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과정장애 간호진단 - sagogwajeongjang-ae ganhojindan

조현병

사고과정 장애(Disturbed Thought Processes)

정의: 인지기능과 활동에 장애를 경험하는 상태

관련요인/위험요인

신뢰 불능

공황 수준의 불안

억압된 공포

약해진 자아에 위협이 될 정도의 극심한 스트레스

유전적 요인

대상자 특성

망상적 사고(잘못된 생각)

집중할 수 없음

지나친 경계심

주의 집중 장애, 주의 산만

주위환경에 대한 부정확한 해석

의사결정, 문제해결, 추론, 추상화 또는 개념화, 계산 능력의 손상

부적절한 사회적 행동

현실에 기초하지 않는 부적절한 사고

목적/목표

단기목적:

1. 대상자는 2주가 될 때까지 불안이 증가할 때 잘못된 사고가 발생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를 말로 표현한다.

장기목적:

만성의 정도에 의거하여, 다음 중 가장 현실적인 목적을 택한다.

1.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망상적 사고를 경험하지 않는다.

2.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망상적 사고와 현실을 구별한다.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1

잘못된 믿음을 필요로 하는 대상자의 요구에 대해서는 수용한다는 것을 전달하는 한편, 망상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대상자로 하여금 알도록 한다.

간호사가 망상을 현실로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것을 대상자와 의사소통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잘못된 믿음에 대해 논쟁하거나 부정하지 않는다. 치료적 기법으로서 ‘나는 믿기가 어렵습니다’와 같은 합당한 의심을 사용한다.

대상자와 논쟁하거나 믿음을 부정하는 것은 신뢰관계의 발달의 방해할 수 있으므로 전혀 유용하지 않다.

3

잘못된 믿음을 불안이 증가된 시기와 연결시키도록 대상자를 돕는다. 불안을 조절하는 기법들을 알려준다. (ex. 심호흡, 이완요법, 사고중지기법)

대상자가 불안 증가를 중단시키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다면, 망상적 사고는 방지될 수 있다.

4

현실을 강화하고 현실에 초점을 둔다. 비논리적인 사고에 대해 길게 이야기하지 않는다. 실제 사건과 실제 인물에 대해 이야기 한다.

잘못된 생각에 초점을 두고 이야기하는 것은 의미가 없고 유용하지 못하며 오히려 정신증을 조장할 수도 있다.

5

대상자가 불안, 공포, 불안정 등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돕고 지지해 준다.

비위협적인 환경에서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하는 것은 대상자로 하여금 장기간 해결되지 못한 문제에 대해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기대되는 결과:

1. 대상자의 사고과정을 반영하는 언어적 표현은 현실에 기반을 둔다.

2. 대상자는 최대의 능력으로 일상활동을 유지한다.

3. 대상자는 발생된 망상적 사고에 대해 반응하지 않는다.

+

//blog.naver.com/yz100496?Redirect=Log&logNo=221499183476&from=postView

제 블로그 검색창에 망상, 조현병에 대해 검색하시면 다른 연관 포스트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주관적 자료

“친구가 내 입에 아직도 그 나무 뿌리 죽이는 약을 쏟아 넣어요. 그래서 목이 쓴 거예요.”

“ 병원의 누군가가 내 물에 약을 타서 물이 써요.” - 피해망상

“자신에 배에 양파링 한 박스가 들어있어 있어서 배불러 저녁을 안 먹어요.”- 신체망상

객관적 자료

누군가 자신의 물에 약을 탄다고 맹물을 안드심 (식후, 약복용 시 조금) 그 외는 입이 건조할 때 물로 헹구심

약해진 자아에 대한 위협과 관련된 사고과정 장애

단기목표 :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이전보다 불안이 감소했다고 말할 것이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망상적 사고와 현실을 구별한다.

1.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2. 대상자와 신뢰감을 형성하기 위해 라포를 형성한다.

3. 사고과정의 장애 정도를 사정한다.

( 망상을 유발하는 원인, 망상의 강도와 빈도, 지속기간을 사정하고, 망상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망상의 목적과 망상에 의거한 행동이 무엇인지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대화의 내용보다는 과정을 중요시한다.)

4. 대상자에게 동의하거나 부정하지 않고 환각적 경험 혹은 망상적 경험을 수용해준다.

5. 망상과 관련된 내용이 아닌 느낌에 대해 초점을 맞춘다.

6. 망상이 시작될 때의 불안이 증가되는 주변 상황을 말해보도록 격려한다.

7. 불안을 조절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해 알려준다. (심호흡, 이완요법 등)

8. 망상에서 벗어나도록 현실에 초점을 둔 다른 것에 집중하도록 다양한 활동을 제공한다.

9. 대상자가 현실적사고와 비현실적 사고를 구분했을 때 긍정적인 반응을 해준다.

망상적 사고와 관련된 사고과정장애

  • 상세정보
  • 자료후기 (23)
  • 자료문의 (0)
  • 판매자정보

소개글

조현병( Schizophrenia) 대상자의 『망상적 사고와 관련된 사고과정장애(Disturbed Thought Process)』 간호과정입니다.

진단적, 치료적, 교육적 내용을 모두 포함한 간호계획, 간호수행과 이론적 근거까지 하나하나 꼼꼼하고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논문, 교재 등을 기반으로 비판적 사고를 통해 작성했으며,
간호 중재와 이론적 근거 모두 확실하게 핵심을 잘 짚은 탄탄한 내용으로 분명 만족하실거라 생각합니다.

제대로 된 자료 참고하시고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 감사합니다.

목차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

3. 간호목표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4. 간호계획
1) 진단적
2) 치료적
3) 교육적

5. 이론적 근거

6. 간호수행

7. 간호평가
1) 단기목표
2) 장기목표

8. 참고자료

본문내용

1. 간호사정

< 주관적 자료 >
⑴ “당신들 한 패인거 다 알고 있어요. ”
⑵ “내 정보가 다른 사람들한테 노출되면 큰일이에요. ”
⑶ “내가 자는 거 같아도 다 보고 있으니까 나를 못 잡아가는 거죠. ”
⑷ “항상 감시 당하는 입장이니까…”
⑸ “언제 계시가 내려올지 몰라요. (TV를 가리키며) 저기로도 오기 때문에 항상 잘 보고 있어야 해요. ”

< 객관적 자료 >
⑴ 진단명 : 편집형 조현병(Paranoid Schizophrenia)
⑵ 위축되어 있고 늘 노트에 무언가를 끄적이는 모습 관찰됨. 노트를 아무에게도 보여주려고 하지 않음.
⑶ 의무기록 내용: 대상자의 피해망상 및 관계망상의 내용이 주로 기록되어 있음.
⑷ 대상자는 자신이 중요한 임무를 수행 중이며 정부 관할의 단체와 절대적 존재가 본인을 지속적으로 감시 중이라는 체계화된 망상 증상이 있음.
⑸ 본인의 조현병 질환에 대한 병식(insight)이 없는 상태임.
⑹ 대상자에게 객관적으로 현실을 제시하면 들은 말에는 반응 없이 본인의 망상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만 계속 말하는 모습을 보임.

2. 간호진단
#. 망상적 사고와 관련된 사고과정장애(Disturbed Thought process)
⇒ NANDA정의: The state in which an individual experiences a disruption in such mental activities as conscious thought, reality orientation, problem-solving, judgment, and comprehension related to coping, personality, and/or mental disorder.
: 의식적 사고, 현실 인식, 문제 해결, 판단력, 올바른 대처에 대한 이해, 성격과 같은 정신적 활동에 장애를 경험하는 것 그리고/또는 정신적 장애가 있는 상태.

3. 간호목표

< 단기목표 >
① 3일 안에 대상자는 망상과 관련된 본인의 감정을 말로 표현한다.
② 1주일 동안 대상자는 현실에 기반을 둔 활동에 1회 이상 참여한다.
③ 1주일 안에 대상자의 망상적 사고 빈도가 감소한다.

참고 자료

정신건강간호학(2015)/ 퍼시픽북스/ 이경희 외
정신건강간호학 상.하(2017)/ 수문사/ 한금선 외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3(2014)/ 메디캠퍼스/ 이노우에 도모코 외/ 이민자 옮김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수정판(2019)/ 현문사/ Meg Gulanick 저/ 박은영 역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이동숙 외
간호과정의 실제(2019)/ 현문사/ 최순희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2016)/ JMK
Nursing Care Plans. 9th Edition/ Marilynn E. Doenges, Mary Frances Moorhouse, Alice C. Murr/ F.A DAVIS COMPANY
Sparks and Taylor's Nursing Diagnosis pocket guide 3rd edition(2017)/ Linda Phelps
Nursing Diagnosis Handbook: An Evidence-Based Guide to Planning Care(2013)/ ELSEVIER
학술자료: 『Subjective experience and meaning of delusions in psychosis: a systematic review and qualitative evidence synthesis』(2022)/ Lancet Psychiatry: VOLUME 9, ISSUE 6, P458-476/ Institute for Mental Health, School of Psychology, University of Birmingham, UK/ Rosa Ritunnano MD
대한조현병학회: //schizophrenia.or.kr
약학정보원: //www.health.kr

태그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상세정보
  • 자료후기 (23)
  • 자료문의 (0)
  • 판매자정보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중복자료저작권 없음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 정신간호학실습2 casestudy- 조현병(Schizophrenia) 간호진단10개, 간호과정3개(폭력 위험성, 사고과정 장애, 언어 의사소통 장애) 16페이지정신 사례 대상자 간호과정 보고서 조현병(Schizophrenia) 교 ... 과 목 명 : 정신간호학실습 2 사례 질환명 : 조현병 ... 들이 관련된 매우 복잡한 장애이다. ① 생물 요인 ? 유전 요인
  • [case study] 정신간호학, 실습, A+, SPR, schizophrenia, 조현병, 망상관련된 사고과정 장애 2페이지 간호진단2 망상관련된 사고과정 장애 사정 주관 자료 ? 사례는 ... 객관 자료 ? 진단명 : Schizophrenia(SPR) ? 간호 ... 대상자는 2주 이내 망상적 사고와 현실을 구별한다. 대상자는 2주 이내
  • 조현병 Case study 10페이지 망상적 사고와 관련된 사고과정장애 수집된 자료 주관 자료 “누군가 ... 정신건강간호학 REPORT 1. 문헌고찰 질환명 조현병 ... (Schizophrenia) 정의 조현병이란 용어는 2011년에 정신분열병이란 병명이
  • [정신간호학실습 A+] 조현병 CASE STUDY 간호진단/간호과정 3개 (간호사정부분도 자세함) (간호과장님께 직접 칭찬받은 케이스입니다) 23페이지 정신건강간호학조현병(Schizophrenia)' 사례연구보고 ... . - 망상적 사고와 관련된 사고과정 장애 2. - 지지체계 부족과 관련된 만성 ... 장애 1. 조현병(Schizophrenia)의 정의 사고(思考), 감정
  • 정신간호 케이스_ 조현병(신체 망상관련된 사고과정장애, 간호진단1,간호과정1) 13페이지 : 신체망상관련된 사고과정장애 실습병동 : 기 : 번 : 이 름 ... CASE STUDY Schizophrenia (조현병) 간호진단 ... (Schizophrenia) Ⅲ. 간호과정 - 간호사정 - 간호과정 Ⅴ. 결론
  • 정신간호학 case study 11페이지(schizophrenia) 또는 정신분열병이란 사고, 감정, 지각, 행동 등 인격의 ... 있는 질환이다. 대상자는 조현병(schizophrenia)를 진단받았고 ... 진단의 대표인 증상들을 보이기 때문에 조현병을 가진 환자들의 행동과 사고
  • A+ 정신간호학실습CASESTUDY 조현병, 조현정동장애 - 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2개 망상관련된 사고과정 장애, 우울과 관련된 자살의 위험 40페이지관련된 사고과정 장애 간호목표 장기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 정신간호학실습(1) CASE STUDY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 ... 과 관련된 사고과정 장애

더보기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