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에어컨 동시에 - siseutem-eeokeon dongsie

dajung

IP 124.♡.12.57

20-08-17 2020-08-17 20:01:58 / 수정일: 2020-08-17 20:02:32

·

하나만 틀어도 실외기는 5개 용량의 통합형이라 그런것 같습니다.

반대로 다섯대를 동시에 틀면 개별에어컨 5대보다 효율이 좋겠네요.

허니

IP 39.♡.24.64

20-08-17 2020-08-17 20:07:51

·

@dajung님 네 확실히 그건 그런것 같습니다

밤눈이

IP 211.♡.215.170

20-08-17 2020-08-17 20:02:07

·

시스템 에어컨의 실외기는 실내기 평수에 맞춰서 나옵니다. 5개라고 하셨으니 5개분량의 실외기가 가동되죠. 그러니 전기 많이 먹어요. 인버터 상관없습니다.

허니

IP 39.♡.24.64

20-08-17 2020-08-17 20:07:40

·

AParty!

IP 211.♡.142.57

20-08-17 2020-08-17 20:04:29

·

초기 가동시 소비 전력은 인버터나 정속형이나 다를 바 없습니다. 방 온도 내려가고 계속 지속적으로 틀고 있을 때 인버터가 유리한거지 계속 껐다 켰다 이런 식으로 운용하면 인버터여도 전력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없습니다.

허니

IP 39.♡.24.64

20-08-17 2020-08-17 20:08:49

·

AParty!

IP 211.♡.142.57

20-08-17 2020-08-17 20:13:49

·

홍콩오리

IP 221.♡.232.29

20-08-17 2020-08-17 20:05:54 / 수정일: 2020-08-17 20:07:19

·

시스템은 전기요금을 생각하시면 못 씁니다.
청소비용도 스탠드 대비 2배가 넘죠.

허니

IP 39.♡.24.64

20-08-17 2020-08-17 20:08:15 / 수정일: 2020-08-17 20:09:19

·

@홍콩오리님 네 몇 년 전에 사설 불러서 청소부탁했는데 비싸더라구요..ㅠ

PWL

IP 211.♡.36.74

20-08-17 2020-08-17 20:20:05

·

시스템 에어컨이 있으면 집안에 있는 에어커 다 틀어놓고 일정 온도를 유지시키는게 더 좋은거죠?

테디박

IP 110.♡.218.76

20-08-17 2020-08-17 21:14:14

·

@PWL-SAW님 시스템 에어컨은 실외기가 1대라고 하더라도 인버터 방식은 가동중인 실내기 용량만큼 소비전력이 추가되더라구요.. 아래 저희집 에어컨 소비전력의 경우는 주방만 작동할 땐 300~330w 정도 소비하구요.. 7.2kw 거실 실내기를 동작하면 확 튀긴 합니다. 어느정도 냉각 후에는 집안에서 가장 중앙에 있는 거실만 켜 두면 26.5도 정도 유지되어 쾌적하더라구요. 폭염이 극성일 이번주는 계속 이렇게 24시간 가동할 예정입니다. ^^

PWL

IP 211.♡.36.74

20-08-17 2020-08-17 21:15:22

·

@테디박님 저희 집에는 실외기가 한 대에요 ㅠㅠ

테디박

IP 110.♡.218.76

20-08-17 2020-08-17 21:27:07

·

@PWL-SAW님 저희집은 실외기를 2대로 했지만 가급적 1대의 실외기로 가동하도록 연결을 해 두었습니다. 거실+주방+서재에 실외기 1대, 안방과 애들방 2개에 실외기 1대로 연결해서 낮과 밤을 각 실외기 1대로 돌릴 수 있도록 했어요~ ^^

테디박

IP 110.♡.218.76

20-08-17 2020-08-17 20:40:17

·

저희집은 19년도에 설치한 LG 시스템에어컨입니다. 47평형인데 총 6대 실내기가 설치되어 있구요.. 어제부터 24시간 넘게 요거 1대 가동으로 충분하네요.. 거실 실내기가 용량이 제일 큰거라서 낮시간에 점심먹고 환기한다고 주방,거실 2대를 돌렸더니 중간에 튄거구요.. 그 이후부턴 주방 1대로 전체 냉방하고 있는데 26.5 도로 유지 중입니다. 주방 실내기 1대 가동할 때는 300~330w 소비하더라구요.. 아마 오늘 하루동안 에어컨 소비전력만 6~7kwh 정도 될것 같네요.

PWL

IP 211.♡.36.74

20-08-17 2020-08-17 20:50:41

·

@테디박님 방금전에 테디박님 블로그 읽고 있었어요!!

허니

IP 39.♡.24.64

20-08-17 2020-08-17 21:03:43

·

@테디박님 저희껀 14년도지만 아마 11~12년 모델일테니 좀 떨어지는듯 합니다..ㅜ

테디박

IP 110.♡.218.76

20-08-17 2020-08-17 21:04:53

·

테디박

IP 110.♡.218.76

20-08-17 2020-08-17 21:07:57

·

@허니님 저희집에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모델이 삼성 시스템 에어컨인데요.. 신냉매(R410)를 쓰지만 인버터로 가기 전 정속형 모델이었습니다. 구냉매(R22) 라면 정속형이 확실할 것이구요.. 냉매는 실외기 스펙표에 적혀있습니다.

PWL

IP 211.♡.36.74

20-08-17 2020-08-17 21:10:37

·

@테디박님 시스템에어컨 처음 설치해서 전기료에 대해 궁금해하던 참이거든요. 혹시 괜찮으시면 아질게에 올린 제 질문에 답좀 해 주셔요
ㅠㅠ

허니

IP 39.♡.24.64

20-08-17 2020-08-17 21:14:49

·

@테디박님 감사합니다. 찾아볼께요 저희집은 특이하게 위니아입니다

테디박

IP 110.♡.218.76

20-08-17 2020-08-17 21:27:54

·

@허니님 보통 시스템이면 삼성이나 LG 중에 하나던데 위니아 시스템도 있었군요~ ^^

허니

IP 39.♡.24.64

20-08-17 2020-08-17 21:45:52

·

@테디박님 일전에 인버터라고 들었는데 냉매는 다행히 신형냉매네요 ㅋ

테디박

IP 110.♡.218.76

20-08-17 2020-08-17 21:52:50

·

@허니님 보통 가정용은 시스템이라도 단상 220V 쓰는데 3상 380V 용이네요. 보통 사무실이나 오피스텔 그리고 아파트도 평형이 커서 단상으로는 커버가 안되는 실외기는 3상을 쓴다고 얘기를 들었습니다. 물론 3상이 에어컨 같이 전력을 많이 쓰는 기기에는 유리하다고는 합니다. ^^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