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의 밀도 그래프 - mul-ui mildo geulaepeu

1kg의 나무를 천칭의 한쪽 접시위에 놓고 다른 쪽 접시 위에 1kg의 돌을 올려놓고 달아보면 이 두 질량은 평형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차이점은 나무는 돌에 비하여 훨씬 큰 공간을 차지하게 되며, 이러한 차이점은 같은 질량의 물과 수은에서도 볼 수 있다.

이 때 각각 상이한 물체들의 질량과 부피 사이의 차이점을 비교하는데 밀도(density:D)라는 단위를 사용한다. 즉 어떤 물체의 질량을 M, 부피를 V라면 밀도는 D=M/V가 된다. 식으로 표시된 밀도를 말로 바꾸어 간단히 서술한다면 밀도란 어떤 물체의 빽빽한 정도라 할 수 있겠다.

거의 모든 물체는 가열되면 일반적으로 팽창하므로 밀도는 온도에 따라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어떤 특정한 온도에서 측정된 밀도는 그 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감소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질량에는 변화가 없지만, 그 부피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그러므 로 밀도에 대한 정확한 표시를 해 주기 위해서는 밀도 측정시의 온도를 표시해 주어야 한다.

<물의 단위질량에 대한 부피변화 그래프>

물에 있어서도 온도에 따라 밀도가 변화하는데 4℃일때의 밀도가 가장 크게 된다.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4℃이상의 물에서는 온도상승과 더불어 부피가 팽창하지만 직선적은 아니다. 그러나 0℃와 4℃사이의 온도에서 물은 다른 일반 액체와 는 달리 팽창하지 않고 수축한다.

그래프에서 물의 최소부피는 3.98℃에서 일어나며 1.0000250㎤/g이다. 최소비부피의 역수에 해당하는 최대밀도는 0.9999750g/㎤이다. 이 온도보다 다른 범위에서는 물의 밀도가 이보다 적다. 물의 이와 같은 성질은 호수가 왜 윗표면부터 얼기 시작하는가를 설명하여 준다. 만일 물이 최대밀도를 갖지 않는다면 호수는 밑부분부터 얼어 올라 올 것이다.

<물의 온도별 밀도변화 테이블>

비중이란 어떤 물체의 단위중량과 순수한 물 4℃일때 단위중량의 비를 말하며 순수한 물 4℃일때 물의 비중은 1.0이다. 즉, 물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물체와 비교한 것이 비중이다.    비중을 간단히 측정하려면 부피가 정확히 알려진 눈금의 용기를 선택하여 빈 용기 자체의 무게를 측정한 후 기록하고 다음에 비중을 조사할 액체를 채운 후 무게를 측정 기록하며, 최종적으로 그 용기를 깨끗이 닦아 말린 다음에 증류수를 채워서 무게를 측정하면 두가지 액체의 순수한 무게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은 액체의 무게를 증류수의 무게로 나누면 비중을 얻을 수 있다.    밀도에서와 마찬가지로 비중도 측정을 실시한 때의 온도를 명시하여야 정확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으며 비중 측정에서는 단위가 제거되었다는 점이 밀도와 차이가 나는 점이다. 즉, 비중이란 동일한 부피의 증류수와 어떤 미지의 액체를 비교하는데 사용된 순수한 비율이다.

위의 공식에서 물의 밀도가 1 이기 때문에 물체의 비중은 물체의 밀도에서 단위를 생략한 것과 같다. 우리가 수영속에서 비중의 과학을 적용한다면, 수영장의 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비중은 상대적으로 작아진다는 결론을 가질 수 있다. (4℃ 이하에서 수영하고 싶은 분은 시비를 걸어도 좋다)  또한 일반적인 비중의 정도는 기체 < 액체 < 고체 의 공식을 취한다.(동일한 물질을 전제로) 단, 물(액체) > 스티로폼(고체)과 같이 고체의 비중이 액체보다 낮은 경우도 있다. 자료작성 : 김재중 / 감수 도우미 : 나인스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질문 내용과학 - 화학2 - 물질의 상태2019.05.01 21:16:02

이 두 그래프가 이해가 안갑니다. 열팽창이 무엇인지 왜 일어나는지 설명해주시고 그래프에 대한 구간별 꼼꼼한 설명 부탁드려요

답변 내용

슈어2

튜터

고려대학교ㅣ의학과

두개는 결국 같은 그래프입니다 물의 부피/밀도를 결정하는데 고려해야할 요인으로는 두가지 정도가 있습니다 수소 결합, 물분자의 운동 입니다 0도씨보다 낮을 때 물은 얼음 상태로 존재합니다 이때는 온도가 증가할 수록 수소 결합이 조금씩 느슨해지면서 부피가 중가하고 밀도는 감소합니다 0도씨에서 드디어 수소결합이 많이 끊어지고 결정구조가 깨집니다 이때 물분자의 부피는 감소하고 밀도는 증가합니다 4도씨까지는 아직 남아있는 수소결합이 마저 끊어지면서 부피가 점점 작아지고 밀도는 증가한다고 이해할 수 있고 그 이후로는 물분자의 운동이 활잘해지면서 부피는 증가하고 밀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질문과 관련있는 개념

# 액체와 고체

서비스 소개콴다 프리미엄콴다과외

문제

  • 중학교
  • 중1 과학

학생

풀이 방법을 자세하게 설명해주세요

콴다 선생님 풀이

콴다 선생님 - 빠른빠름

4도씨에서 물의 밀도가 가장높으므로 부피는 가장 작은것을 알수있습니다. 또한 -4도의 밀도가 0도의 물의 밀도보다 작으므로 부피가 크다는 것을 알수잇죠. 그래서 답은 3번이네요

    SKY 선생님에게 질문해서 문제를 더 자세하게 이해하고 싶다면?

    이 문제와 비슷한 문제

    • 중학교
    • 과학

    • 고등학교
    • 화학2

    • 고등학교
    • 화학2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