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문파 계급 - muhyeob munpa gyegeub

����:
���ü���,��������,�Ϻ��ذ�,��õ�繮,Ȳ������->���뼼��
�Ҹ���,�ƹ���,������,������,û����,������,�����,ȭ����,��â��,����->�����Ϲ�
����:
�豳,���־�,����,����...
�߸�:
�Ͽ���
��Ÿ:
����(=����)

�����Ϲ�
 - �Ҹ���, ������, ȭ����, �����, ������, ��â��, ������, �ƹ���, û����, ���� Ȥ�� ������
������ ���뼼�� �ȴ뼼�� �ϴµ� �⺻��
 - ���ü���, ��õ�簡, �Ϻ��ذ�, ���������� �⺻�̰� ���⿡ �굿�ǰ�, Ȳ������, ���־𰡰� ���� ���ԵǸ� �̿ܿ� �縶����, �鸮���� ����� �߰��Ǵ� �Ҽ��� �ֽ��ϴ�.

��κ� �̷� Ŭ���ΰ� �ְ�, ���������� ���� �����°� �������� ���� ������ ���� Ȥ�� �����߰� Ȥ�� ���ķ� ����ij� õ���İ� �����⵵ �մϴ�.

���ij� �������� �۰� �����̶� ��κ� '��'�����ų� '��','��','��','����' ����� �� ���ϴ�.
��ǥ������ ������ ������ ���õ, ����, ����, õ���� ���� ������ ���ij� �浵�� ���İ� �����ϴ�. �̿ܿ��� ������ ȣ���� �츳�迭(�尭���θ�, �츳����ä �Ҽ� 00ä) ���� ������, �Ͽ���, ���� ���� ���ɴϴ�.

문파(門派)는 무협에 나오는 허구의 조직이다. 무림에 적을 두고 무공을 휘두르는 조직을 뭉뚱그려서 문파 또는 방파(幫派)라고 부르지만 그 성격은 천차만별이다.

1 정의[편집]

무협 소설 등지에서 나오는 문파의 정체성을 한마디로 말하기는 어렵다. '문파'라고 하는 만큼 무공을 가르치는 사문(師門)은 가장 순수한 문파라고 할 수 있지만, 지방의 호족이나 뒷골목의 범죄 조직, 종교 조직이나 심지어 정부마저도 문파의 일종으로 취급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무림문파인지 아닌지를 판가름하는 기준은 구성원들이 무공을 사용하느냐 마느냐에 따른다. 무공을 사용하는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조직이라면 기본적으로 무림문파로 취급되는 것이다.

2 목적별 문파 분류[편집]

문파가 세워진 목적, 지향하는 목표에 따른 분류다. 한 문파가 여러 목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으므로 꼭 어느 한 가지 분류에만 속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사문'으로서의 성격은 어느 문파나 많든 적든 띠고 있다.

사문 (師門)무공을 후대로 전수하는 것이 목적인 문파. 사문의 발생 과정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갑이 스승이 되기로 마음을 먹는다. (사문 인원 1명)
  2. 스승 갑이 제자 두 명(을일과 을이)을 들인다. (사문 인원 3명)
  3. 그리고 을일과 을이가 각각 제자를 두 명씩(병일, 병이, 병삼, 병사) 들인다. (사문 인원 7명)
이와 같이 세대를 거듭할 때마다 사문은 차츰 거대해지고, 느슨한 사승 관계에서 어엿한 조직이 된다. 앞서 정의에서 설명했듯이 무공은 문파의 핵심 요소이기 때문에, 무림의 조직들은 다들 어느 정도 사문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신무협에 자주 나오는 무관(武館) 등도 여기에 속한다.방회 (幫會)예시 개방, 염방, 천지회이익을 위해 모인 조직. 같은 생업에 종사하는 이들이 모이거나, 어떤 사업을 위해 사승 및 인척 관계를 떠나서 모인 결사체다. 좋게 말하면 사업체나 조합이고, 나쁘게 말하면 조직폭력배. 이익을 위해 모였다는 특성상 그 방회만의 독문무공은 없는 경우도 많다.종교 (宗敎)예시 마교, 소림사, 전진교종교적 신앙심으로 뭉친 조직. 도교·불교 계통의 문파가 여기에 속한다. 이런 종교계 문파에서 무공이란 어디까지나 수행의 일환이며, 본 목적은 종교적 가르침에 있다. 무공은 태생부터 종교와 뗄 수 없는 개념이라서, 종교에 바탕을 둔 무공의 위력은 높게 설정될 때가 많다. 그 결과 무림의 으뜸은 대개 종교계 문파가 차지하게 된다.호족 (豪族)예시 남궁세가, 사천당문, 석가장지방에서 세력을 떨치는 혈족 집단. 무협물에서는 무림세가나 장원의 형식으로 나타난다. 중앙 정부의 관리와는 별도로 관습적으로 지방에 영향력을 끼치는 명문으로, 비교적 정치적이고 세속적이다.조정 (朝廷)예시 금의위, 동창국가에서 운영하는 기관도 무림 세력으로 기능하고 있다. 자주 등장하는 것은 실존했던 명나라의 정보기관인 동창과 금의위지만, 궁녀만으로 이루어진 조직인 비궁(秘宮) 같은 특이한 문파도 있다.

3 문파 용어[편집]

독문무공 (獨門武功) 그 문파만의 고유한 무공. 문파의 상징이기도 해서 독문무공을 시연해보이는 것이 신분을 증명하는 수단이 될 정도다.장문 (掌門)문파의 우두머리를 뜻하는 말. 장문인(掌門人)이라고 한다. 문파의 성격에 따라 우두머리의 호칭은 저마다 다른데, 장문은 무공을 가르치는 사문의 성격이 강한 문파에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도교계 문파인 전진교의 우두머리는 장교(掌敎), 불교계 문파인 소림사의 우두머리는 방장(方丈), 거지들의 방회인 개방의 우두머리는 방주(幇主)라고 한다. 또 장문진인(掌門眞人)이나 장문방장(掌門方丈)처럼 합성어 형태로 사용될 때도 있다.파 (派)'파'라고 하면 대한민국에서는 조직폭력배를 떠올리기 일쑤지만, 무협에서 '파'는 종파·무술 유파를 뜻한다. 한국의 무협 소설에는 이 부분에 별다른 고찰이 없을 때가 많지만, 종파와 유파는 단순하게 하나의 조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개념이 아니다. 예를 들어 소림파와 소림사는 서로 뗄 수 없는 관계지만, 무술 유파인 소림파와 불교 사찰 소림사는 별개의 개념으로 봐야 한다.파문 (破門)문파에서 제명 당하는 것. 더 이상 사문의 도움을 받을 수 없고 사문과의 관계도 내세울 수 없다. 이익 단체인 방회는 그렇다 치고, 무공의 사승 관계가 있는 사문에서 파문 당하는 것은 크나큰 불명예다. 심할 경우 단순히 명예가 훼손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가르친 것을 돌려받겠다는 명목으로 무공을 쓸 수 없는 몸으로 만들어 방출한다. 이를 두고 흔히 "무공을 폐한다"고 표현하는데, 내공을 없애고 근맥(힘줄)을 끊는 등의 영구적인 신체 훼손이다. 쉽게 말해 사람을 병신 만든다.호법 (護法)문파의 사승 관계에서 벗어나있는 문파의 일원. 유사시에 무력으로 문파를 지키는 역할이기에 무공이 높다. 쉽게 말해서 용병. 원래 불교에서 유래한 용어다.

4 문파의 예시[편집]

이와 관련한 내용은 분류:문파에서 볼 수 있습니다.

통상 주류 문파를 두고 구파일방이라고 한다. 물론 이는 작가의 설정에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 무당파
  • 아미파
  • 소림사
  • 개방
  • 곤륜파
  • 화산파

5 외부 참조[편집]

  • (한국어) 네이버캐스트 무협백과 - 문파

6 각주


오늘도 불철주야 나작소 탐험과 호1감작가 매달기에 바쁜 여느 장붕이들과 다르게,

아직 깨끗한 선작목록을 가지고 무협의 세계에 입문코자 하는 작은 무린이들을 위해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물론 본인도 이쪽에 조예가 깊다고는 할 수 없으나

사해는 동도요, 먼 길을 걸어감에 함께할 벗이 있다면 더욱 즐겁지 아니하겠습니까?

부족한 정보는 만렙누렁이들이 보태주리라 믿고 몇 자 적어보겠습니다.

1. 무협이란?

가상의 중국을 배경으로 한 가공소설을 일컫는 말입니다.

시간적 배경은 주로 원나라 말에서 명나라 초기가 많으며 청나라까지 가기도 합니다.

무협의 핵심적인 가치는 일신의 강함을 뜻하는 무(武)와, 개인의 신념을 뜻하는 협(俠)의 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후자의 경우는 명백하게 정의할 수 없으나, 보통 일반도덕이나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정의의 개념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2. 무공이란?

일반적으로 신체를 단련하는 외공(外功)과, 기를 받아들이고 이를 이용하는 내공(內功)으로 분류됩니다.

내공(內功)은 무림인이 쌓은 무력의 척도로서도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예) '중후한 내공을 가지고 있는 무당의 진인'

사용하는 무기에 따라 검, 권, 창, 봉 등으로 분류되며,

신체의 일부를 사용하는 지(손가락), 장(손바닥), 각(다리), 권(주먹), 금나수(빈손) 등의 무공도 존재합니다.

움직임에 관련된 무공들은 신법(전신의 움직임), 보법(풋워크), 경공(장거리 달리기), 경신법(몸을 가볍게 함) 등이 있습니다.

자연에 존재하는 무형의 에너지인 기를 쌓고 운용하는 무공은 심법(心法)이라고 불립니다.

이 외에도 물건이나 건물, 사람의 배치를 이용해 특정한 결과를 유도하는 진법(陣法)의 묘사도 자주 나오는 편입니다.

3. 정파와 무림세가

드넓은 중원의 땅에는 수많은 사람만큼 셀 수 없이 많은 세력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 주로 등장하는 단체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구파일방과 오대세가로 대표되는 선세력의 정파(正波는 무림맹이라는 연합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고 지도자인 무림맹주가 휘하 문파들을 조율하고 있습니다.

악세력은 그 대립점인 사파(邪波)로 대표되며, 마교(魔敎)는 정사를 모두 적대시하는 반사회적 종교단체입니다.

우선 무림세가부터 정리하겠습니다.

🌑 남궁세가

강남의 안휘성 천주산에 뿌리를 두고있는 세가입니다. 긴 역사를 가진 명문가답게 무림의 세가중에서도 수위를 차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풍요로운 강남 지방에 위치하고 있어 보통 부유한 가문으로 묘사됩니다.

대표적인 무공으로는 창궁무애검법(蒼穹無涯劍法)이 있으며, 필살기로도 볼 수 있는 오의는 제왕검형(帝王劍形)입니다.

🌑 모용세가

오호십육국 시절 선비족의 한 갈래인 모용부에서 이어진 세력입니다.

보통 산동의 북쪽인 요녕성에 위치하고 있으며, 강남의 명문대가인 남궁세가와 대비되는 강북의 명문가로 비춰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작품별로 묘사되는 대표 무공이 다른 경우가 제법 많으므로 추후에 기재하도록 하겠습니다.

🌑 사천당가

사천지방에 위치한 세가입니다. 암기와 독을 전문적으로 다루며, 이 점 때문에 다른 무림인들에게 비겁하다는 평을 받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무공으로는 수많은 암기를 뿌려 적들을 유린하는 만천화우(滿天花雨)가 있습니다.

🌑 제갈세가

삼국지의 제갈공명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에게 익숙한 그 제갈씨의 가문입니다.

동정호 북쪽의 호북지방에 자리잡고 있으며, 특유의 영민한 머리와 뛰어난 기관진식(기계와 함정)과 진법으로 유명합니다.

보통 지능이 뛰어나다는 묘사로 인해 대표격인 무공은 잘 나오지 않는 편이며, 주로 무림맹에서 군사(최고 참모) 역할을 맡는 캐릭터가 많습니다.

🌑 하북팽가

황하의 북쪽인 하북지방에 위치한 가문입니다. 우수한 신체를 타고났다는 묘사가 많으며 주로 힘이 세고 호쾌한 인물이 많습니다.

검법이 주가 되는 무림인들과는 다르게 도법의 명가라는 인식이 강합니다.

대표적인 무공으로는 오호단문도법, 혼원벽력신공 등이 있습니다.

🌑 산동악가

우리나라와 가까운 산동지방에 위치한 세가입니다. 북송 말의 명장 악비의 후손이라는 설정입니다.

진주언가와 함께 창술로 유명한 명문가입니다.

대표적인 무공으로는 악가창법, 응조권, 팔단금이 있습니다.

🌑 황보세가

악가와 마찬가지로 산동지방에 위치한 가문입니다. 하북팽가와 비슷하게 근골이 뛰어나고 정의롭고 털털한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뛰어난 권법으로 이름이 높으며, 대표적인 무공으로는 벽력신권, 수미천왕신공, 태산십팔반장 등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공손 언가 백리 서문 단목 종리 상관 북리 북궁 사마 단리 독고 구양 등 수없이 많은 명문가들이 있으나 적지 않겠습니다...


4. 구파일방

정파의 무림맹에서 가장 높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10개의 문파를 일컫는 단어입니다.

소림 무당 아미 곤륜 화산 종남 공동 점창 청성의 구파(九波)와 개방의 일방(一幇)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소림사

한국인에게도 익숙한 무술하는 스님들의 절, 소림사입니다. 황하 남쪽 하남지방의 숭산에 위치해있습니다.

달마대사를 시조로 천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뿌리깊은 세력이며, 비급이나 무공서를 대량으로 보관하고 있다는 묘사가 많습니다.

불교계열 문파답게 주로 봉술이나 권법, 장법을 익히며, 무림맹에서도 그 위치가 제법 높은 강자들입니다.

대표적인 무공으로는 백보신권, 무영각, 사자후, 탄지신공 등이 있으며, 진법으로는 108명의 스님이 펼치는 백팔나한진이 유명합니다.

또한 소림사만의 비법으로 만든 영약인 대환단과 소환단이 있습니다.

🌑 무당파

호북성의 무당산에 자리잡은 도교 계열 문파입니다. 장삼봉을 시조로 모시고 있으며, 자연친화적인 모습으로 많이 나옵니다.

정도를 추구하는 도사님들 답게 무공들도 정갈하고 맑으나 수련의 속도는 느리다는 식으로 묘사됩니다.

대표적인 무공으로는 태극검, 태극권, 태극혜검, 칠성검, 제운종, 양의신공 등이 유명합니다.

진법으로는 오행검진, 칠성검진, 구궁검진 등이 있습니다.

🌑 아미파

사천지방의 아미산에 위치한 여승(비구니)들의 문파입니다. 본래 도교문파로서 출발했으나 불교와 섞이면서 독특한 모습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대표적인 무공으로는 소양검, 복호권, 항마후, 아미창법, 탄금지, 항룡복마인 등이 있습니다.

🌑 화산파

섬서성의 화산(華山)에 위치한 도가계열 문파입니다. 주로 빠른 쾌검에 특화되었다는 묘사가 많으며, 무당파와 경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문파의 본산인 화산은 험악한 바위산이며, 용암은 나오지 않습니다.

대표적인 무공으로는 이십사수매화검법이 가장 유명하며, 대히트작 <비뢰도>의 영향으로 극에 달한 자는 매화향을 피워낼 수도 있다고 나옵니다.

그 외에는 자하신공, 건원청심법, 유성추월검, 청운신법, 암향표 등이 있습니다.

🌑 곤륜파

서역인 청해지역의 곤륜산에 있는 오래된 도가계열 문파입니다. 화산파와 함께 검으로 유명하며, 그 기세가 날카롭게 묘사됩니다.

바로 옆동네인 신강의 마교와 가까워서 자주 치고박거나, 대규모 침략을 시작하는 마교에게 첫번째로 밟히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무공은 운룡대팔식이며, 허공에서 용이 노닐듯 자유자재로 여덟 번 몸을 뒤집는 신법입니다.

그 외에는 태청신공, 태허도룡검, 옥심장력, 금룡십팔해 등이 있습니다.

🌑 종남파

섬서성 종남산에 위치한 문파입니다. 불교와 도교가 혼합된 주술적인 종교인 전진교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같은 지방에 자리잡은 쾌검의 화산파와는 다르게, 종남의 검법은 묵직한 중검의 묘리를 지니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무공으로는 유운검법, 태을신공, 천하삼십육검, 북두천강보가 있습니다.

🌑 공동파

감숙성의 공동산에 자리잡은 도교계열 문파입니다. 성격이 음험하거나 피를 보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 인물들로 나옵니다.

대표적인 무공으로는 복마검, 추운권, 통천장, 이합신공, 건곤지 등이 있습니다.

🌑 점창파

운남성의 점창산에 위치한 도교계열 문파입니다. 남송 시대에 불교 국가였던 대리국이 위치한 곳이어서 일반 문파로 나오기도 합니다.

쇠로 만든 붓 모양의 무기인 판관필을 많이 사용하며, 혈도를 찔러 몸을 조절하거나 제압하는 점혈법으로 유명합니다.

대표적인 무공은 사일검법, 열양공, 냉염장, 일양지, 칠교추혼지 등이 있습니다.

🌑 청성파

사천의 북서쪽인 청성산에 위치한 도교계열 문파입니다. 역사적으로도 유명한 도사와 인물들의 은거지였던 곳입니다.

대표적인 무공으로는 청운적하검법, 칠십이파검, 대라무위신공, 최심장, 대라심법 등이 있습니다.

🌑 개방

거지들로 구성된 문파. 총타 하나와 백여개의 분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수많은 머릿수를 이용한 정보 수집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동냥과 구걸로 먹고살며 허리띠에 맺은 매듭으로 상하의 지위를 나타냅니다. 개를 때려잡는 타구봉과 술에 관련된 무공이 많습니다.

대표적인 무공으로는 취팔선공, 항룡십팔장, 취권, 타구봉법, 취팔선보 등이 있습니다.

5. 사파


사파란 정파와 대립되는 악의 세력이며, 흑도라고도 부르지만 이 둘을 구분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작게는 시골에서 행패를 부리는 논두렁 조폭부터 크게는 산과 강을 점거하고 여행자들을 약탈하는 대규모 도적 무리까지 그 종류가 다양합니다.

개방과 비슷하게 사황성, 사도련, 사흑련 등으로 불리는 최상위 조직이 있고 그 아래에 휘하 문파들을 거느리는 피라미드 구조의 이익단체입니다.

정파와 다르게 명백한 틀이나 짜임새 없이 작가의 선택에 따라 등장하는 문파들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묘사에 따라 인신매매부터 마약, 인육까지 취급하는 거악의 형태로도, 위선을 혐오하는 자유로는 방파로도 그려지는 등 그 모습이 천차만별입니다.

초창기에는 단순한 악역으로 등장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정파를 고리타분하고 위선적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늘어났고

자연스레 사파는 규율과 법칙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인들이라는 해석도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사파의 인물들은 정도를 추구하는 정파와 다르게, 강해지기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캐릭터가 많습니다.

정파와 사파가 대규모로 맞붙는 이벤트는 정사대전이라고 따로 칭하기도 합니다.

우선 자주 등장하는 대표격의 악역 단체들부터 알아보겠습니다.

🌑 녹림

이들은 중원의 산과 들에서 여행자들을 약탈하는 도적 무리입니다. 주로 여러 산채들이 연합해 구성된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녹림 'OO채' 에 18의 배수를 붙여 자기들을 지칭하기도 합니다. 예) 녹림칠십이채, 녹림백팔채 등

근본부터 도적무리이기 때문에 무공의 성취도가 낮아 이를 머릿수로 대체하려는 묘사가 주로 나오지만 그 수장인 총채주는 강한 경우도 있습니다.

주요 역할은 주인공의 앞에 등장해 명성을 올려주거나 용돈벌이용 잡몹으로 전락하는 용도입니다.

간혹 운송업자인 표국과 작당해 음모를 꾸미기도 하지만 보통의 경우는 대부분 분쇄당합니다.

🌑 장강수적

양쯔강에 자리잡은 약탈자들의 단체입니다. 녹림과 비슷한 포지션이며, 이들도 자신을 지칭할 때 장강수로18채라고 부릅니다.

보통 장강의 넓은 폭을 활용해 매복해 있다가 수로를 이용하는 배들을 덮쳐 화물을 약탈하는 것이 주 수입원입니다.

하지만 장강에 접하고있는 기타 무가나 방파들과 밀무역을 하는 등, 녹림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양상을 보여줍니다.

실제로는 장강이 중국의 젖줄이었던 만큼, 나라 전체의 해운을 갉아먹는 이들의 존재는 성립하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이들의 등장은 한국 무협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중국 무협에서는 거경방이나 해사파등의 별개 조직이 등장합니다.

🌑 하오문

개방과 유사한 사파의 정보단체입니다. 주된 구성원은 기녀, 점소이(식당 점원), 도박꾼, 소매치기, 마부, 도둑 등 사회 하층민들입니다.

이들의 무공은 별볼일 없으나, 그 방대한 숫자와 뛰어난 침투력으로 얻어낸 정보들을 매우 유용하게 활용합니다.

주로 점조직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문파의 가입과 탈퇴가 자유롭다고 묘사됩니다.

따라서 이들과 함께하게 된다고 해도 문파의 보호를 바라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문파의 수장인 하오문주의 경우는 예외적으로 무척 강력하게 묘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 광마회귀 등의 작품

🌑 살문

이들은 고도로 훈련된 전문 암살자들입니다. 거액의 대가를 받고 선악을 가리지 않으며 목표를 반드시 살해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살막이나 혈막 등 불리는 명칭은 작품마다 다르지만 훈련된 암살자들이라는 묘사는 공유하고 있습니다.

의뢰 달성을 위해 변장과 은신, 경공에 능하며 위기에서 탈출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심박수를 낮춰 시체로 위장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통은 무림인들 사이에서 돈에 미친 살인귀들이라며 꺼려지는 편이나, 정사마를 가리지 않고 이들의 칼을 필요로 하는 이들은 많습니다.

6. 마교


마교는 정파, 사파, 황실, 민간인을 모두 적대하는 반사회적 종교단체입니다. 실제 모티브는 페르시아 지역의 토착 종교인 조로아스터교입니다.

이들의 위치는 주로 베트남 인근의 십만대산으로 묘사되나, 작가들의 혼동으로 인해 곤륜과 인접한 신강 지역의 천산으로 자주 묘사됩니다.

가끔은 이들의 포지션을 대체하는 명교, 혈교, 일월신교 등이 등장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교의 수장인 천마를 위시해 그 아래로 최고참모인 마뇌와 수많은 마두(魔頭)들을 거느린 강력한 무력단체로 등장합니다.

강해지기 위해 수단을 가리지 않기에 인신공양과 대규모 학살을 자행하기도 하며, 시체를 되살려 강시로 써먹기도 합니다.

마인들의 세계는 강자존과 적자생존이므로, 자신의 위치를 지키는 동시에 더 높이 올라가기 위해 휘하에 부하들을 거느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세력이 강해졌을 때는 중원의 질서를 쓰러트리고 마의 하늘을 열기 위한 정마대전을 일으켜 대규모 침공을 개시하기도 하며,

반대로 약해졌을 때는 험난한 천산의 지형 뒤에 숨어 힘을 기르거나 물밑에서 암약하며 음모를 꾸미기도 합니다.

구무협에서는 무조건적인 악의 단체로서 악신인 아수라 등을 섬기는 식으로 등장했으나

신무협의 등장으로 순수한 힘을 숭배하는 모습으로 바뀌면서 의도치 않게 이미지가 개선된 단체입니다.

교의 수장이자 최강자인 천마는 가진 재능이 천하에서 손꼽힐 정도로 뛰어난 기재라는 식으로 묘사됩니다.

대표적인 무공으로는 천마신공, 천마수라검, 아수라멸천장, 천마군림보, 흡성대법 등 천마라는 접두어를 가진 것들이 많습니다.

이 아래에서는 마교와 유사한 악의 종교단체들을 알아보겠습니다.

🌑 혈교

이들은 피에 취해 온 세상을 피로 물들이려는 절대적인 악으로 등장하는 단체입니다.

신무협의 마교가 힘을 숭상하는 단체로 변하면서 기존의 사악한 부분들을 계승해 새롭게 만들어졌다고 보면 됩니다.

극단적인 살육행위와 인신공양, 식인도 서슴지 않으며, 마교에 비해 종교적이고 주술적인 묘사가 더욱 강합니다.

피를 바쳐 제사를 지내거나 흡혈을 통해 내공을 늘리고 수련을 하는 등 그로테스크한 부분이 많습니다.

이들의 수장은 혈마로 불리며, 대표적인 무공으로는 혈마지존공, 색혼탈백신공, 혈마수라결, 지옥수라도법 등이 있습니다.

🌑 명교

실제 역사에서 존재했던 백련교와 마니교가 혼합된 <의천도룡기>의 등장 단체입니다.

본래 대운광명교나 마니교등으로 불렸으나 비밀교단이 되면서 마니교의 마가 와전되어 마교(魔敎)로 불리게 됩니다.

보통 명나라를 건국한 주원장을 도왔으나, 황제에 자리에 오른 뒤 용도폐기를 당해 다른 지역으로 쫓겨났다는 식으로 묘사됩니다.

단체의 구조는 교주를 필두로 그 아래에 광명좌사와 우사가 있고, 사대호법과 오산인이 있습니다.

이들은 강한 충성심을 바탕으로 교에 봉사하는 뛰어난 무인들입니다.

대표적인 무공으로는 힘이 작용하는 바탕을 깨우쳐 이를 조종하는 건곤대나이신공이 있습니다.

🌑 일월신교

김용의 <소오강호>에 등장하는 종교단체이며, 일종의 마교 프로토타입이라 볼 수 있습니다. 명교와 공통점이 존재하지만, 차이점이 더욱 많습니다.

이들은 모든 사파와 녹림의 위에 군림하는, 절대적인 악의 지배자입니다. 황궁에 버금가는 거대한 대전에서 거처하는 교주를 광신적으로 숭배합니다.

정파와 대립하는 악의 단체이면서도 그들의 무공을 빼앗거나 훔치는 묘사가 많습니다.

교단의 가입과 탈퇴는 자유롭지 않으며, 새로 입교하는 자들을 독약과 해독제를 이용해 강제로 조종합니다.

이들이 훔쳐간 무공 중에 대표적인 것들로는 규화보전과 흡성대법이 있습니다.

주딱이 공지에 넣을만한 글 알려달라길래 가장 필요해보이는 걸로 작성하는중임

밤이 늦어서 일단은 여기까지

추후에 이어서 쓰겠음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