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거래소 수수료 - koingeolaeso susulyo

Getty Images Bank

국내 암호화폐거래소 시장이 최근 고팍스의 합류로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등과 함께 5대 거래소 체제로 재편됐다. 이를 계기로 수수료를 무료화하거나 오히려 환급해주는 거래소가 나타나는 등 투자자 유치 경쟁이 불붙고 있다. 거래소별로 차별화된 혜택과 단점 등을 투자자 입장에서 정리해봤다.

코빗은 수수료 ‘환급’, 고팍스는 ‘무료’

코빗은 지난달 20일부터 지정가 주문에 대해 0.05%의 수수료를 투자자에게 지급하고 있다. 투자자들이 매매 체결 수수료를 내는 게 아니라 오히려 환급받는다는 점에서 파격적이라는 평가다. 다만 즉시 체결 방식의 현재가 주문은 기존보다 0.05%포인트 인상한 0.2%의 수수료율이 적용된다. 최근 전북은행과 실명계좌 연결을 마친 고팍스는 이달 31일까지 수수료를 0%로 유지한다. 기본 수수료는 업비트가 업계에서 가장 낮다. 거래액에 관계없이 0.05%의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 빗썸이 0.25%로 가장 높고, 코인원과 고팍스가 0.2%를 각각 적용한다.

빗썸과 코인원은 거래액이 많은 투자자가 쓰기에 유리하다. 거래액이 많을수록 수수료율이 낮아지는 구조여서다. 가령 빗썸에서는 32만5000원짜리 쿠폰을 사면 5억원까지 0.065%의 수수료율이 부과되는 식이다. 최근에는 30일 누적거래액이 200억원 이상인 경우에 한해 거래액 5억원까지 0.04%의 수수료를 부과하는 쿠폰을 내놓기도 했다. 고액 투자자에게 혜택을 더 집중한 셈이다. 거래액이 크면 쿠폰을 사서 최대 0.04%까지 수수료율을 낮출 수 있다. 코인원은 월 거래액이 30억원 이상이면 VIP로 분류돼 지정가 주문 시 0%, 현재가 주문 시 0.01%의 수수료 혜택이 주어진다. 고팍스는 신규 가입자의 추천인이 신규 가입자가 낸 매매수수료의 50%를 받아가는 ‘추천인 리워드’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코빗은 장기 투자를 독려하고 있다. 최근 투자자가 정한 주기(일별·주별·월별)마다 적금처럼 암호화폐를 자동으로 사들이는 자동 적립식 매수 서비스 ‘스마투’를 내놨다. 여러 암호화폐를 함께 매수하는 ‘묶음 구매’도 가능하다.

입출금 한도 제한 해제 방법도 달라

암호화폐 투자의 가장 큰 걸림돌로 ‘한도 제한 계좌’가 꼽힌다. 업비트·빗썸·코인원에선 앱으로 비대면 계좌를 개설하면 하루 이체 한도가 100만원으로 막힌다. 코빗은 30만원으로 더 적다. 고팍스만 입출금 한도가 1000만원으로 큰 편이다. 한도 제한을 풀기 위해선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앱에서 별도의 인증을 거쳐야 한다.

한도 제한을 푸는 편의성에서 거래소마다 큰 차이가 난다. 지점이 없는 인터넷은행 케이뱅크나 지방은행인 전북은행은 비대면으로 한도 제한을 풀 수 있다. 관리비, 공과금 고지서 등을 촬영해 앱에 올리면 서류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한 뒤 몇 시간 안에 정상 계좌로 바뀐다. 반면 농협은행과 연계된 빗썸과 코인원은 하루 100만원, 신한은행을 이용하는 코빗의 경우 30만원 이상 예치하려면 직접 영업점을 찾아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한도 제한만 풀리면 모든 거래소의 입출금 한도가 ‘억 단위’로 올라간다. 다만 모든 거래소에서 입금한도보다 출금한도가 적다. 통상 하루 출금한도는 2억원, 입금한도는 5억원이다. 별도 심사를 거치면 더 큰 액수의 입출금도 가능하다.

스테이킹은 코인원에서 가장 활성화

거래소에서 암호화폐를 매수해 장기 보유할 생각이라면 ‘스테이킹’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암호화폐 스테이킹은 은행 예·적금처럼 보유 암호화폐를 일정 기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묶어두는 대가로 이자를 받는 서비스다. 주로 이더리움 계열 암호화폐를 대상으로 한다. ‘록업 기간’에는 예치한 암호화폐를 뺄 수 없다.

이자도 암호화폐로 지급되기 때문에 가격이 급락하면 원금 손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금리는 하루 단위로 변동되고 일 복리로 계산한다.

스테이킹은 모든 거래소에서 이용할 수 있다. 가장 활성화된 곳은 코인원이다. 카카오 그라운드X의 암호화폐인 클레이튼을 비롯해 암호화폐 3종에 대해 스테이킹이 가능하다. 코인원에서 스테이킹 코인의 시가총액은 지난달 29일 오후 3시 현재 2724억원에 달한다.

박진우 기자

‘수수료 제로’ 고팍스…여전히 비싼 코인 거래소 수수료 내릴까

고팍스, 원화마켓 재개 기념 5월 말까지 수수료 0%
코빗, 수수료 환급 정책…빗썸·코인원, ‘고래 투자자’ 공략
여전히 수수료 비싸다는 지적도…증권사의 4배 수준

 

지난달 19일 오후 서울 서초구 빗썸 고객센터에 비트코인 현재 시세가 표시되고 있다. [연합뉴스]

최근 고팍스가 원화마켓 운영을 재개하면서 국내 가상자산(암호화폐) 시장이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등과 함께 5대 거래소 체제로 재편됐다. 이에 거래 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진행하거나, 오히려 수수료를 환급해주는 거래소가 등장하는 등 수수료 인하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고팍스 원화마켓 거래 수수료 무료 이벤트. [사진 고팍스 홈페이지]

3일 업계에 따르면 고팍스는 원화마켓을 재개함과 동시에 한 달간 수수료 무료 정책을 시행하기로 했다. 고팍스는 지난 2월 전북은행과 제휴를 맺으면서 실명확인 입출금계좌(실명계좌)를 확보, 금융정보분석원(FIU)에 원화마켓 사업자 변경 신고를 했다. 지난 21일 FIU가 신고를 수리함에 따라 28일부터 원화마켓 운영을 재개했다.

  고팍스 관계자는 “그동안 (원화마켓 재개를) 기다려준 고객들에게 감사의 의미로 5월 말까지 거래 수수료 무료 정책을 시작하게 됐다”며 “바로 공격적인 경영을 하는 것보다는 원화마켓 안정화에 최우선 순위를 두고 운영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고팍스의 기본 거래 수수료율은 0.2%로 6월부터 다시 수수료를 부과할 가능성이 크다.

  코빗은 지난달 20일부터 지정가 주문에 대해 0.05%의 수수료를 이용자에게 돌려주고 있다. 일명 ‘마이너스 수수료’로 수수료를 내는 게 아니라 오히려 환급받는다는 점에서 투자자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다. 다만 즉시 체결 방식의 시장가 주문은 기존보다 0.05%포인트(p) 인상된 0.2%의 수수료율이 적용된다.

  다른 거래소의 사정은 어떨까. 기본 수수료는 업비트가 업계에서 가장 낮다. 거래액과 관계없이 0.05%의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 가장 높은 곳은 빗썸으로 0.25%를 적용하고 있다. 코인원은 고팍스, 코빗(시장가 주문)과 비슷한 수준인 0.2%다.

빗썸 거래 성향별 수수료 쿠폰 추천. [사진 빗썸 홈페이지]

빗썸과 코인원은 거래액이 많을수록 수수료율이 낮아지는 구조다. 예컨대 빗썸에서는 32만5000원짜리 쿠폰을 사면 5억원까지 0.065%의 수수료율이 부과되는 식이다. 최근에는 30일 누적거래액이 200억원 이상인 경우, 거래액 5억원까지 수수료 0.04%만 부과하는 쿠폰을 선보였다. ‘고래(고액투자자)’ 공략에 집중한 셈이다.

  코인원은 월 거래액이 30억원 이상이면 VIP로 분류돼 지정가 주문 시 0%, 시장가 주문 시 0.01%로 수수료를 우대해준다. 여기에 서브계정, IP 화이트리스팅을 제공하고, VIP 특별선물도 증정해준다.

“그래도 비싸다”…증권사 수수료의 4배 수준  

코인거래소 증권사 수수료 비교

일부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거래 수수료 인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여전히 일반 금융거래 시장에 비해 높게 형성돼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위원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원화마켓을 운영하는 국내 4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의 거래 수수료 평균은 약 0.175%로 나타났다.

  4대 증권사로 꼽히는 미래에셋증권·키움증권·삼성증권·한국투자증권 국내주식 거래 수수료 평균인 0.04%와 비교하면 네 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또 증권사는 스마트폰 앱 등 비대면으로 계좌를 개설하면 한국거래소와 한국예탁결제원에 내는 수수료율 0.004% 수준만 부담하면 되는 경우도 많다.

  해외 주요 암호화폐 거래소 수수료와 비교해도 국내 거래소의 수수료율은 높다. 세계 최대 규모인 바이낸스는 0.065%, 미국 거래소 FTX는 0.033%, 중국 거래소 후오비글로벌은 0.135%의 거래 수수료를 책정하고 있다.

  유 의원은 “결국 국내 이용자들은 코인 거래를 위해 과도하게 높은 수수료 부담하지만, 그에 상응하는 서비스는 받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높은 수수료 문제는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들 오랜 문제라 지적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자본시장법이나 금융당국 권한에 수수료 부과 기준과 절차를 정해놓지 않다 보니 일반 투자자들만 피해를 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화인 블록체인 에반젤리스트는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산업 자체가 ‘갈라파고스’처럼 돼 있어 국내 투자자들의 선택이 제한적”이라며 “거래 수수료 문제뿐 아니라 에어드랍이나 예치금 이자수익을 고객에게 돌려주지 않는 등 거래소들의 운영 방침의 문제가 심각하다”고 설명했다.

윤형준 기자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