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이온 배터리 열폭주 - lityum-ion baeteoli yeolpogju

구성항목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Battery/Battery engineering

2020. 11. 26.

ESS(Energy Saving System)이든, EV(Electric Vehicle)이든 배터리를 사용하는 분야라면, 필드의 엔지니어라면

'열폭주(Thermal runaway)'에 대해 신경을 쓸 수밖에 없습니다.

리튬배터리의 화재는 일반 화재와는 달리 진압조차 할 수 없으며, 인명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이런 열폭주는 도대체 어떤 메커니즘으로 일어나는 것일까요??

일단 배터리 셀의 관점에서 보면

배터리의 열관리가 안되서 일정 온도 이상 유지가 될 시 셀의 전해질이 기체화 되어 셀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때 발생하는 가연성 전해줄밀질이 기화되고 분출될 뿐만아니라, 내부압력의 증가로 인해 분리막에도 소손이 갈 확률이 올라가게 됩니다.

여기서 내부쇼트 혹은 가연성 기체물질에 의해 착화되고, 이는 인접배터리셀들의 가열로 이어지며 화재가 확산되어 결국은 배터리팩 전체가 화재가 일어나게 됩니다.

이렇게 화재가 일어나면, 리튬이온은 물과 반응을 잘하는지라 물을 뿌리게 되면 불이 더욱 커지므로

리튬 전극들 자체가 다 소진될때까지 기다릴 수 밖에 없습니다.

열폭주의 외부원인으로는 3가지로 들 수 있습니다.

1. BSA 시스템 불량

2. 설치작업자 부주의

3. BMS결함 혹은 보호장치 누락

① BSA 시스템 불량

BSA 시스템 불량으로 인한 결로나 누수현상이 발생하여 배터리 셀을 냉각시켜야 하는 냉각수가 제대로 돌지 않는다던가, 냉각수에의해 셀들이 쇼트되는 경우입니다.

② 설치작업자 부주의

배터리 공정과정에서도 간혹 발생하는데, 배터리 자체가 물리적 충격에 의해 내부분리막이 소손되어, 필드에 나가 충/방전 사이클을 반복하는 경우, 내부쇼트로 열이 발생하게 되는 케이스입니다.

③ BMS결함 혹은 보호장치 누락

배터리의 팩단위 EV혹은 ESS에서 발생할 수 있을법한 문제인데 배터리를 제어하는 BMS가 제대로 동작하지못해 과충전/과방전을 막지 못하여, 제어 실패로 셀이 가열되어 화재가 생기는 경우입니다.

보통, 이런 경우는 faile safe mode를 통해 조기 진단(diagnosis)을 하고, 고전압배터리의 메인플러그를 끊어버립니다.

보호장치 누락은 비슷한 맥락인데, 시동을 걸고 메인 릴레이가 붙고(ON) 바로 전류를 흘려주게 되면, surge current라고 해서 순간적으로 큰 전류가 흘렀다가 (마치 화학의 활성화에너지처럼) 점차 전류가 안정화됩니다.

이 때의 surge current를 막아주기위한 적절한 저항이나 보호회로가 없다면 배터리셀이 순간적으로 과전류유입이되어 내부쇼트가 나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외에도 여러가지 원인들이 있을 수 있는데, 그건 특수한 경우에 의한 것들이고 메인 요인들만 딱 정리해보면

1. 내부분리막쇼트

2. 온도제어 실패

3. 과충/방전

정도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배터리 셀 단품으로만 보면 이런 문제들이 많이 생길 수 있기에, 배터리를 '시스템'단위로 보는 시스템엔지니어가 엄청나게 귀하며, 이를 제어하기위한 BMS엔지니어도 미국기준으로 몸값이 엄청나게 높은 편입니다.

(SW엔지니어임과 동시에 배터리의 화학/물적 특성을 모두 이해하고 있어야하는 하이브리드형 엔지니어기때문)

열폭주(thermal runaway)는 온도 변화가 그 온도 변화를 더욱 가속시키는 방향으로 환경을 변화시키는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열폭주의 결과물은 매우 파괴적이다. 즉, 열폭주는 일종의 통제 불가능한 양성 피드백이다. 다시 말하자면, 열폭주란 어떤 역학적 과정의 원인이 온도 증가인데, 그 과정의 결과 방출된 에너지가 온도를 증가시켜 그 과정이 가속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화학·화공의 온도 증가로 인한 발열성 반응, 전기공학에서 전류 증가로 인해 전력이 손실되고 그로 인해 열이 발생하여 소자가 파괴되는 것, 토목공학에서 대량의 콘크리트를 양생할 때 열이 발생하는 것, 천체물리학에서 핵융합이 폭주하여 초신성 폭발이나 헬륨 섬광을 일으키는 것 따위가 모두 열폭주 반응에 해당한다.

배터리에 열폭주가 일어나면 전압이 상승하거나 배터리가 부풀어 오르고 전해액의 온도가 상승하여 끓어오르는 현상이 발생, 다시 말해 열로 인해 더 큰 열이 발생하는 양성 피드백이 발생한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폭주 현상은 배터리의 결함이나 외부의 충격, 과충전, 과방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

목차

  • 1 리튬이온 배터리 열폭주 현상
  • 2 원인
  • 3 배터리 화재 대처 방안
  • 4 각주
  • 5 참고자료
  • 6 같이 보기

리튬이온 배터리 열폭주 현상[편집]

리튬은 배터리 화재 원인 중 하나다. 리튬은 에너지혁명을 가능케 한 영웅이자, 배터리 안정성의 발목을 잡는 소재다. 리튬은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이다. 이온화 경향은 금속이 전자(-)를 내주고 양이온(+)이 되려고 하는 정도를 말한다. 이온화 경향이 큰 금속일수록 공기 중 산소와 결합해 쉽게 산화한다.

순수 리튬은 물, 공기와도 반응할 정도로 폭발 위험이 높아 배터리로 쓰기엔 위험하다. 반면 산화 금속 상태의 리튬은 상당히 안정적이다. 이런 점을 활용해 2차전지 내에서 금속 리튬 대신 다른 금속에 섞은 리튬산화물을 활용한다. 배터리는 음극, 양극, 전해액, 분리막으로 구성된다. 리튬이온이 음극으로 가는 과정이 충전, 양극으로 돌아오는 과정이 방전이다.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이 접촉해 단락(합선)으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걸 막는다. 분리막에는 리튬이온만 오갈 수 있는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다. 리튬배터리는 보통 '열폭주'라는 현상을 통해 폭발한다. 음극에서는 약 70~90도에서 발열반응이 발생하기 시작하고, 양극에서는 130~150도에서 발생한다. 이때 적절하게 냉각되지 않으면 온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열에너지 발생 속도도 증가해 폭주하게 된다. 열폭주가 발생하면 분리막이 녹아 내부 단락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화재가 발생한다.

열폭주는 설계 오류, 제조 결함, 운영상 부주의, 오남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배터리 셀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시작하게 된다. 또 음극과 양극을 손상시키는 과전압이나 음극 표면에 리튬 금속이 나뭇가지 모양으로 들러붙는 덴드라이트가 생기는 과방전 등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원인으로 단락이 발생하고, 내부 온도 관리가 안 돼 일정 온도 이상 올라가면, 분리막이 손상되고 불이 붙게 된다. 이때 리튬은 물과의 반응성도 높아 물을 뿌리면 불이 더 격렬해지기도 한다.[1]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의 접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의 내부 결함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분리막이 손상되면 양극과 음극은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배터리가 단락되어 충전된 에너지를 순식간에 방출하여 많은 열이 발생하고, 열에 의해 전해액이 열분화되어 off-gas가 발생한다. 한편 전해액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DMC,DEC는 인화점이 각각 18도, 25도로 인화성 위험물이다. 일단 off-gas가 방출되면 (인화성 가스이므로)배터리 온도는 급격하게 상승한다. 온도의 상승은 더 많은 off-gas를 방출시켜 열폭주를 일으키고, 배터리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셀이 폭발하게 된다. 셀 하나의 폭발은 인접한 배터리를 가열한다. 배터리의 온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아지면 분리막이 녹아내리거나 전해액이 열분해되어 마찬가지로 열폭주가 발생한다. 화재가 급격히 확산되므로 대형 배터리팩에서 일단 화재가 발생하고 나면 아주 초기가 아닌 이상 사실상 진화할 방법이 없게 된다. 화재가 진화되더라도 파손된 배터리에 남아있는 내부 에너지에 의해 언제든지 재발화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2]

배터리 열폭주 현상이 생기면 화재 직전까지 전압, 온도변화는 없다.

 
  • 리튬이온 배터리

가열폭주 온도(188도->527도, 발열, 발화), 과충전 열폭주 온도(110도->317도, 발열, 발화), 송곳 관통(발열, 발화)

  • 리튬인산철 배터리

가열폭주 온도(186도->267도, 발열), 과충전 열폭주 온도(109도->179도, 발열), 송곳 관통(발열 발화 없음)

원인[편집]

  • 과충전

충전은 양극 결정에서 리튬이온이 탈리되어 음극 결정에 삽입되는 과정이다. 양극재로는 리튬금속산화물이 사용된다. 리튬금속산화물의 결정구조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당연히)리튬이 필요하고, 양극에서 필요 이상으로 리튬이 탈리되면 양극의 결정구조가 파괴되어 배터리 용량이 손실될 수 있다.

또한 과도하게 탈리된 리튬이 음극에 더이상 삽입되지 못하여 전해질에서 리튬 농도가 높아지면 덴드라이트라고 하는 뾰족한 나뭇가지 구조의 석출물이 생성된다. 덴드라이트는 분리막에 천공을 만들어 열폭주를 일으킬 수 있다.

  • 과방전

과방전 시에도 마찬가지로 덴드라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의 음극은 충전되면서 부피가 증가하는데, 이 과정에서 과방전시 생긴 덴드라이트가 분리막을 관통할 수 있다.

​* 과열

배터리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외부의 열에 의해 배터리가 과열되면 분리막이 용융되어 배터리가 단락될 수 있다.[2]

  • BSA 시스템 불량

BSA 시스템 불량으로 인한 결로나 누수현상이 발생하여 배터리 셀을 냉각시켜야 하는 냉각수가 제대로 돌지 않는다던가, 냉각수에 의해 셀들이 쇼트되는 경우

  • 설치작업자 부주의

배터리 공정 과정에서도 간혹 발생하는데, 배터리 자체가 물리적 충격에 의해 내부분리막이 소손되어, 필드에 나가 충/방전 사이클을 반복하는 경우, 내부쇼트로 열이 발생하게 되는 케이스

  • BMS 결함 혹은 보호장치 누락

배터리의 팩단위 EV혹은 ESS에서 발생할 수 있을법한 문제인데 배터리를 제어하는 BMS가 제대로 동작하지 못해 과충전/과방전을 막지 못하여, 제어 실패로 셀이 가열되어 화재가 생기는 경우이다. 보통, 이런 경우는 faile safe mode를 통해 조기 진단(diagnosis)을 하고, 고전압 배터리의 메인플러그를 끊어버린다. 보호장치 누락은 비슷한 맥락인데, 시동을 걸고 메인 릴레이가 붙고(ON) 바로 전류를 흘려주게 되면, surge current라고 해서 순간적으로 큰 전류가 흘렀다가 (마치 화학의 활성화에너지처럼) 점차 전류가 안정화된다. 이 때의 surge current를 막아주기 위한 적절한 저항이나 보호회로가 없다면 배터리 셀이 순간적으로 과전류 유입이 되어 내부 쇼트가 나버리는 경우도 있다.

배터리 화재 대처 방안[편집]

배터리 자체를 안전하게 설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수많은 배터리 셀의 온도, 충전 상태, 전압 등을 감시·관리하는 역할을 하는 BMS 등이 예시다. 이 밖에도 내부 압력이 가해졌을 때 가스가 발생해 분리막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상 상황이 되면 가스를 분출하는 가스배출 장치(VENT)가 있다.

배터리 위 작은 구멍이 평상시에는 닫혀 있다가 이상 상황이 되면 열린다. 배터리에 문제가 생기면 배터리 내부와 외부의 회로를 격리시키는 과충전 방지장치(OSD), 특정 전류가 흐르면 회로를 끊는 단락 차단 장치(FUSE)도 있다. 이 밖에 LS일렉트릭은 최적의 설정 온도(실온 25도)를 기준으로 모니터링을 하고, 이상 징후를 보이는 40도 직전부터 '알람', '위험' 경고를 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비상시 운영시스템을 강제로 정지하거나 냉방·공조 시스템을 가동해 화재와 배터리 손상을 예방한다.

삼성SDI는 배터리 셀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다른 셀로 번지는 걸 막기 위한 신개념 열 확산 차단재를 부착한다. LG화학은 분리막 표면을 세라믹 소재로 얇게 코팅해 안전성과 성능을 대폭 향상한 안전성 강화 분리막(SRS) 특허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랑세스와 같은 화학 회사는 배터리 팩에 화재가 나면 외부로 옮겨 붙는 걸 막기 위한 난연재를 개발하기도 한다.

각주[편집]

  1. 최근도 기자, 〈(Science in Biz) 리튬배터리 `열폭주` 조짐 보이면 경고…잇따른 전기차 화재 막는 첨단 기술들〉, 《매일경제》, 2021-02-01
  2. ↑ 2.0 2.1 치명적 매력, 〈리튬이온배터리 열폭주 현상 (배터리 화재)〉, 《네이버 블로그》, 2021-03-25

참고자료[편집]

  • 〈열폭주〉, 《위키백과》
  • 최근도 기자, 〈(Science in Biz) 리튬배터리 `열폭주` 조짐 보이면 경고…잇따른 전기차 화재 막는 첨단 기술들〉, 《매일경제》, 2021-02-01

같이 보기[편집]

  • 과충전
  • 과방전
  • 분리막

  이 열폭주 문서는 배터리에 관한 글로서 검토가 필요합니다. 위키 문서는 누구든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습니다. [편집]을 눌러 문서 내용을 검토·수정해 주세요.  

자동차 : 자동차 분류, 자동차 회사, 자동차 종류, 전기자동차, 자동차 제조, 자동차 부품, 자동차 외장, 자동차 내장, 자동차 전장, 자동차 부품 회사, 배터리, 배터리 회사, 충전, 에너지, 소재, 자동차 판매, 자동차 판매 회사, 운전, 운송, 자동차 역사, 자동차 인물
배터리 종류 1차전지 • 2차전지 • 3차전지 • AA 전지 • AAA 전지 • HFC • LCO • LFP • LMO • LTO • NCA • NCM • NCMA • 각형 배터리 • 건전지 • 고전압 배터리 • 고체전지 • 공기전지 • 과산화은전지 • 구반반 배터리 • 그래핀 배터리 • 금속 공기 배터리 • 나노셀룰로스 종이 배터리 • 나트륨이온 배터리 • 나트륨 황 배터리 • 납축전지 • 니켈 수소 배터리 • 니켈 카드뮴 배터리 • 다이아몬드 배터리 • 단추형 전지 • 대용량 배터리 • 대형배터리 • 동위원소 배터리 • 리튬공기전지 • 리튬 망간 배터리 • 리튬 메탈 배터리 • 리튬 이산화탄소 배터리 • 리튬이온 배터리 • 리튬 인산철 배터리 • 리튬전지 • 리튬 코발트 배터리 • 리튬 티타네이트 배터리 • 리튬 폴리머 배터리 • 리튬 하이니켈 배터리 • 리튬 황 배터리 • 마그네슘 배터리 • 망가니즈전지 • 모래 배터리 • 무음극배터리 • 물리전지 • 미생물 연료전지 • 바나듐 배터리 • 바나듐 레독스 흐름 배터리 • 바나듐이온 배터리 • 바빌로니아 전지 • 박막배터리 • 박테리아 배터리 • 박테리아 종이 배터리 • 배터리 • 베타 배터리 • 보조배터리 • 볼타전지 • 불소이온 배터리 • 블레이드 배터리 • 비축전지 • 사원계 배터리 • 산화물 전고체 배터리 • 산화은전지 • 삼원계 배터리 • 설탕 배터리 • 세라믹 축전기 • 소금 배터리 • 소형배터리 • 수소연료전지 • 수은전지 • 슈퍼커패시터 • 습전지 • 아연공기전지 • 아연 탄소 전지(르클랑셰 전지) • 아폴로 • 알루미늄 공기전지 • 알루미늄 공기 흐름 전지 • 알칼리전지 • 얼티엄 배터리 • 에너지저장장치(ESS) • 에이터너스 • 연료전지 • 열전지 • 용융염 배터리 • 원자력전지 • 원통형 배터리 • 육둘둘 배터리 • 인섀시 배터리 • 전고체 배터리 • 전지 • 종이 배터리 • 중형배터리 • 차세대 배터리 • 초소형배터리 • 축전기(콘덴서) • 축전지 • 칼륨 배터리 • 칼슘 배터리 • 커패시터 • 코인셀 배터리 • 태양전지 • 파우치형 배터리 • 파워월 • 팔일일 배터리 • 폐배터리 • 폴리머 배터리 • 폴리머 전고체 배터리 • 프리폼 배터리 • 플렉서블 배터리 • 하이니켈 배터리 • 하이브리드 리튬메탈 배터리 • 해수전지 • 핵 배터리 • 화학전지 • 황화물 전고체 배터리 • 흐름전지(레독스 플로우 배터리)
배터리 기술 ALD • CCS • CSG • CTB • CTV • K-배터리 • MPI • MTB • NCMX • PCM • SRS • 건식분리막 • 고용량 • 고출력 • 공랭식 • 굴곡도 • 기공 • 기억효과(메모리 효과) • 냉각시스템 • 대용량 • 덴드라이트 • 모듈투바디(MTB) • 바인더 • 방열판 • 방열핀 • 배터리관리시스템(BMS) • 배터리데이 • 배터리모듈 • 배터리 보호회로모듈 • 배터리셀 • 배터리 케이스 • 배터리팩 • 배터리하우징 • 배터리 히팅 시스템 • 분리막 • 비전해질 • 사물배터리 • 세라믹 코팅 • 세라믹 코팅 분리막 • 셀밸런싱 • 셀투바디(CTB) • 셀투비클(CTV) • 셀투섀시(CTC) • 셀투카(CTC) • 셀투팩(CTP) • 소용량 • 수랭식 • 스태킹 • 습식분리막 • 실리콘 음극재 • 안전성 강화 분리막(SRS) • 양극박 • 양극소재 • 양극재 • 양극판 • 양극활물질 • 열폭주 • 와인딩 • 용량 • 유랭식 • 음극소재 • 음극재 • 음극판 • 음극활물질 • 이온전달막 • 저용량 • 저출력 • 전고체 • 전지박 • 전해액 • 전해질 • 전해질막 • 제로모듈 • 젤리롤 • 집전체 • 출력 • 콤퍼레이터 • 파우치 • 패키징 • 폐양극재 • 활물질 • 히트싱크 • 히트파이프 • 히트펌프
배터리 제품 1865 배터리 • 2170 배터리 • 4680 배터리 • 기린 배터리
위키 : 블록체인, 암호화폐, 인공지능, 자동차, 교통, 지역, 개발, 거래, 인물, 기업, 단체, 행사, 일반

관련 게시물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