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없는 피부통증 - oesang-eobsneun pibutongjeung

직장인 김수연(가명·33)씨는 극심한 통증으로 몇 달째 고생하고 있다. 조금만 스쳐도 찌릿찌릿한 고통으로 움직이기 어렵다. 통증은 갑자기 생겼다. 평소처럼 집으로 가는 길에 삐끗해 넘어졌다. 발목이 뻐근하게 아팠지만 나으려니 하고 넘겼다. 그런데 통증이 점점 심해지더니 종아리 전체로 퍼졌다. 병원 여러 곳을 전전하다가 '복합부위통증증후군'으로 진단받았다.

통증은 몸이 보내는 경고 신호다. 피부가 찢어지거나 뼈가 부러질 수 있는 위험상황에 직면했거나 몸 건강상태가 나빠지고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예컨대 칼에 손가락이 스쳐 베이면 그 부위가 쓰리다. 자칫 잘못하면 더 크 게 베일 수 있어 조심하게 된다. 작은 통증으로 치명적인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을 막은 셈이다. 몸이 아플 때도 곧바로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는다. 실제 많은 사람들이 ‘아프다’는 이유로 병원을 찾는다. 이런  통증은 당연히 몸이 본래 상태로 돌아오면 없어진다.

문제는 몸이 나았는데도 통증이 남아있는 경우다. 바로 복합부위통증증후군 같은 만성통증 환자들이다. 이런 만성통증은 일반적인 통증과는 다르다. 조금만 참으면 괜찮겠지라고 생각해 방치하면 통증이 걷잡을 수 없이 빠르게 온 몸으로 퍼져나간다.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통증센터 김응돈 교수의 도움말로 난치성 통증 질환인 복합부위통증증후군에 대해 알아봤다.

통증 전달하는 신경조직 망가져 작은 충격도 크게 느껴 
복합부위통증증후군 같은 만성통증은 상처가 다 나은 뒤에도 통증이 계속 남아 있는 경우를 말한다. 남자보다는 여자에게 3~4배 많이 발생한다. 외상이나 수술 후 갑자기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개 통증이 뇌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신경조직이 비정상적으로 변해 발병한다. 살짝만 스쳐도 몸이 타는 듯 아프다. 통증부위가 붉어지면서 피부 색이 변하거나 부어오르기도 한다. 손발톱이 변하거나 털이 빠지는 경우도  있다. 만일 3개월 이상 통증이 지속되면 만성통증을 의심해야 한다.

신경은 한 번 망가지면 다시 예전과 같은 상태로 회복하기 어렵다. 영구적으로 손상돼서다. 조그만 참으면 나아지겠지란 이유로 참으면 안된다. 오히려 통증 초기에 빨리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통증으로  망가진 신경부위가 넓어진다. 심한 통증으로 일상적인 삶을 유지하기 어렵고 우울증에 빠지기 쉽다. 이런 이유로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이 발병한 사람은 자살률이 매우 높았다.

치료는 통증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그 다음은 통증 주관적인 통증 강도를 측정한다. 통증은 사람마다 느끼는 강도가 다르다. 어느정도 수준의 통증인지 수치화한다. 대개 환자의 주관적인 인지 기준에 따라 1~10단계로 구분한다. 숫자가 클수록 통증의 강도가 쎄다. 참고로 여성이 출산 때 느끼는 통증은 7단계 수준이다. 진통제로도 통증이 조절되지 않을 때는 비약물적 요법을 활용한다.

치료는 개인이 느끼는 통증의 강도에 맞춰 진통제나 마약성 진통제 등을 투여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이와 함께 재활치료와 정신 심리치료도 병행한다. 통증으로 겪는 우울감·상실감을 조절하기 위해서다.

이런 치료에도 통증이 계속되면 비약물적 요법을 활용한다. 척수신경자극술이 대표적이다. 약물이나 전기자극 물리치료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도 통증이 가라앉지 않을 때 최후의 방법으로 활용한다. 먼저 척추신경자극술은 
통증이 말초신경을 통해 중추신경계로 진입할 때 전기자극을 가해 뇌로 이어지는 통증신호를 교란시킨다. 통증 대신 진동을 느낀다. 치료가 까다로운 난치성 통증 치료에 효과적이다.

김응돈 가톨릭대 대전성모병원 통증센터 교수는 “복합부위통증증후군과 같은 신경병증성 통증은 희귀난치성 질환이지만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한다면 분명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다”며 “혈압이나 당뇨 같은 만성 질환 을 가진 사람이 삶의 질을 유지하며 지낼 수 있듯이 통증이 이미 만성적인 경우라도 삶의 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여러 통증 조절 방법들을 시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 저작권자 © 중앙일보에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ٶ��� ���ĵ� �Ǻΰ� �ҿ� �� �� ȭ���Ÿ��� ���ŰŸ��� ���� ������ ������ �޴� ������� �ִ�. �̸��� �Ű溴�� ���� ȯ�ڵ� ����. �̱��� ��� ���α��� 7%�� �� 2600������ �� ���� �ΰ� �ְ�, ��Ȯ�� ��谡 ���� ���� ������ �츮���� 100����200������ �̸� ������ ������ ������ ����.

�޽Ű溴�� �����̶�=�� �״�� ���ʽŰ�質 ���߽Ű���� �Ű� �ջ����� �߻��ϴ� ������ ����Ų��. ���� ��ȯ�� �پ��ϴ�. ô�߼ջ� �� �ܻ� ��, ������� ���� �Ű濰�� ��, �索�� �� ���� ������ ��Ȱġ ���� ���� �ɸ� ��, �׸��� �Ͽ� ���� �Ű�谡 �ջ� �޾��� �� �Ͼ��. �������� ��� �� ���� �޴� ȯ����(������)�� ������ �� ���պ����������ı�(CRPS)�� �Ű溴�� ������ ���Եȴ�.

�� ���� ���� ȯ�ڵ��� �ܺ� �ڱ� ���� ������ �־ �Ǻΰ� ȭ���Ÿ��� �ۿ����� ���Ⱑ ���� ���� ����, ������ ���� ������ ������ ������, ���������� ������ ������ �̻󰨰��� ���谨 � �ô޸���.

�Z���ﺴ�� �����������а� �ɿ켮 ������ �������� ���� ���� ������ �ǵ帮�� ���� ������ ������ �ޱ⵵ �Ѵ١��� ���� ���� ������ �㳷�� ������ �ʰ� ��Ÿ���Ƿ� �ϻ��Ȱ�� ���ΰ��迡 ������� �޴´١��� �����ߴ�.

������ �̷����� ������ �����ϱⰡ ���� �ʴ�. ���� ġ������ ���� ������ƾ, �������ٸ� �� �����̳� ����� ġ������ ��� ����ϰ� �ֱ� �����̴�. ���༺ �������� �ᵵ �� ���� ġ��ȿ���� ���ӵ��� �ʴ� ��찡 ��κ��̴�. ���Z�𺴿� �����������а� ������ ������ ���Դٰ� ���� �޽����� ����������, ��������, ���� ���� ���ۿ�Ӹ� �ƴ϶� �Ϻ� ������ ��� ���庴 �쳻�� ������ �ź��� ���� �պ��ϰų� �ڻ� ������ ������Ű�⵵ �� ���ǰ� �ʿ��ϴ١��� �����ߴ�.

������ �ν� �Ű漼�� ���� �ž� �Ӽ� ����=�� ������ �ذ��ϱ� ���� ���ߵǰ� �ִ� �ž��� ü���� �밢 �Ű漼���� �����ν� ������ �����ϴ� ��TRPV1��(�ٴҷ��̵� ����ü)�� Ȱ���� ���������� �����ϴ� ���̴�. ������ 11�� �̱� ��ǰ�Ǿ౹(FDA)�� ���� ������ ���� ��������X���� NGX4010(������)�� �ƽ�Ʈ������ī�� ��AZD-1386��, GSK�� ��SB-705498��, ��������� ��DWP-05195�� ���� �ٷ� �װ�(��ǥ ����).

���� �����ڴ� ������ ����ȿ���� ��Ÿ���� ĸ���̽�(capsaicin) ������ ������ ��ġ����, �Ű溴�� ���� �� Ư�� ������� �� �Ű��� ġ�ῡ ȿ���� �ִ�. FDA�� �ӻ���� ��� �����ڸ� �Ǻο� ���̸� ĸ���̽� ������ ü���� ������ ������ ������ ���������� ��ȭ��Ű�� ������ ��Ÿ���ٰ� ������. ��������� ����뺴������ ��1�� �ӻ������ �����ϰ� �ִ� ��DWP-05195���� �ָ�ȴ�. �������� ��� ������ �׿������ �װ���� �๰���� 10�� �̻� �پ ��ȿ�� ��Ÿ���鼭�� 4�� �̻� ������ ������ Ȯ�εƱ� �����̴�. ��������� ���� 5������ ��1�� �ӻ������ �Ϸ��� �� ��2�� �ӻ���迡 ����, �ʾ 2013�Ⲳ ����� ��ȹ�̴�.

���� �̷� �ž��� �ᵵ ������ ������ �� ���� ��ġ�� �Ű溴�� ���� ȯ�ڵ鿡�Դ� ������ ������� �Ű��� �ƿ� ���ܽ�Ű�� �ü��� �ϰų� ô���Ű��� ����� �ڱ��� ������ �氨��Ű�� �ü��� �ʿ��ϴ�. �߾Ӵ뺴�� �����������а� ������ ������ ������ ���� �ٴ��� �� ���� ���� ����� �Ű����� �����ϸ� ������ ������� �ȴ١��� ���ߴ�.

�̱�� ������������

GoodNews paper �� �����Ϻ�(www.kmib.co.kr), �������� �� ����, ���������

© News1

대상포진은 어린 시절 수두를 일으켰던 바이러스가 신경조직에 남아 있다가 면역기능이 떨어지면 다시 활동을 시작하면서 발병한다.

이 바이러스는 신경을 따라 피부에 도달하면서 통증과 함께 기다란 띠 모양의 피부 발진을 일으킨다. 대상포진의 대표적인 증상이다. 대상포진이 발병하는 주요 원인은 몸에 극심한 피로가 쌓이거나 면역력을 떨어뜨릴 수 있는 과로, 스트레스, 다이어트 등이다.

대상포진은 주로 50세가 넘은 중장년층 환자가 많다. 10명 중 7명꼴로 50세 이상이다. 면역력이 점차 약해지는 증상과 관련이 있어서다.

최근에는 과로나 심한 스트레스로 젊은 환자들이 늘고 있는 추세다. 성별로는 남성보다 여성이 많은 편이다. 50세가 넘었고 폐경을 겪은 여성은 면역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증상이 잦기 때문이다.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먼저 신경에 염증을 일으키기 때문에 가려움과 따끔거림, 통증이 2~3일 정도 먼저 나타난다. 통증 후에는 피부 발진이 생긴다. 이후 바이러스가 활동하는 신경을 따라 붉은 띠 모양의 발진이 나타나면서 통증이 심해진다.

얼굴이나 머리에 대상포진이 생겼을 때는 두통이 발생한다. 드물게 피부발진 없이 통증만 나타날 때도 있는데, 바이러스 항체 검사로 진단할 수 있다. 이 질병은 항바이러스제와 진통제, 소염제를 투약해 치료한다. 초기에 진단하고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해 바이러스가 퍼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

발병 후 3일 이내에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하면 피부 병변이 빨리 가라앉고, 급성 통증이 나타나는 기간을 줄인다. 대상포진이 나타났던 부위에 날카롭고 찌르는 듯한 통증이 느껴지는 ‘포진 후 동통’은 가장 흔한 후유증이다. 면역력이 약하고 나이가 많을수록 등통이 생길 위험이 높다.

수포가 안면신경을 따라 발생할 때는 드물게 시각장애, 청력장애, 안면신경마비 등의 중증 후유증을 겪을 수 있다.

면역력을 예방하려면 평소 건강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규칙적인 운동과 충분한 수면, 균형 잡힌 식단으로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한다. 정기검진을 통해 병을 초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면 면역력이 떨어지는 걸 막는다.

이민걸 세브란스병원 피부과 교수는 “60세 이상 고령층은 몸에 무리가 되는 강도 높은 운동이나 업무는 자제하는 게 좋다”며 “예방접종이 가장 확실한 예방법”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이미지좋아요
  • 슬퍼요 이미지슬퍼요
  • 화나요 이미지화나요
  • 후속기사 원해요 이미지후속기사 원해요

Copyright ⓒ 동아일보 & donga.com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