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아래 염증 - nun alae yeomjeung

마이봄샘은 눈꺼풀판에 수직으로(세로로) 나란히 한 줄로 배열되어 있어 직각으로 절개하는 것이다.
* 바깥다래끼와 속다래끼는 화농성 염증이기 때문에 발적, 압통 등 염증의 징후가 나타나고, 절개 외에도 더운찜질, 항생제 연고가 필요하다. 다만 gland의 위치가 달라 절개 방향에 차이가 나는 것이다. 대신 콩다래끼는 만성염증이라 발적, 압통이 없고 더운찜질이나 항생제도 필요 없는 것으로 이해한다.

1. 바깥다래끼(external hordeolum, 겉맥립종)

1) 눈꺼풀의 gland of Zeis, Moll's gland의 급성화농성 염증(주로 포도알균이 원인)
2) 눈꺼풀표면에 가까이 위치
3) 증상
초기에는 발적, 소양감이 있다가 붓고 통증이 생김. 4~5 일 정도 지나면 통증이 감소하면서 농양이 되고 피부로 배농
4) 치료
(1) 대부분의 경우 저절로 좋아지거나, 피부 쪽으로 배농 되어 호전
(2) 더운 찜질을 시행하면 더 신속히 치유
(3) 눈꺼풀테에 항생제 안연고 : 주위 속눈썹 뿌리로 감염이 퍼지는 것을 방지
(4) 농양이 형성되어 배농이 잘 되지 않는 경우 → 피부를 눈꺼풀태에 나란히 절개하여 배농 

* 15세 여아가 2~3일전부터 아래 눈꺼풀이 붓고 누르면 아파서 병원에 왔다.

임상 증상 및 사진으로 보아 겉다래끼가 의심된다. 겉다래끼의 치료는 더운찜질 및 항생제 연고를 사용하여 자연적인 배농이 되게 한다. 자연적인 배농이 실패할 경우 절개 배농을 시행한다.
다래끼는 발적, 소앙감이 있다가 붓고 통증이 생긴다. 압통이 심하고 경화된 결절이 4- 5일 지나면 통증이 감소하연서 농앙이 되고 피부로 배농된다. 대부분 저절로 좋아지거나 피부쪽으로 배농이 되면서 낫지만 더운찜질을하면 더 빨리 치유된다. 농양이 형성되고 배농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피부를 눈꺼풀테와 나란히 절개하여 배농시킨다.

자이즈샘 : 속눈썹의 sebaceous gland
몰샘 : 자이즈샘보다 조금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일종의 땀샘
마이봄샘 : 눈꺼풀 안쪽의 sebaceous gland

2. 속다래끼(internal hordeolum, 속맥립종)

1) Meibomian gland의 급성화농성 염증
2) 비깥다래끼보다 갚이 있고 눈꺼풀판결막면에 노란 농양점이 나타나는 것으로 구별
3) 치료 : 바깥다래 끼와 동일한 방법으로 치료, 배농시 결막변을
 눈꺼풀태와 직각으로 절개 
* 바깥다래끼와 속다래끼는 발생 위치만 다를 뿐 비슷한 병이다. 증상도 비슷하다.

1) Meibomian gland의 무균성 만성 육아종성 염증
2) 눈꺼풀테 피부 밑에서 팥알 크기의 단단한 결절 촉지 →
발적, 통증의 염증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
3) 치료
(1) 작은 결절은 자연치유
(2) 대부분은 눈꺼풀판결막을 
눈꺼풀태와 직각으로 절개하여 내용물을 긁어 내어 치유
(3) 성인에서 동일 부위에 콩다래끼가 자주 재발시 생검 필요 : 악성종양과 감별

* 20세 남자 환자가 1 개월 전에 갑자기 생긴 눈 밑의 완두콩 크기의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발적과 통증은 없었다.

눈 밑의 팥알 크기의 종괴, 통증이나 발적이 없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콩다래끼. 다른 다래끼는 화농성 염증인 반면 콩다래끼는 만성 육이종성 염증으로 통증이나 발적이 없는 것이 특징적. 치료는 눈꺼풀결막을 눈꺼풀테와 직각으로 절개하여 내용물을 긁어 내는 것.

4. 눈꺼풀테염(marginal blepharitis)

1) 눈꺼풀테피부와 속눈썹뿌리에 발생히는 만성 염증, 대부분 양쪽에 나타남
2) 눈 주위에 붉은 테를 두른 듯 눈꺼풀테가 충혈
3) 가려움,  이물감, 자극증상, 결막충혈 호소
4) 치료 : 머리, 눈썹, 눈꺼풀테를 청결히 하고 항균제 국소 투여

* 36세 남자가 양쪽 눈의 가려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이물감은 없었으나 눈꺼풀테에 발적, 궤앙, 가피 및 고름이 관찰되었다.

눈꺼풀테염은 눈 주위에 붉은 테를 두른 듯 충헐되며 속눈썹에 비듬이 붙어 있다. 가려움, 이물감, 자극증상, 결막충혈을 호소하며 포도알균감염과 지루피부염이 주 원인. 머리, 눈썹, 눈꺼풀테를 청결히 하며 항균제를 투여한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