며, 1990년도 292.2백만톤CO2eq.에 비해 149.0% 증가하였고, 2017년도 총배출량인 709.1백만톤CO2eq.보다 2.5% 증가하였습니다. 2018년도의 총배출량의 86.9%는 에너지분야, 7.8%는 산업공정분야, 2.9%는 농업분야로 에너지분야에서 주로 배출되었습니다. 에너지 분야의 2018년 배출량은 1990년에 비해 2.7% 증가하였는데 공공 전기·열 생산 부문에서 17.0백만톤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GDP 당 배출량은 2017년 대비 0.4% 감소한 402톤/10억원으로 1990년 이후 최저치이며 인구당 배출량은 2.0% 증가해 14.1 톤/명 수준입니다.

지난 9월24일 그린피스와 기후위기비상행동 등 400여개 단체로 구성된 ‘9월기후정의행동’이 주최한 기후정의행진 참가자들이 서울 세종대로에서 손팻말을 들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번 행사는 2019년 이후 3년 만에 진행되는 대규모 기후변화 관련 행사다. 연합뉴스

이산화탄소 배출량 - isanhwatanso baechullyang

미세먼지를 한국에서 배출하면, 한국만 피해를 본다. 하지만 온실가스는 그렇지 않다. 한국이 적게 배출하더라도 다른 나라가 많이 배출하면, 전 지구 배출량에 따라 세계 시민들은 피해를 균등히 입는다. 지구 대기 중 높아진 온실가스 농도가 지구 시스템을 무작위로 교란하기 때문이다.이 때문에 온실가스를 줄이려는 국제기후정치에는 ‘죄수의 딜레마’ 게임이 적용된다. 서로 협력하여 선택하면 풀 수 있는 문제이지만, 이기적인 선택을 하여 모두에게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 각국이 모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자고 합의한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이 체결된 1992년 356ppm이던 이산화탄소 농도는 30년이 지난 2022년 417ppm까지 치솟았다. 국제기후정치는 거듭 실패했다.한국도 ‘눈치 보는 죄수’였다. 당사국간 구속력 있는 온실가스 감축 협정으로서는 최초인 1997년 교토의정서에서 한국은 선진국으로 구성된 ‘부속서1’ 국가에서 빠져 감축 의무를 부여받지 않았다.그러는 사이 한국은 경제 성장과 함께 온실가스 다배출 국가가 됐다. 27일 환경단체 그린피스가 분석한 자료를 보면, 1990년 한국의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2억5천만톤으로 세계 29위였으나, 2020년에는 5억9800만톤으로 9위로 뛰어올랐다. 영국과 네덜란드, 벨기에, 그리스 등 네 나라 배출량을 합한 것과 맞먹는다. 그린피스는 “이 기간 네 나라는 1990년 대비 평균 38%의 온실가스를 줄인 반면 한국은 온실가스를 오히려 139% 늘렸다”고 설명했다.물론 억울한 점이 있다. 유럽연합과 미국 같은 선진국이야말로 19세기 산업혁명 이후부터 지구를 망쳐 온 주범이기 때문이다. 반면 한국은 뒤늦게 산업화에 나서 이제야 본궤도에 올랐다. 기후변화협약상의 선진국은 현재의 경제개발 수준만을 뜻하는 게 아니라, 값싼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산업혁명 때부터 경제발전을 이룩한 나라로 봐야 한다는 것이 그동안 한국 내세워 온 논리였다.하지만 이런 소명은 더는 통하지 않게 됐다. 한국의 역사적 온실가스 배출량이 서구 선진국 못지않기 때문이다. 그린피스 자료를 보면, 한국의 1800년대 이후 온실가스 누적 배출량은 세계 17위다. 한국보다 인구가 비슷한 스페인(18위)을 이미 넘어섰고, 벨기에,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등보다 앞서 있다.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대비 2도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합의한 2015년 파리협정 이후 지금의 시대를 ‘신기후체제’라고 한다. 이때부터는 선진국에만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부과하지 않았다. 회원국 모두가 자발적으로 국가 온실가스 감축량(NDC)을 설정하고 2년 주기로 이행 경과를 보고하기로 한 것이다. 개발도상국에 온실가스를 감축하라고 압력을 넣었던 선진국과 여기에 역사적 책임을 들며 저항한 개발도상국이 맺은 일종의 ‘타협’이었다.내년부터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는 5년마다 온실가스 감축 등에 대한 전 지구적 차원의 이행 점검(GST)을 실시한다. 나라마다 자기가 낸 숙제를 검사받는 셈인데, 숙제를 안 했다고 불이익을 받는 조항은 없다. 기후환경단체 플랜1.5의 박지혜 연구원은 “이것이 국가들에 얼마나 압력으로 작용할지는 11월 6일부터 이집트에서 열리는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이번 총회에서 한국은 선진국에 준하는 노력을 하겠다는 점을 밝힐 예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충실히 이행하고, 경제 규모에 걸맞게 개도국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힐 방침”이라고 했다.앞서 정부는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2030년까지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 대비 40%를 감축하겠다고 선언했다. 윤석열 정부 들어서는 2030년 원전 비중을 32.8%로 대폭 확대하면서, 재생에너지 비중을 8%가량 낮추는 등 후퇴했다. 온실가스 다배출국가에 걸맞은 행동을 한국이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고 세계 기후환경단체는 이번 당사국총회를 벼르고 있다.그린피스는 “2018년 이후 2년간 줄었던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다시 늘고 있다. 매우 불충분하다고 평가받는 현재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량조차 지켜질 가능성이 작아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2030년과 2050년 시점의 목표 배출량보다 (2050년까지의) 누적 총배출량 관리가 더 중요한데, 이에 대한 계획과 의지가 보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남종영 기자 [email protected]

한겨레와 친구하기

  • 한겨레앱

    이산화탄소 배출량 - isanhwatanso baechullyang
    이산화탄소 배출량 - isanhwatanso baechullyang

왜 탄소가 문제일까?

탄소 배출과 지구 온난화 만약 지구에 대기 없다면 지구 표면 온도 –20도까지 떨어지므로, 온실효과는 생물체 살아가기 적당한 평균 기온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지구 대기에서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를 온실가스라고 부르는데, 그중 이산화탄소가 가장 큰 역할을 한다.

온실가스란 무엇이며 어떤 것들이 있는지 쓰시오?

온실가스 또는 온실 기체(溫室氣體, 영어: greenhouse gases, GHGs)는 지구의 지표면에서 우주로 발산하는 적외선 복사열을 흡수 또는 반사하여 지구 표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는 특정 기체를 말하는데 두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원자가 결합된 모든 기체가 이에 해당한다 ...

몇 톤의 온실가스?

한국의 온실가스배출량은 교토의정서에서 온실가스 감축 기준 연도로 설정한 1990년 2억 9210만 (이산화탄소 환산 기준)에서 2019년 7억 140만 으로 140%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