꽈리 열매 - kkwali yeolmae

한자어로는 산장(酸漿)이라 한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에는 산장의 향명(鄕名)이 질과아리(叱科阿里)라고 되어 있다. 학명은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MASTERS HORT.이다.

높이는 40∼90㎝이며, 털이 없고 지하경(地下莖)이 길게 뻗어 번식한다. 잎은 어긋나게 나며, 초여름에 황백색의 작은 꽃이 핀다. 꽃이 진 뒤에는 구슬모양의 장과(漿果)주 01)를 맺는데, 익으면 붉게 된다. 열매는 지름이 1.5㎝ 정도로 먹을 수 있으며, 뿌리와 열매는 약으로도 쓴다. 주로 중부 이남지역에 분포하는데 산에 야생으로 자라거나 민가 근처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명의별록(名醫別錄)』에서는 “꽈리는 곳곳에 많이 있다. 싹이 가지싹과 비슷하나 작다. 잎은 가히 먹을 수 있다. 열매에는 씨가 있는데 매화·오얏씨 크기와 같으며, 모두 황적색이다. 아이들이 잘 먹는다.”고 하였다. 꽈리가 잘 익은 것은 특이한 단맛과 신맛이 있어서 어린이들이 곧잘 따서 먹으며, 또 열매의 씨를 빼어버리면 아이들의 입 노리갯감으로 쓰인다.

또, 꽈리로는 정과를 만드는데, 이것은 잘 익은 꽈리열매를 따서 꿀에 잰 음식이다. 어린잎은 데쳐서 물에 담가 쓴맛을 우려낸 다음 요리한다. 또, 꽈리는 약재로 이용된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의하면 “성(性)은 평(平), 한(寒)하고 맛은 시며 독이 없다. 꽈리의 뿌리를 짓찧은 즙을 먹으면 황달을 다스린다. 뿌리는 미나리와 같고 색깔이 희고 맛이 쓰다.”고 하였다.

또, 『당본초(唐本草)』에서는 “기관지천식·기침·풍열을 다스리고 눈을 밝게 한다. 뿌리·줄기·꽃·열매가 아울러 좋다.”라고 하였다. 『가우본초(嘉祐本草)』에서는 “충을 죽이고 낙태(落胎)를 시키며 충독을 없애는데, 삶아서 즙을 마시거나 짓찧어 즙을 마시든지 한다.”라고 하였다. 꽈리는 이뇨작용을 하고, 통풍약 또는 낙태제로서 특효가 있는 것으로 예로부터 알려져 있다.

꽈리의 효능

쌍떡잎식물강 통꽃식물목 가지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 Physalis alkekengi var. trancheti(MASTERS) HORT.

영명 : ground cherry

이명 : 홍고랑, 등롱초, 산장과, 산장초, 꾸와리

원산지 : 한국

분포지 : 한국, 중국, 일본, 만주

꽃말 : 수줍음, 조용한 미, 약함

크기 : 40~80cm.

전초를 산장(酸裝: 전초를 말린 것), 괘금등(열매),

6~7월에 흰색으로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자루에 1개씩 달린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지름이 1.5cm 정도로 가을에 빨갛게 익는다.

털이없고 땅속줄기가 길 게 뻗어 번식한다.

전국각지에서 자생하며 산비탈, 마을빈터, 풀밭 등에서 흔하게 볼수 있으나,

근래에는 그리 흔한 것은 아니다.

열매를 주로 이용하며 전초를 쓰기도 한다.

전초와 뿌리를 9~10월 사이에 채취하여 날것으로 쓰거나 햇볕에 말려서 쓴다.

꽈리의 효능

성미: 성질은 평하고 차며 맛은 쓰고 시며 독이없다.

약효: 전초를 산장(酸裝) 이라고 하며,

청열, 해독, 이수의 효능이 있고 열해, 인통, 인후종통, 황달, 부종, 천포습진을 치료한다.

뿌리를(산장근(酸裝根) 이라고 하며,

청열, 이수의 효능이 있고 열해, 인통, 황달, 말라리아를 치료한다.

열매를 괘금등(掛金藤)이라고 하며,

기생충구재, 청열, 해독, 이뇨의 효능이 있고,

해수, 인후종통, 부종, 황달, 임파선염, 난산, 간경화, 자궁염을 치료한다.

꽈리의 효능

<동의보감>에서는

성질은 평하고 차며 맛이 쓰고 시며 독은 없다.

열로 가슴이 답답하고 그득한 것을 낫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난산에 쓰고 후비(喉痺)를 낫게한다.

<본초강목>에서는

곳곳에서 자라는 열매는 거푸집으로 만든 주머니와 같으며,

그 속에는 알갱이가 있는데 매(梅)와 자두만 하고 적황색이며,

맛이 신 좁쌀죽 웃물과 같기 때문에 산장(酸裝)이라 한다.

뿌리는 미나리 뿌리와 같고 색은 희며 맛은 몹시 쓴데 황달을 낫게 한다.

산장(酸裝, 꽈리)를 어린아이에게 먹이면 열을 내리고 몸에 좋다.

꽈리의 효능

명의별록(名醫別錄)에서는

꽈리는 곳곳에 많다.(싹이 가지싹과 비슷하나 작다.)"잎은 가히 먹을 수 있다."

열매에는 씨가 있는데 매화 오얏씨 크기와 같으며 모두 황적색이다.

"아이들이 잘먹는다."고 하였다.

꽈리가 잘 익은 것은 특이한 단맛과 신맛이 있어서,

어린아이들이 곧잘 따서 먹으며,

또 열매의 씨를 빼어버리면 아이들의 입 노리갯감으로 쓰인다.

당본초 에서는

기관지 천식", 기침, 풍열을 다스리고 눈을 밝게 한다.

뿌리, 줄기, 꽃, 열매가 아울러 좋다."라고 하였다.

돼지고기를 체했을 때 꽈리의 뿌리를 적당히 달여서 마시면 즉시 낫는다.

꽈리의 효능

1. 간염: 열매 4~6g 또는 뿌리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2. 감기: 열매 4~6g 또는 뿌리 6~8g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일정도 복용한다.)

3. 난산: 열매 5~6g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2회 복용한다.

4. 번만: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5. 사독: 온포기 또는 뿌리를 짓이겨 부기가 가실 때까지 환부에 붙여준다.

6. 생리통: 열매 4~6g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꽈리의 효능

7. 설사: 열매 5~6g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8. 소변불통: 열매 5~6g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9. 수종: 열매 5~6g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10. 열병: 열매 5~6g 또는 뿌리 6~8g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11. 요통: 열매 5~6g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어깨 결림증)

12. 월경이상: 열매 5~6g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꽈리의 효능

13. 유산, 조산: 열매 5~6g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복용한다.

(임신중 넘어져 유산의 위험이 있을 경우),

14. 이뇨: 열매 5~6g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15. 인후통증: 열매 5~6g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16. 종독: 온포기 또는 열매를 달여서 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17. 진해: 잎이나 열매 5~6g 또는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서 5일 정도 복용한다.)

꽈리의 효능

18. 치질: 열매 6g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하면서 아울러 생즙을 내서 환부에 자주 바른다.)

19. 편도선염: 열매 2~6g 또는 뿌리 7~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6일 복용한다. 뿌리는 생즙을 내서도 복용한다.)

20. 해수: 열매 5~6g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씩 5일 이상,

열매는 달여서 복용하고 뿌리는 생즙을 내어 복용한다.

21. 해열: 열매 5~6g 또는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4~5회,

열매는 달여서 복용하고 (뿌리는 생즙을 내어 복용한다.)

22. 황달: 열매 4~6g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뿌리는 생즙을 내어 복용해도 된다.)

꽈리의 전설...

조선시대 때의 일입니다.

어느 마을에 가난하게 자랐지만,

밝은 성격에 마음씨 착한 소녀가 살았습니다.

꽈리는 노래를 잘 불렀습니다.

티없이 맑고 고운 목소리로 노래를 부르며

온 동네 사람들은 칭찬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꽈리가 살고 있는 마을에는 또래의 소녀가 있었는데,

세도 높은 양반 집의 딸이라,

거만하였으며 심술궂고 질투가 많았습니다.

어느 봄날.....

들녁에는 아지랑이가 모락모락 피어 오르고

숲에서는 온갖 새들이 노래하는 화창한 날씨에,

나물 캐러 와서 기분이 좋아진 꽈리는 노래를 부르기 시작 했습니다.

꽈리의 노래는~

산들 바람을 타고 활짝 핀 꽃들이

곱게 웃고 있는 들녁을 떠 돌았습니다.

"이 아름다운 노래가 어디서 들려오는고?

선녀의 노래소리 같구나.

가서 이 노래를 부르는 소녀를 데려 오너라."

마침 고을을 지나던 원님이

꽈리의 노래 소리를 듣고는 꽈리를 불렀습니다.

그러나 꽈리는 몹시 수줍음을 타는 소녀였습니다.

"어디 사는 누구인고?"

꽈리는 고개도 들지 못하고 얼굴만 붉혔습니다.

원님은 돌아갔고 그 소문은 온 마을에 퍼졌습니다.

양반집 소녀는 질투에 몸을 부르르 떨 정도 였습니다.

그해! 가을에 마을에서는,

원님을 초대한 커다란 잔치가 있었습니다.

꽈리는 양반 집 모녀의 심술이 두려워 참석하지 못했습니다.

원님이 물었습니다.

"지난 봄에 이 고을을 지나다가 노래를 아주 잘하는 소녀를 보았지요.

그런데 그 소녀는 참석하지 않은 것 같군요.

그 노래소리를 다시 한번 듣고 싶은데"

주인은 꽈리를 데려오도록 하였습니다.

원님앞에 당도한 꽈리는 역시 부끄러워 목까지 빨개졌습니다.

그러나 원님이 기다리고 동네 사람들도 조르는 바람에,

노래를 하려고 목청을 가다듬고 있는데,

양반집 모녀에게 돈을 받은 불량배들이 큰 소리로 떠들었습니다.

"저애가 노래를 부른다고?"

"저 꼬락서니 좀 보라."

"누더기 차림으로 어떻게 원님앞에 나올수 있어?"

수줍음 많은 꽈리는 부끄러워 어쩔 줄 몰랐습니다.

끝내 노래를 못 부르고 집으로 돌아온 꽈리는,

그대로 자리에 눕고 말았습니다.

끝내 숨지고 말았습니다.

이듬해 봄에 꽈리의 무덤에서,

처음 보는 풀 한 포기가 돋아 났습니다.

그 풀은 꽃을 피우고 새빨간 열매를 주렁주렁 달았습니다.

열매는 마치 생전에 수줍어 하던 꽈리의 모습처럼 붉었습니다.

그래서 이 꽃을 꽈리라고 불렀습니다.

붉게 여문 둥근 열매 속의 씨를 빼 버리고,

입에 넣어 소리를 내면서 꽈리를 사랑했다 합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