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보드 디지털 출력 - meinbodeu dijiteol chullyeog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소개

'스피커 마이너 갤러리'는 스피커뿐만 아니라 이어폰/헤드폰, DAC, 앰프, 리시버와 같은 다양한 음향기기를 비롯하여 음향 과학, 음악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하고 정보를 교환하는 갤러리입니다.

부매니저

전정현(cayolove…) asr(sorjso)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메인보드에 광단자 있어도 디지털 출력

ㅇㅇ(123.199) 2021.02.22 16:39:23

컴퓨터 스피커 사용시 메인보드에서 광단자를 지원해서 광출력이 가능할때 내가 알기론 소리 출력의 과정의 기본은 CPU의 디지털 신호를 메인보드의 사운드카드에서 아날로그로 처리 후 다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서 쏴주고 그걸 스피커 내부의 리시버에서 아날로그 시킨 후 소리형태로 최종 출력 되는걸로 안다.

즉 간략히 표현하면 D-A-D-A

DSP 기능이 없는 스피커는 광출력이 있더라도 이런식이다.

내가 맞게 생각하고 있는거야?

그리고 CPU의 디지털 신호를 사운드카드에서 처리 하지 않고 바로 광단자를 통해 스피커의 리시버로 직결하게 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하다.

추천 비추천

0

0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내부 검색

오른쪽 컨텐츠 영역

메인보드 광출력을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 중에 광케이블도 USB 처럼 광단자에 꽂으면 자동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냐고 문의주시는 분들이 의외로 많이 계십니다^^

"pc소리설정에서 광출력 아웃에 아무것도 잡히지가 않네요."

라고 적어주셨는데요.. 메인보드에 광케이블을 꽂았다고 해서 윈도우에서 장치가 자동으로 잡히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메인보드 내장 사운드장치를 활성화시켜 주셔야만 윈도우 소리설정의 재생 장치 목록에 올라옵니다.

왜냐하면 광케이블은 USB 처럼 단자에 꽂았을 때 Plug&Play로 자동인식 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사용자가 광출력 장치 설정을 직접 해 주신 후에 광출력 단자와 광입력 기기를 광케이블로 연결해야만 메인보드 내장사운드의 광출력 신호가 광입력 장치로 전달되어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이미 다 확인한 내용이라고 하셨는데, 윈도우 소리 설정에 아무것도 안 잡히면 메인보드 내장사운드 장치가 활성화 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그런 것입니다.

그리고 USB만 연결되어 있어도 광입력 기능은 작동합니다.

잘 안 될 경우에는 어댑터 전원을 연결해서 확인해 보시고, 만일 USB 연결을 안 한 상태에서 광입력 기능을 사용하려면 반드시 어댑터 전원을 연결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오디오 광케이블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만 전송할 뿐 USB처럼 전원을 공급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재질문 주실 때에는 윈도우 소리 설정의 재생 장치 목록 화면을 스크린 캡쳐해서 첨부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메일로 질문이 왔다. 

---------------------------------------------------------------

컴퓨터의 내장 사운드카드의 SPDIF 출력을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연결하려고 합니다.

일단 컴퓨터는 아수스 보급형 메인보드이고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TASCAM-144MK2입니다.

보시는 바와 같이 메인보드의 광단자를 이용해서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디지틀 코액시얼 단자에 입력을 하려고 하는데 

광출력 규격을 코액시얼 규격으로 바꿔주는 작업이 필요한 듯 해서 

시간을 들여 여러가지를 알아보았는데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것은 TV단자의 디지털 출력을 스프커에 연결할 아날로그 출력으로 바꾸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가 대부분인 듯 합니다.

아무래도 제가 찾는 것은 SPDIF 신호를 규격만 변환시켜주는 장치일 것 같아서, 

그런 것을 알아보니 중국산 제품 정도만 레이더에 잡힙니다.

가령 이런 것들 인데.... 

//www.avcorea.co.kr/shop/item.php?it_id=1170055367 

혹시나 더 좋은 솔루션이나 더 나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시다면 시간 되실때 고견을 부탁드립니다.

---------------------------------------------------------------

늘 말하지만, 뭐가 필요하고, 어떤 것이 궁금한지 명확하면 답을 드리기가 아주 쉽다. 

먼저 사진을 보면, 아래 메인보드 단자 3번은 광출력이고, 

오디오 인터페이스에는 75옴 디지틀 동축(digital coaxial) 입력 단자가 있다. 

메인보드에서 바로 광출력을 보낼 수 있으면 장점이 많은 것이다. 

즉, 광출력을 디지틀 동축으로 변환하는 장치가 필요한 것인데 

일단 장치부터 말씀드리면, DDC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는 모양이지만

통상은 그냥 길게, Toslink to S/PDIF converter 혹은, optical to digital coaxial converter 이런 식으로 부른다. 

말 그대로 광출력(toslink)을 디지틀 동축(S/PDIF)로 변환하는 장치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저런 변환장치를 거치면, 

광출력을 받아서 변환한 다음,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디지틀 동축 입력에 연결할 수 있다. 

하지만 디지틀 투 디지틀 변환이라고 해도, 

변환장치의 품질에 따라 신호의 신뢰도가 달라진다는 것이 중론인 점을 생각해 보면

이참에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광입력이 가능한 제품으로 업그레이드하시는 것은 어떠신지?

다만 이 경우 상당히 고급 기종으로 가야 하므로 비용부담이 좀 있는 것은 사실이다. 

(예를 들어 RME babyface 정도의 등급일 것이다.)

꼭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레코딩 쪽에서는 광입출력보다는 디지틀 동축을 선호하고 단자도 그렇게 설계가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PC-fi 쪽에서는 광출력을 선호하는 것 같다. 

(광출력도 ADAT 8채널 규격과 TOSLINK 규격이 다르다)

생긴것은 쪽같이 생겼지만 

ADAT lightpipe 규격은, 8채널 동시 전송에 24 bit/ 48kHz 규격이고

TOSLINK(Toshiba link) 규격은, 디지틀 동축과 같은 S/PDIF 신호이다. (20 or 24 bits, 48 or 44.1kHz)

그러니 장비를 매칭할 때 주의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focusrite scarlett 18i6은 외관을 아무리 살펴봐도 18개의 입력단자가 아니다.

후면의 광입력 단자가 ADAT lightpipe 규격(8채널)이다.

디지틀 오디오의 3대 규격인 USB, Toslink optical, S/PDIF digital coaxial 은, 

전송 형태나 물리적인 특성은 분명히 다르다. 

하지만 어느 것이나 기계적인 완성도를 일정 수준으로 갖추었다면, 

해외 엔지니어들은 'there is virtually no difference' 라고 부르고 있고.. 나도 동의하는 편이다. 

나는 어떻게 활용을 하였느냐면, 

오디오 인터페이스는 USB로 연결하고, 

메인보드의 광출력은 인켈 RX-898처럼 광입력이 가능한 미니 하이파이 오디오에 붙였다. 

앰프 중고가가 10만원도 안 하는, 무지 싸고 좋은 미니앰프.

(다만 조작이 복잡하고 물량이 적다. 다양하게 운용할 수 있어서 편리했음)

결론적으로, 그냥 USB로 쓰시는 것은 어떠신지.. 싶다. 

그럼 굿럭입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