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 핏줄 터졌을때 - nun-e pisjul teojyeoss-eulttae

킴닥터가 정확한 눈에 실핏줄 터졌을때 원인과 빨리 실핏줄을 없애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눈의 실핏줄이란 거울을 봤을 때 동공 주변의 흰자에서 출혈이 발생해서 혈액이 고여 투명한 결막애 그대로 보여지는 것을 의미합니다.의학적 용어로는 결막하 출혈이라고도 하며, 해석 그대로 결막 아래에 출혈이 발생한 것으로 통증이나 증상이 없어 환자 스스로 거울을 보았을 때 눈에 실핏줄을 확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눈이 아닌 다른 피부에서 피하출혈이 발생하면 보라색의 멍이 들게 되는데 눈의 실핏줄 터졋을때도 멍과 동일하나 결막은 투명하기 때문에 출혈로 발생한 피가 바로 보이게 됩니다.

특히 눈에 있는 모세혈관은 연약하기 때문에 자주 실핏줄을 볼 수 있어 심각한 증상이나 전문적인 치료가 불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정도에 따라서 심한 경우 특별한 원인이나 질병일 가능성이 있으며, 다른 사람들이 보았을 때 외관상 더 피로해보인다거나 건강이 좋아보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눈에 실핏줄 빨리 없애는 방법을 참고하셔서 증상을 호전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목차

1. 눈 실핏줄 원인

2. 눈에 실핏줄 터졌을 때 빨리 없애는 방법

눈 실핏줄 원인

1. 안압이 있을 때

눈의 모세혈관은 연약하기 때문에 기침, 재채기, 높은 산의 등산, 다이빙, 무거운 물건을 들었을 때 등 순간적인 신체 압력으로도 출혈이 발생해 실핏줄이 보여질 수 있습니다.

2. 고혈압이 있을 때

혈압이 정상 평균보다 높은 고혈압을 앓고 계실 경우 훨씬 더 실핏줄 증상이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외부 자극이 있을 때

손을 이용해서 눈을 자주 비빌 경우 모세혈관이 터져 실핏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눈이 자주 간지러우시다면 결막염 증상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또 렌즈나, 다른 충격으로도 발생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4. 안구가 건조할 때

안구가 건조하면 결막에 있는 혈관이 공기중에 쉽게 노출되는데 이 때 자극과 확장을 통해 충혈되며 실핏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컴퓨터, 스마트폰, 독서 등 눈을 과도하게 사용할 때

장시간 눈을 사용하게 되면 눈이 건조해지고, 스트레스를 통해서 혈압까지 상승하여 출혈이 더 잘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직장인의 경우 과로, 밤을 세는 경우 쉽게 눈 실핏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눈에 실핏줄 터졌을때 빨리 없애는 방법

눈에 실핏줄이 터졌을때는 증상이 심하지 않는다면 자연스럽게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2주에서 3주내에 모두 사라지게 됩니다. 출혈이 발생하면 우리 피부에서는 출현된 피를 천천히 다시 흡수를 하기 때문에 치료 과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실핏줄을 빨리 없애고 싶으시다면 효과적인 아래의 4 가지 방법으로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1. 실핏줄 초기 효과적인 냉찜질

눈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온찜찔과 찜질방, 사우나는 피하고 냉찜질을 해주는 것이 실핏줄을 빨리 없애는 방법입니다. 특히 초기에 증상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이며 깨끗한 수건을 얼음물에 적시고 하루 10분, 2~4회 정도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냉찜질을 해주게 되면 혈관을 수축해주고 안구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어 도움이 됩니다.

2. 안약 사용

안약은 안구건조증으로 인한 자극성 출혈을 줄여주고, 결막염등을 완화해주는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안약을 주기적으로 사용하면 실핏줄을 빨리 없앨 수 있습니다.

3. 안구 휴식 취하기

컴퓨터, 스마트폰, 독서 등으로 눈을 사용할수록 실핏줄이 잘 생기며 이미 생긴 실핏줄이 증상이 쉽게 호전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사용 중간중간마다 눈을 감고 휴식을 취해주시는 것이 좋으며 피로 회복과 스트레스 관리, 충분한 수면 시간을 가지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또한 실핏줄이 있을 때에는 과음과 흡연 또한 줄여주시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됩니다.

안구 피로 회복 방법

① 먼곳과 가까운 곳을 번갈아 응시합니다.

② 1시간 작업 후 1시간동안 눈을 감고 휴식합니다.

③ 눈을 비비는 것이 아닌 눈 주변을 마사지 합니다.

④ 한곳을 오래 볼 때에는 자주 눈을 깜빡여 건조함을 줄입니다.

4. 증상 완화가 되지 않을 땐 병원 치료

눈이 가렵고 눈곱이 많이 낀다면 결막염이 의심되며 반드시 안과를 방문하여서 치료를 해주셔야 합니다. 또한 렌즈로 인한 상처, 강한 외부의 자극등으로 눈에 실핏줄이 터졌을 때 출혈이 심할 수 있고 이 경우에도 꼭 병원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건강, 생활

눈에 실핏줄이 터지는 이유와 증상, 치료 방법

제가 지난주 수요일(6일) 오후에 왼쪽 눈에 실핏줄이 터졌습니다. 실핏줄이 터진것을 일부 사람들은 피멍이 들었다는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 실핏줄이 터진후 머리가 띵하고 눈을 뜰수가 없을 정도로 불편했습니다. 자꾸 눈을 깜박거리며 손으로 눈을 비비게 되었습니다.

계속 비비게되면 눈이 더 악화될것 같은 생각이 들어 애써 참고 눈만 떳다 감았다 반복을 하였습니다.

눈이 불편하니까 너무 피곤하고 머리가 띵~해서 정신이 혼미해서 견딜수가 없었습니다. 저는 하는 일이 웹프로그램 웹디자인, 인터넷 컴퓨터 웹상에서 또는 스마트폰으로 글을 많이 쓰는 하루 일과에 눈을 많이 쓰는 직업인지라 늘 피곤하고 눈부터 피로해지곤 했습니다.

이날은 좀 일찍 퇴근을 했습니다 그리고 좀 일찍 잤습니다.

다음날 오전 일찍 병원을 갔습니다.

의사가 하시는 말씀이

무슨 신경 쓰실일 있었나요? 였습니다.

네.. 하는 일도 그렇고 신경 쓸일이 좀 있었습니다...

의사 : 몇일 쉬면 괜찮아 집니다. 길게는 1주일정도 짧게는 3~5일 정도 안정을 취하면 낳습니다. 안약(물약)을 열심히 넣으시고 쉬세요.

나 : 머리가 띵~ 하고 머리가 많이 아픈데 왜 그러죠?

의사 : 눈을 감고 쉬세요. 신경을 쓰면 그렇습니다. 하루 정도는 아무것도 하지말고 쉬세요. 눈 감고 안정을 취하세요.

병원을 나와 안약을 넣으니 좀 좋아진 기분이었습니다.

출근중 통화 할일이 있어 통화중에 신경쓸일이 또 생겼습니다. 아뿔사 신경쓰지 마라했는데..

이날 오후 사전에 약속이 되어 있는 안산 미팅을 취소할 수가 없어 안산까지 가서 미팅을 어렵게 끝내고 돌아오는 길에 머리가 너~무 아파서 다시 병원에 갔습니다. 의사님이 일단 안정을 취하는것이 우선이라고 했습니다.

아~ 머리 아픔의 고통은 참으로 견디기 힘들었습니다.

실핏줄 터졌을때 극도의 신경쓰는것은 위험합니다.

여러분도 주의하시기를 당부 드립니다. @songtel

★ 눈에 실핏줄이 터지는 이유 와 증상, 치료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

제가 3월 6일 오후 직접 실핏줄이 터지고 난후 치료하면서 알아보고 정리한 글입니다.
참고가 되기를 바랍니다.

일단 눈의 실핏줄이 터지는 것은 눈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졌거나 너무 피곤한 상태에서 눈이 충혈되고 눈 실핏줄이 터져서 출혈이 되어 눈이 빨갛게 됩니다.
눈에 실핏줄이 자주 터지면 결막하출혈일수 있습니다. 결막염에 상관없이 재채기를 심하게 하거나 순간적으로 혈압이 올라가는 경우 또한 불면증, 스트레스 등에 의해서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 밖에도 평소에 안구건조증과 관련 눈꺼풀과 안구 사이에 눈물의 양이 적거나 눈물의 성분이 좋지 않아 눈을 보호하는 기능을 못할때 발생하기도 합니다.

[증상]
1. 피로함을 자주 느끼며 극도로 피곤해진다.
2. 눈에 뭐가 들어 간것 처럼 눈이 불편해서 나도모르게 손으로 비비게 된다.
3. 눈이 따끔하게 느껴지는 순간이 있다.(핏줄터짐)
4. 머리가 띵~ 하며 혼미해진다.
5. 연속해서 눈이 간질거리며 따끔거리기도 한다.

[원인]
1.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때
2. 변비가 있어 과도한 힘을 줄때
3. 눈을 심하게 비비거나 운동을 하다 공에 맞았을때
4. 고혈압, 불면증, 스트레스가 심할때
5. 무거운 물건을 들었을때

[예방]
1. 휴식을 자주 취해준다.
2. 눈을 감고 안정을 취해준다.
3. 눈에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평소에 눈을 자주 깜빡여 준다.
4. 먼곳을 초점없이 자주 응시해주어 눈의 피로를 풀어준다.
5. 한시간 간격으로 5~10분 정도는 눈을 쉬게 해준다.
6. 히터바람을 직접 쐬지 않도록 한다.
7. 피를 잘 흡수하게 하는 안약과 경구약을 이용한다.

[치료]
실핏줄이 터지면 눈을 비비거나 물리적인 자극을 주지 말아야 합니다. 자극(비빈다)을 주면 더 출혈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보통 피부에 피멍이 들었을때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가라앉는 것처럼 결막출혈도 특별한 치료없이 보통 1~3주 이내에 가라앉게 됩니다.
그러나 지혈이 되지 않고 계속 출혈이 있거나 반복되면 혈액응고인자에 문제가 있을수 있으니 병원에 가서 간기능 검사를 받아 보시는것이 좋습니다.
가장 빠른 치료를 원하시면 안과 전문병원에 가셔서 진료를 받으십시오.

※ 결막하출혈 이란? 결막의 작은 혈관이 파열하여 피가 결막아래에 고여서 선홍색반점으로 보이는 상태, 사소한 외상으로 생기기도 하나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