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니슬랍스키 연출론 - seutaniseullabseuki yeonchullon

  • 1
  • 2

    스타니슬랍스키 연극론이 한국 근대극 형성에 미친 영향 연구

    남승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 원문보기

    본 논문의 목적은 스타니슬랍스키의 연극론이 우리나라 근대극 형성과정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비교문학적으로 이야기한다면 스타니슬랍스키 이론의 운명(fortune)을 추적해 보는 과정이 될 것이다. 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키는 19세기 이래 이어져 내려온 도식적이고 틀에 박힌 연기를 버리고 자연스럽고 창조적인 연기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처음으로 체계화시킨 사람이다. 시스템이라 불리는 그의 방법론은 전세계적으로 사실주의극을 정착시키는데 크게 기여했다. 1930년대 초 우리 신극계에 처음 소개된 스타니슬랍스키의 연극론은 신파式의 연기와 연출을 벗어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 당시 이론의 소개와 보급에 힘쓴 사람은 홍해성으로 그는 「무대예술과 배우」라는 연기론에 관한 논문을 써서 배우들의 무지를 깨우치기 위해 애썼다. 뿐만 아니라 그는 일본의 신극 무대에서 익힌 이론과 체험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창조적인 배우를 양성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였다. 후에 홍해성은 동양극장으로 이적하고 흥행극을 연출하면서 신파까지도 상당부분 체질개선을 시켰다. 홍해성의 노력에 힘입어 많은 후배들은 스타니슬랍스키와 리얼리즘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유치진, 서항석, 박진 등은 스타니슬랍스키의 연극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지는 않지만 홍해성의 뒤를 이어 사실주의극을 만들기 위해 힘을 기울였다. 이들보다 좀더 후대인 이해랑, 김동원, 이진순, 오영진, 이원경 등의 세대에 이르면 한국의 사실주의극은 어느 정도 정착이 되었다. 이들 세대에는 유치진의 세대에 비하여 스타니슬랍스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해랑, 김동원, 이진순은 스타니슬랍스키에 특별한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이해랑은 연기와 연출면에서 활발한 활동을 보이면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들의 관심은 피상적인 것에 머물거나 이론의 습득에 그치고 있을 뿐, 시스템을 익히고 연극 속에 형상화 하려는 노력은 부족했다. 이후의 세대들도 마찬가지로 많은 연극인들이 리얼리즘을 표방하고 스타니슬랍스키를 거론하고 있지만 모두 이론의 소개 정도에 그치고 있을 뿐, 진정한 의미에서 이론을 수용하고 있다고 보기는 힘들다. 오히려 신극의 수립기에 활동했던 홍해성이 후대의 인물들보다 스타니슬랍스키를 더 깊이 이해하고 있었던 것 같아 아쉬움을 남긴다. This thesis is presented to look into the influence of Stanislavsky's play theory in Korean modern play. It seen in comparative literature, Stanislavsky's fate will be chased. Constantine Stanislavsky abandoned the framed performance which had been handed since 19th century. Moreover, for the first time, he constructed the natural and creative way of performance called 'system'. In the beginning of 1930's Stanislavsky's play theory which was presented in Korean new play stage had an important role to make Koreas escaped from Shinpa play and production. At the time, Hong, Hae-sung who introduced Stanislavsky's play theory in Korea was trying to enlighten player by his thesis [The art of stage and player]. Additionally, he tried to generate creative players by the theory and practical techniques he had learned in Japan. Afterwards, he moved himself into Dong-Yang theater association, produced commercial plays and changed the body of shinpa into realism in Korea. Many junior who learn by his efforts got to know Stanislavsky and realism. Yoo, Chee-jin, Suh, Hang-suk, Park, Jin and etc, didn't wholly adapt Stanislavsky's system, however, tried to make realistic play in line with Hong, Hae-sung afterward. In the generation of later juniors Lee, Hae-rang, Kim, Dong-won, Lee, Jin-soon, Oh, Young-jin and etc, Korean realistic plays somewhat were rooted. This generation more concerned about Stanislavsky than Yoo, Chin's generation. Among them, Lee, Hae-rang showed remarkable activities in play and produce. However, disappointedly these people's concern just remained superficially and just limited in learning his theory. the efforts needed at the time to systemize and practices in a play were. In Lee, Hae-rang's thesis, we can find many traits of Stanislavsky's theory for example, 'magic if' and etc. The next generation many players stood for realism also and referred Stanislavsky : however just introduction was presented. Which mean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his precise theory was adapted. On the contrary, disappointedly, Hong, Hae-sung(the founder of new Korea play) did more deeply understand Stanislavsky's theory than his Juniors.

  • 3

    ‘메소드’연기 교육에 있어 체호프 텍스트의 유용성 고찰 : <이바노프>를 중심으로

    임주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 원문보기
    • 목차검색조회
    • 음성듣기

    본 연구는‘메소드’연기 교육에 있어서 안똔 체호프(Anton Pavlovich Chekhov, 1860~1904) 텍스트(text)의 유용성을 <이바노프(Ivanov)>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스타니슬랍스키(Konstantin Sergeevich Stanislavskii,1863~1938)는 체호프 희곡은 일상적 디테일(detail)이 숨어있는 드라마를 밝혀내고 이런 것을 이해하는 것이 체호프 극작술(dramaturgy)을 이해하는 방법이라고 말한다. 체호프 희곡의 인물들은 평범한 인간들의 삶처럼 복잡하고, 겉으로 모두 다 드러나지 않는다. 따라서 배우는 희곡에 제시되어 있는 인물의 행동과 대사를 이해하기 위해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부분을 분석하고, 상상력과 추론을 통해 발견해 내야한다. 게다가 체호프의 작품들은 스타니슬랍스키의 시스템 정립 중 일부분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며 스타니슬랍스키의 시스템과 밀접한 연계를 갖는 체호프의 작품에는 배우가 자신의 작품분석을 통해 상상력을 발휘하여 인물을 창조하는데 도움을 준다. 체호프 희곡의 대사는 표면적으로 나타나는 언어의 단순한 전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배우의 해석으로 다각적인 표현이 가능해져 배우는‘내재된 의미(sub-text)’를 발견하고, ‘분위기’를 창조해 냄으로써 희곡을 분석하고 인물을 창조할 수 있다. 배우가 희곡을 분석하고 인물을 창조하는 과정은 에쮸드(этюд, etude)훈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에쮸드는 극의 흐름을 이해하고 전체 안에서 나의 역할을 찾는 훌륭한 매뉴얼이며 무대에서 진실을 찾는‘메소드(method)연기 교육 과정의 기초 훈련이다. 이 이론은 체호프 작품에 특성화 되어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메소드 연기 시스템을 정립시킨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을 이해하려면 체호프 작품을 읽고 이해해야하고 그 바탕으로 훈련해야 된다. 극문학을 예술적으로 해석해서 공연으로 승화시키려면 좋은 텍스트(text, play)가 필요하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현대 좋은 극작품(劇作品)들은 치열한 상업적 논리로 티켓판매 순위 경쟁에서 뒷전으로 밀려나고 있다. 대학로나 영화상영관에서 더 이상 고전·예술작품을 보기 쉽지 않다. 21세기 인문학은 자리를 잃고 예술은 버림받고 있으며 사상은 사라지고 있는 현실 앞에서 희곡과 시나리오를 쓰는 작가들은 더욱 외로워지고 있다. 고독한 시대에 극문학이 가야 할 길은 무대 위의 공연으로의‘재탄생’이다. 필자는 극문학을 살리고 연기교육을 바르게 정립할 수 있는 방안으로 체호프 텍스트의 유용성을 고찰하고‘메소드’연기 교육법을 정리하고자 한다. 스타니슬랍스키의 연기 시스템을 이해하고 훈련하기 위해서는 체호프는 물론 세계 여러 다양한 작가의 훌륭한 희곡들을 읽어야 한다. 또한 스타니슬랍스키가 연극제작과정에서 모두 중요하게 생각했던 문학적 해석과 무대 위의 배우·연출 과정을 이해하며 그중에도 특히 많이 다뤘던 체호프 작품들을 알아야 한다. 스타니슬랍스키는 체호프의 영향을 받아 메소드 연기 시스템은 변화하고 발전시킬 수 있었고, 그의 연출의 혁명적인 변화를 통해 사실주의 연기 교육이 시스템화 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우선 메소드 연기란 무엇인지 밝히고,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의 탄생과 배경 그리고 체호프가 메소드 연기에 미친 영향을 논하고자한다. 다음으로 스타니슬랍스키와 체호프의 관계성을 통해 그가 생각하는 체호프 텍스트의 미학과 효용성, 체호프 텍스트의 시학과 메소드 연기의 교육적 유용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론 중반부터는 메소드 연기를 교육함에 있어 체호프 텍스트가 가진 탁월성을 좀 더 분석적인 결과물로 도출하기 위하여 본인이 직접 배우와 조연출, 드라마투루그(dramaturgy)로 참여한 체호프의 원작 <잉여인간 이바노프>공연연습, 교육과정사례를 들어 배우들의 에쮸드 훈련 방법과 앙상블(ensemble)을 논할 것이다. <이바노프>는 체호프의 두 번째 장막극이지만 현대 극작가 체호프의 탄생을 예시한 희곡이기도 하다. 체호프의 <이바노프>는 많은 부분 당시의 낭만주의적이며 고전전인 희곡의 특징과 형식을 따르면서 체호프 4대 희곡에서 보여 지는 새로운 현대 연극의 극작술이 가미되어져 있다. 체호프 희곡은 <이바노프>(1887), <숲 귀신>(1889) 두 편을 거쳐<갈매기>(1895)에 이르러 정점을 찍는다. 그의 희곡 세계를 보다 폭 넓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다른 작품 또한 깊이 있는 연구와 분석이 필요하다. 다른 대표적인 작품으로 1887년 작품 <이바노프>가 걸작으로 손꼽힌다. 4대 장막극에 가려져 <이바노프>는 그 진가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였다. 비극과 희극이 뒤섞여 공존하며 한숨과 안타까움, 공허함과 우수, 단절과 변화, 절망과 희망 삶과 죽음 등이 한데 어우러져 있는 체호프의 작품들은 우리 인생의 실체가 그러하다는 메시지를 던진다. 본 연구는 학교 또는 극단에서 제작과정의 연기교육과 배우훈련을 진행할 때 집단의 형태와 크기와 관계없이 연기교육에 있어 체호프 텍스트의 효용가치를 주지하고 동시에 ‘메소드’ 연기 시스템이 탄생되는 배경에는 체호프가 있다.

  • 4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을 활용한 역할 창조 연구 : 창작극 ‘도조’를 중심으로

    이환의 단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 원문보기
    • 목차검색조회
    • 음성듣기

    배우는 상연하려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설득력 있는 행위를 창조하고, 관객들과 캐릭터의 정서와 사고를 풍부하게 교감하며 무대 위에서 살아간다. 이러한 경우 대체로 진실성을 확보하여 생명력 있는 역할을 창조해내었다고 볼 수 있다. 극 중 전개되는 상황 속에서 내적 진실을 견고하게 구축하여 자신이 연기하는 역할을 타당하고 진실성 있게 호소한다면 관객과의 공감대도 커져 더욱 풍부한 교감을 이루어 낼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다루는 창작극 ‘도조’와 같이 실존인물이 등장하는 희곡에서 역할을 창조해 낼 때에는, 객관적인 리서치와 설득력 있는 분석을 더해야 좀 더 사실적이고 논리적인 인물로 관객에게 표현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논리적이며 사실적인 역할 창조를 돕는 방법으로 ‘스타니슬랍스키의 시스템’을 적용해보려 한다. 스타니슬랍스키는 평생 동안 배우의 사실적인 연기를 돕는 방법들에 대해 고찰하였는데, 그중에서도 무대 위 배우의 행위가 어떻게 하면 진실성 있고 사실적으로 표현될지에 대해 많은 연구와 실험을 하였다. 그는 인간이 어떠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심리적인 측면과 신체적인 측면이 반응하고, 이 둘 사이에는 유기적인 관계가 형성되어있음을 인지하여 그의 시스템에 적용시켰다. “편지를 찢는다.”는 상황을 가정해 보자. 여기서 심리적인 부분이 결과적으로 신체적인 행동으로 표현되는 이유는, 찢어야 할 심리적인 이유가 일어나야지만 신체적인 행동인 편지를 찢는 행위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그의 초기 연기 방법론이었고, 후기엔 이러한 연기를 반대로 표현할 수도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것은 어떠한 내적 진실을 먼저 파악하여 표현하는 것이 아니고 편지를 찢는 행위를 찾고 그다음 “편지를 왜 찢었는가?”에 대한 정서를 되짚어 찾아내는 방법이다. 즉 행동을 통해 체험한 느낌에서 정서를 찾아내는 것이다. 이러한 신체적 행동에 대한 원리를 스타니슬랍스키는 ‘신체적 행동법(The Method of Physical Action)’이라 정의하였다. 이것은 앞서 말한 대로, 배우가 진실 된 내적 정서로부터 어떠한 행위나 표현을 표출하는 초기 방법이 아닌 행위나 외적인 표현으로부터 내적 정서를 찾는 방법이다. 하지만 ‘신체적 행동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만약에(Magic if)’, ‘주어진 상황(Given Circumstance)’, ‘교감(Communion)’, ‘상상력(Imagination)’, ‘초목표(Super-Objective)’등으로 이루어진 ‘배우의식’ 대한 고찰이 반드시 필요하다. 앞의 요소들을 활용하여 희곡 속 각 장면을 분석해야 하며, 정확하게 자신에게 투영하여 ‘주어진 상황’과 사건들을 통해 역할의 ‘잠재의식’을 체험하여 돕는 방법들을 이해해야한다. ‘신체적 행동’의 진실적인 원리, 즉 배우의 진실 된 정서에서부터 시작해 내적 창조가 이루어지는 원리를 알아야 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배우가 타당성 있고, 논리적이며 과장되지 않은 진실 된 연기를 할 수 있게 돕는다. 앞서 말한 대로, 시스템의 요소들을 곧바로 역할에 적용 시키기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스타니슬랍스키 또한 후기에 이를 위해 앞에서 제시된 각 요소를 종합적으로 훈련하고 배우의 성격 구축과 역할 창조에 직접적인 수행과 도움을 주고 활용할 수 있는 ‘에튜드(Etude)’를 활성화하였다. ‘에튜드’는 배우가 작품 속 제시된 상황에 인물의 목표를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사건을 해결하기도 하면서 성격을 구축하는 훈련을 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체험으로 인해, 배우는 역할 창조에 정당성을 부여하게 되며, 작품이 말하고자 하는 목표를 논리적이며 타당성 있게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에튜드’ 역시 스타니슬랍스키의 시스템의 요소들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야 연기에 적용시킬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시스템의 요소들에 대한 선행연구가 먼저 이루어질 것이다. 이를 활용하여, 본 연구자도 창작극 ‘도조’에 등장하는 실존인물 ‘이삼평’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주관적인 눈으로 바라보는 역할에서 벗어나 객관적인 타당성으로 최대한 관객과의 교감을 이끌어 내는 방법에 대해 고찰할 것이다. 또한, 이번 연구로 인하여 역할을 창조하는 과정을 전반적으로 정리해 봄으로써 어떠한 결과를 도출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이로 인해 매 공연마다 새롭고 독창적인 역할을 창조해 내야 하는 배우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

  • 5

    영화연기에서 즉흥연기 활용의 유용성 연구 : 스타니슬랍스키의 에쮸드(Etude) 활용을 중심으로

    양은혜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 원문보기
    • 목차검색조회

    본 연구는 배우가 영화연기에서 즉흥연기를 활용할 때 얻는 유용성에 관한 것이다. 배우의 연기에 대해 이 연구에서는 ‘단순히 대본을 재현하는 것’이 아닌 ‘예술로써 창조하는 것’임을 전제조건으로 한다. 영화 현장은 기술의 발달과 함께 현재도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다. 배우가 영화연기를 하기 위해서는 동시대 영화의 매체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필수 조건이며 이에 맞는 연기법을 찾는 것도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영화연기의 메소드로 고전 연기 이론인 스타니슬랍스키의 에쮸드를 적용해 연기할 것을 제안한다. 현재의 상업 영화, TV 드라마 현장은 배우의 연기에 ‘즉흥성’을 요구한다. 경제적 논리에 의해 흘러가는 현장은 시간에 쫓기는 일이 많으며 언제나 변수가 많다. 사전에 정해졌던 일들이 촬영 당일 현장에서 바뀌는 일도 그만큼 흔하다. 그렇기에 영화배우는 사실상 언제나 즉흥연기를 할 준비가 되어있어야 하는 것이다. 배우가 사전에 여러 가지 에쮸드를 수행하며 촬영을 위한 연기를 준비한다면 현장에서 즉흥연기를 할 때도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에쮸드는 ‘잘 짜인 즉흥극’으로써 시나리오의 주어진 상황을 가지고 연기하되 연기의 순간에는 자유롭게 즉흥성을 가지고 연기할 수 있는 연기법이기 때문이다. 에쮸드는 일반적인 즉흥연기와는 달리 배우에게 철저한 사전 준비를 요구한다. 동시에 일단 극이 시작되면 즉발적인 반응으로 연기해야 한다. 배우의 지성과 감성을 모두 사용해서 연기하는 방법인 것이다. 배우가 영화연기에서 에쮸드를 활용했을 때 가지는 이점은 크게 여섯 가지로 정리해볼 수 있다. 먼저 불연속적 촬영에서 논리적 일관성을 가지고 연기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둘째로 ‘주의 집중’을 통해 카메라에 대한 긴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셋째로 현장의 특성상 리허설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촬영에 빠른 몰입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다. 넷째로 전체 맥락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인 애드리브의 발생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다섯째로 감독의 디렉션에 빠르고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비언어 에쮸드 훈련을 통해 지문만 있는 대본을 연기할 때도 어려움 없이 연기하며 미장센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이 있다. 배우는 다양한 스타일의 영화연기를 위해 끊임없이 공부하고 훈련하며 적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현장에서 영화연기를 하는 배우에게 유용한 제안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is about the usefulness of improvisation when an actor acts in films. The study presupposes that the actor does not simply reproduce the script but creates art out of it. The film production environment has been transforming as the production technology continuously evolved. To properly perform in this ever-changing environment, an actor need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ilm production and find the most suitable acting methods. For this, the study recommends applying the classic theory of Stanislavski’s Etude as the primary film acting technique. Nowadays, improvisatory acting skill is highly demanded, especially when shooting commercial films or television series. At production sites, there is a daily pressure on completing scheduled shooting within budget and on time, and unexpected changes to the pre-set often arise on the day of filming. The actor should be prepared to show his/her improvisation skills to quickly respond to such variables and time pressures on set. Practicing various techniques from Etude before shooting can be effective because Etude takes a “well-organized improvisation” approach. It lets the actor perform freely under the given scenario. Unlike general improvisation, Etude requires a thorough preparation from the actor because he/she is expected to act and respond immediately by using both intelligence and sensibility as soon as the play begins. There are six advantages to applying Etude in film acting: 1. Etude enables an actor to act with logical consistency in the nonchronological filming process. 2. Etude helps him/her to focus and reduces the anxiety and tension of being surrounded by cameras. 3. Etude allows him/her to immerse fully and rapidly into filming even when rehearsals are not possible. 4. The actor can bring out effective ad-libs without being out of context. 5. The actor can respond quickly and effectively to the wide range of requests from the director. 6. The Silent Etude technique will help him/her perform well even when there are no lines but only continuity directions, supporting effective mise-en-scène making. Actors need to constantly study, train, and apply different acting techniques in diverse film and filming environments. This study will provide practical recommendations that would be useful for film actors.

  • 6

    배우의 이중 의식과 연기 훈련 : 스타니슬랍스키·브레히트·그로토프스키를 중심으로

    서나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 원문보기
    • 목차검색조회
    • 음성듣기

    This thesis examines a problem in Korean acting education that emerged in the 1990s. Korean acting schools and colleges of theatric performance prioritize acting skills, urging students to master the technique of representation. Mastering a method, not creatively interpreting the entire theatric performance, has thus defined the core of Korean acting curricula, and actors’ own interpretations and subjective movements are not welcomed during their training. Through their training, therefore, Korean actors are dissociated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atre theories, instead passively following the instructions of a director or acting teach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ctors’ interpretative agency, this thesis analyzes the concept of “actor’s duality,” which is manifested in the theories of Konstantin Stanislavsky, Bertolt Brecht, and Jerzy Grotowski. The idea of duality implies that tensions arise between actors’ own awareness as performers and the roles they play. An actor’s double consciousness clarifies a limited yet simultaneously opened sphere for artistic (re)interpretation. This thesis argues that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dual nature of an actor’s perception contributes to training intelligent, competent, and self-reflective actors. A fuller consideration of the actor’s double consciousness is indispensable to nurturing an autonomous and creative artist. In articulating an actor’s double consciousness, Stanislavski introduces the concept of “involvement.” He argues that a minimal distance between actors and their roles is ideal. An actor should live the life of the role. Stanislavski insists that actors perform their roles by developing appropriate psychological orientations in which mind and body are not dissociated. Embodying the life of a character on stage, however, does not imply complete elimination of the actor’s own consciousness. The opposite of Stanislavski’s involvement is the “detachment” argued by Brecht. He insi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ctors and their roles be deliberately distinct and separate. Given this distance, actors should observe their roles critically. Brecht’s main interest, however, lies in playwriting, not in actor training, which is why his epic performance has its limitations. His concept of detachment has remained a theory and not been actively practiced in acting training. Finally, Grotowski suggests that a role ultimately disappears due to the presence of the actor. Recognizing the separate realms of actors and roles, Grotowski argues that the actor's self eventually fulfills the role with particular occurrence, and thus the role ultimately disappears. Although Grotowski assumes the elimination of the role, the concept of the actor’s dual consciousness remains valid. His theory opens the possibility of hon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an actor’s impulse may be more fully trained, rather than merely teaching bodily movements. Although implicit, Stanislavsky, Brecht, and Grotowski all recognize the dual nature of an actor’s consciousness and then elaborate its ideal ramifications. In addition, elaborating the actor’s dual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se major theorists suggests a pedagogic principle. An actor’s own perspective should be encouraged while receiving training. Actors should be trained to critically observe, control, and reflect on their own performances. Analyzing traditional acting theories with the idea of dual consciousness achieves this goal, helping actors clearly recognize their existential positions on stage. 이 논문은 1990년대 이후 한국 대학 교육에서 시행된 연기 훈련의 문제점으로부터 출발한다. 짧은 기간동안 급속하게 팽창한 연기 교육을 위해, 개별 연기론은 방법의 문제에 국한되어 해석되었고, 재현 중심의 연기론이 집중적으로 연기 훈련에 적용되어온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배우들은 개별 연기론을 각각의 연극론과 연결하여 훈련에 적용하지 못했고 재현 중심의 훈련만을 집중적으로 받아왔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배우는 점점 훈련 방법의 문제에만 집중하게 되면서 연기론과 연결된 연극론 전반에 관한 이해로부터 소외되어 왔다. 이러한 이유로, 배우가 중심이 되어야 할 연기 훈련의 과정은 연출가나 연기 선생의 주도로 진행되었고, 그러한 과정에서 배우의 주체적인 의식적 행위는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되어졌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기존의 연기론을 배우 훈련의 영역과 연결시켜 다시 읽어낸다. 구체적으로, 배우-역할 사이의 서로 다른 시각을 대표할 수 있는 스타니슬랍스키, 브레히트, 그로토프스키의 연기론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배우의 이중성(actor's duality)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는데, 특히 배우의 이중 의식(double consciousness)에 주목하여 배우-역할의 관계에 따른 대표적 연기론을 배우의 주체적인 의식적 행위로 재해석한다. 이 때 배우의 이중 의식에 주목한다는 것은 배우의 관점에서 배우로서의 의식과 역할로서의 의식 모두를 연기 행위의 핵심 요소로 파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배우의 의식적 행위를 중심으로 하는 연기론 해석을 통해 연기 훈련에 있어 배우를 더욱 능동적인 행위자로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배우 중심의 연기론 해석은 개별 연기론을 훈련 위주의 해석에서 벗어나 각각의 연극론과 긴밀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며 또한 훈련의 영역에서 재현 위주의 틀을 벗어난 다양한 연기론을 더욱 실행 가능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이중 의식은 무대 위 배우의 상태를 통일된 하나의 의식으로 명확하게 설명할 수 없음을 내포하며 배우와 역할의 관계에 있어 두 개의 의식 모두가 배우 안에 공존한다는 뜻을 의미한다. 따라서 위에 명시한 바, 배우-역할의 관계에 천착한 세 연출가의 연기론을 연기의 이중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재조명하려는 본 논문은 배우-역할의 관계에 따른 대표적 연기론들을 배우의 이중성이라는 개념으로 수렴시킨다. 첫 번 째로는, 스타니슬랍스키로 대표되는 관점으로 배우-역할 사이를 ‘관여(involvement)’로 바라보는 시각이다. 이러한 시각에서는 배우와 역할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되고 배우와 역할은 동일화 된다. 이와 반대되는 시각은 브레히트로 대표되는 배우와 역할 사이의 ‘거리두기(detachment)’의 시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배우와 역할의 관계는 의도적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어 분리되고 배우는 역할을 비판적 시각으로 관찰할 의무를 가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역할이 배우에게 포섭되어 사라진다고 보는 관점인데, 그로토프스키가 대표적이다. 그로토프스키를 중심으로 배우의 현존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연기론에서 배우는 스스로 역할이 되는 것을 포기(self-renunciation)하여 배우의 자아는 팽창하고 반면 역할은 소멸된다. 이 세 가지 관점은 공히 배우의 이중성 자체를 제거되어야 하는 것으로 보거나 배우의 의식을 고정된 상태로 파악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의 연구에서 배우의 이중 의식을 중요하게 다루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세 가지 관점에 내포되어 있는 배우의 이중 의식을 집중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배우와 역할의 관계에 있어 배우의 이중 의식이 연기 행위의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주장한다. 배우 훈련의 영역에서 연기의 모든 언어는 실행 가능한 배우 중심의 언어로 다시 해석되어야 한다. 연기 훈련과 연기 행위의 과정에서 배우가 수행 가능한 자신의 언어를 되찾을 때, 비로소 연기는 훈련 가능한 행위가 될 것이다. 그리고 이 때, 배우의 이중 의식은 비판과 성찰의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수행하고 있는 행위 자체가 아니라 그것을 바라보는 시선에서 출발하는 연기의 이중성 개념은 ‘역할이 되기(스타니슬랍스키)’,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브레히트)’, ‘자아의 현존(그로토프스키)’ 이라는 각기 다른 차원의 연기론을 하나의 관점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이해는 더 나아가 배우로 하여금 연기 현상의 보편적 특징을 재고하고 배우 자신이 중심이 되는 연기 훈련을 구성할 수 있게 한다.

  • 7

    무용 즉흥 수업이 연기 전공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김성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 원문보기
    • 목차검색조회
    • 음성듣기

    This study modifies and complements the theory of port in Konstantin Stanislavsky's system,' physical training method 'and Rudolf von Laban' s movement element ' 12 lessons were given to 5 students, and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sed to derive research methods and conclusions. According to Stanislavsky and Laban's theory, the actions of dancers and performers have external expressions through the body of human internal emotions. In addition, actors and dancers show creativity by internal impulses, and focus on inner emotions, which leads to immersion when acting or danc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dance improvisation class has influence on expressiveness, acting flow, and creativity development for acting major.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the researchers have found positive results to find a way to express themselves by themselves. Second, in the act involvement, the research participants have found positive results in which the change of movemen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mind and body condition. Third, in the case of creativity, the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intrinsic and potential creativity, which led to the positive result of making the movements themselves. 본 연구는 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키(Konstantin Stanislavskyii)의 시스템,‘신체적 훈련법’과 루돌프 본 라반(Rudolf von Laban)의 움직임 요소‘에포트’이론을 수정 및 보완하는 과정을 걸쳐 연구 수업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연기 전공자 5명을 대상으로 12회 수업을 진행 했고, 지오르지(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이용해 연구 방법 및 결론을 도출해 내었다. 스타니슬랍스키와 라반의 이론에 의하면 무용수와 연기자의 행위는 인간의 내적인 감정이 신체를 통해 외적인 표현성을 가진다. 또한 연기자와 무용수는 내적인 충동에 의해 창의성을 보여주며, 내적인 정서에 집중하여 연기 또는 무용을 했을 때 몰입을 가져온다는 공통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 즉흥 수업이 연기 전공자에게 표현성, 연기몰입, 창의성 발전에 영향을 주었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연구 결과로 첫 째, 표현성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스스로 자신을 표현하는 움직임 방법을 찾아내는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했다. 둘 째, 연기 몰입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정신과 심신 상태에 따라 움직임의 변화가 다름을 느끼는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했다. 셋 째, 창의성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이 내재적이고 잠재적인 창의성을 발휘해 움직임을 스스로 만들어내는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했다.

  • 8

    스타니슬랍스키시스템의 에쮸드 활용사례 연구

    김영수 동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 원문보기
    • 목차검색조회
    • 음성듣기

    Spectacle is the most special feature of a play. Unlike the other genres of art, a play is the most direct genre of art since it occurs right in front of our eyes. Since an actor is the one who stands at the forefront of this communication, that is why we call a play as an "actor art". Although the effort of the playwriter, director, and many other people will be necessary to make up a play, the actor is most essential because most part of a play can be performed and delivered by the actor. Therefore, acting part has been changed and developed well together with drama, after the birth of a play. It is true that unlike its importance, the study about acting or acting theory has not been flourished in Korea yet. Since the subject of Korean play study has mainly focused on drama study or stage history,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its own play system, especially in acting part. Even though the needs of this firm system has requested several times on the training or performing field, drawing a conclusion only through research and inspection is quiet tough, for the lack of specific data to build a basic theory. System in this study means a consistent, scientific organization which enables an inspection step by step, based on a philosophical background. That is why Stanislavski system is the only acting system on the aspect of acting. We still cannot apply the system through a systematic comprehension, while we apply Etjud to the basic practice which can be a practical methodology of our play system, regarding it as an old one. Of course Stanislavski system cannot be called as the only acting system itself. Not only it has been almost 100 years, but also the regional difference between Russia and Korea cannot be ignored. Thus it is true that applying the Etjud which Stanislavski used needs a lot of effort in Korea. However, since the errors commonly occur when we accept external theory into internal field, it is us to fix the errors and improve them to be suited in our situation. In the case of Korea, where does not have any particular acting theory but uses recent foreign theories, the Stanislavski system is the only theory which satisfies a logical, scientific system. Also this system is already globally authorized its consistency and practicality, for it points out a specific schedule such as what time an actor should arrive before a play. Although this system is not domestic and seems to have made several mistakes in the process of incoming, it can be a great support if we accumulate data by applying this system in actual practice and to keep this creative applying method, it will be our system and theory which fit not for other countries but ours. I examined the Etjud which is applied in order to understand its principle of Stanislavski system, in "a work of an actor toward himself" section. I also examined a process in phases and examples of the Etjud to outspread and apply it in "work of an actor about his role" section, aiming at drama analysis and role creation. In spite of this rough study, I expect that this work could help establish an authorized, Stanislavski system based acting theory in order to use the name "Etjud" freely in the actor training process. I also wish applying the Etjud become more general and develop as another applying method.

  • 9

    뮤지컬 인물 형상화 방법 연구 : 뮤지컬 창극 <꽃신>의 서경훈을 중심으로

    최민수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 원문보기
    • 목차검색조회
    • 음성듣기

    This thesis is significant in the proven data and practical research through theoretical methods of the actor's process of shaping characters for acting on the musical stage. Musicals are one of the theatrical art genres on the same stage as plays, but unlike plays, they focus on solving the situation with music and choreography. If you are an actor, you should show the audience your skillful, natural, and comfortable acting in any media such as stage and camera.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rich figure based on the text that is the basis for all acting. Actors must study in-depth character shaping research that can accurately understand and absorb characters in scenarios or scripts along with their existing acting methods. The work of embodying the scenario and the text in the script as a living person is the work of recreating it as a living person. As the first and most necessary step in acting, this work is the most basic work that takes place anywhere, such as movies, dramas, plays, and musicals with different media. This researcher performed as a character named Seo Kyung-hoon in the creative musical "Flower God" of this paper. Stella Adler's Imagination, Physical Behavior, and Stanislavski's Etude were applied to the characterization process from two months of practice period to the performance at the Cheongju Arts Center Grand Performance Hall to write a practice journal. Numerous systems in modern society have becom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s have begun to dominate, but in the realm of art, acting is the only area that humans can express. In an era of mechanization where actors do not know when it will come to the area of acting that can impress and communicate with humans, actors must endlessly explore. This researcher objectively analyzes the appearance with the video and photographic data recorded the actual performance and explores the process of person shaping in practical device-based studie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본 논문은, 뮤지컬 배우의 무대 연기를 위한 인물 형상화 과정을 검증된 자료들과 이론적 방법을 탐색한 실기기반연구이다. 뮤지컬은 연극과 같이 무대를 기반으로 하는 극 예술 장르의 하나이다. 배우라면 무대, 카메라 등 어떤 매체에서도 능수능란하고 자연스럽고 편안한 연기를 관객들에게 보여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모든 연기에서 기초가 되는 텍스트를 기반으로 풍부한 인물 형상화를 만들어 나아가야 한다. 배우는 자신이 가진 기존의 연기법과 함께 시나리오나 대본 안의 캐릭터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흡수할 수 있는 인물 형상화 연구를 심도 있게 연구해야만 한다. 대본 안에 갇혀 있는 인물을 텍스트를 떠나 무대 위에 살아있는 인물로 형상화하는 작업은 단순히 캐릭터를 재연하는 데에 머무르지 않는다. 인물 형상화는 해당 인물을 재창조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배우의 연기는 장르 성격에 기반하면서도 해당 캐릭터의 면면을 충분히 소화한 바탕 위에서 이뤄지는 창조작업이어야 한다. 연기예술의 완성을 위해 공연 예술계의 위대한 예술가들의 많은 논의가 있어 왔다. 이 가운데에서도 스타니슬랍스키나 애들러의 논의는 단연 돋보이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본 연구의 대상 실기작품인 창작 뮤지컬 창극 <꽃신>에 ‘서경훈’이라는 인물로 참여하여 공연하였다. 본 연구는 바로 이 작품의 두 달 동안의 연습 기간부터 청주예술의전당 대공연장에서의 공연 때까지의 전체 작업을 대상으로 이뤄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실기기반연구로서 인물 형상화의 과정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주 관심사인 인물형상화과정은 스텔라 애들러의 ‘상상력’, ‘신체 행동’, 스타니슬랍스키의 ‘에쮸드’를 적용하여 진행되었다. 실기기반의 연구로서의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연습과 공연의 전과정에서 연습일지를 작성하였다. 나아가 연구 대상작의 공연실황을 녹화한 영상과 사진 자료를 기반으로 인물 형상화에 대한 객관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스텔라 애들러의 상상력, 신체 행동과 스타니슬랍스키의 에쮸드를 본 연구자의 서경훈 인물 형상화에 직접 적용하고, 그 결과로 도출되는 효율성과 한계점을 통해서 보다 효과적인 인물 형성화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해석하고 새로운 캐릭터 형상화를 위한 배우 훈련의 방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공연 현장에서 살아있는 인물 형상화를 위한 방법론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10

    박탄고프의 연기메소드를 활용한 ‘역할 창조’ 교육 프로그램 연구 : 러시아 슈킨연극대의 커리큘럼을 기초로

    장우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 원문보기
    • 목차검색조회
    • 음성듣기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further develop a practical program for role creation utilizing Vakhtangov's acting methods. For this, this paper relies on Russia's Boris shchukin Theatre Institute curriculum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university's program has developed its program based upon Vakhtangov's acting methods. Korean acting training environment lacks in curriculum and programs for basic acting. However, recently the significance of such program is recognized, and a new program has begun to appear with Stanislavsky system and an etude. The problem here is that only a part of role creating is utilized while work itself for a role is either lacking or non-existing. From this, a discrepancy is created; a complete link between a work of self to a work of a role, and further to role creation cannot be made. A good example could be found in many training environments where they lead insufficient basic acting classes, then to scene creation, or even further down the line. Moreover, intermediate acting classes deal with formality of play and styles, not acting itself. There is a need for a complete program that guides from basic acting training to final role creation and helps understanding the whole procedure. And, this would be a reason to develop a role creation training program based on Vakhtangov's acting methods. His acting methods have been developed based upon Stanislavsky system and highlighted and enabled role creation works. We can analyze and understand practical programs through Boris shchukin Theatre Institute curriculum. This study first focuses on Vakhtangov's 'fantastic realism' and ascertains how Vakhtangov's acting methods are being utilized and applied in both school environments and actual plays. After his death, Vakhtangov's methods have been further developed by his students at Boris shchukin Theatre Institute. An acting program based on his methods are analyzed by the viewpoint of scholars, students, and teachers. Here, concrete examples would be utilized from Vakhtangov study materials, Boris shchukin Theatre Institute teaching methods studies, and my personal class notes and seminar materials(September, 2008~June, 2012, V. Nikolaenko) Furthermore, this study mainly deals with program including an integrated etude, a creative observation, an epic etude, and a voluntary short play. Among these, an integrated etude is a work on oneself and becomes a basic concept of a whole program. And, a creative observation and an epic etude are of a practical program that helps an actor to combine a role and an impromptu etude. Finally, a voluntary short play helps trainers and students to run the entire program in harmony. These programs are not an absolute rule. Rather, they aim to support and help in a process of understanding a whole process of role creation. Once understood properly, these would benefit acting training environments and working environments immensely. As time changes, an acting training changes accordingly. In order to successfully educate 21th century students, teachers and students need to find a new program under one education principle. I hope this study based on Vakhtangov's acting methods would be valuable for new role creating training programs. 박탄고프의 연기메소드를 활용한 ‘역할 창조’ 교육 프로그램 연구 본 논문은 박탄고프의 연기메소드를 활용하여 역할 창조를 위한 실제적 프로그램을 연구하는 논문이다. 이를 위해 박탄고프의 연기메소드를 발전시켜 기초연기교육의 프로그램으로 활용하는 러시아 슈킨연극대의 커리큘럼을 기초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내의 연기교육 현장에는 기초연기교육을 위한 커리큘럼 및 프로그램이 부족하다. 하지만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을 인지하며 스타니슬랍스키 시스템을 기준으로 자신에 대한 작업을 위한 프로그램이 에튜드와 함께 활용되기 시작했다. 문제는 역할 창조 과정의 일부만이 활용되고 역할에 대한 작업 프로그램은 부족하거나 부재한다. 때문에 자신에 대한 작업에서 역할에 대한 작업으로 또 최종의 역할 창조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중간 과정의 부재로 기초연기교육의 불균형을 초래한다. 많은 교육 현장에서 충분하지 않은 기초연기교육을 진행한 뒤 바로 장면 만들기 혹은 제작실습의 형태로 수업이 진행되는 것이 이것의 단적인 예이다. 그리고 소위 중급연기란 이름으로 이뤄지는 교육 프로그램도 사실상 극의 양식과 연출적 스타일을 다루고 있다. 기초연기교육에서 최종 역할 창조에 이르기까지 이 전체 과정을 단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특히, 역할에 대한 작업을 위한 프로그램의 연구는 중요하다. 이것이 박탄고프의 연기메소드를 활용하여 역할 창조 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해야하는 이유이다. 박탄고프의 연기메소드는 스타니슬랍스키의 시스템을 토대로 발전했으며 특히 역할에 대한 작업을 강조하고 구체화시켰다. 우리는 슈킨연극대의 커리큘럼을 통해 실제적인 프로그램을 이해하고 연구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박탄고프의 연출적 방법론인 ‘환상적 사실주의’를 연구하고 그의 연기메소드가 연극에서 또 배우 교육에는 어떤 방법으로 적용됐는지 확인한다. 박탄고프가 세상을 떠난 후 박탄고프의 연기메소드는 그의 제자들을 중심으로 슈킨연극대에서 발전되고 구체화됐다. 박탄고프의 연기메소드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연구자, 학습자, 교육자의 관점으로 다각화시켜 연구한다. 이때, 박탄고프 연구서적과 슈킨연극대 교수법 연구자료와 그리고 필자의 수업일지와 발표회 자료(08년 09월~12년 06월, 지도교수 발렌찌나 니꼴라엔꺼)를 구체적인 예시로 사용한다. 논문에서 중점적으로 다루는 프로그램은 통합적 에튜드, 창조적 관찰, 서사적 에튜드, 자발적 단편극으로 나뉜다. 이중 통합적 에튜드는 자신에 대한 작업으로 전체 프로그램의 기본 개념이 된다. 그리고 창조적 관찰과 서사적 에튜드는 역할에 대한 작업의 실제적 프로그램으로 배우가 자신과 배역을 작가의 텍스트와 즉흥적 에튜드와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자발적 단편극은 교육자와 학습자 사이에서 전체 프로그램을 균형 있게 운영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들 프로그램은 절대적으로 지켜야하는 법칙이 아니라 역할 창조의 전체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원리를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원리를 이해한다면 연기 교육 현장과 작업 현장에서 대상과 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재구성할 수 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연기교육도 변화하고 발전한다. 21세기 새로운 시대의 학생들을 교육하기 위해 교육자와 학생들은 하나의 교육원칙 아래 새로운 교육적, 연출적 연기메소드를 함께 찾아야한다. 본고에서의 박탄고프의 연기 메소드를 활용한 역할 창조 교육 프로그램 연구가 이러한 탐색과정에서 가치 있게 활용되길 기대한다.

관련 게시물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