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 골절 멍 - songalag goljeol meong

안녕하세요? 하이닥 응급의학과 상담의 이건우 입니다.
통증이 매우 심하였으리라 봅니다. 공에 손가락이 부딛힌후 손가락 통증,부종,멍 등의 증상으로 문의를 주셨는데요. 의심되는 질환은 손가락 타박상,인대염좌등이고요. 가끔 x-ray상 골절소견이 나오는 경우도 있으니 가까운 병원을 방문하여 x-ray를 촬영하기를 바랍니다. 골절소견이 없으면 타박상과 인대염좌 가능성이 높으므로 손가락을 테이핑이나 알루미늄보호대로 고정을 하고 심장높이보다 높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얼음찜질을 하여 붓기를 가라앉히고 소염제를 복용하면 되겠읍니다. 단순염좌 및 타박상인 경우 약 1~2주정도후에 조금씩 고정을 풀면서 관절운동을 시켜주시면 이전 상태로 회복이 될것입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골절의 증상은 심한 통증과 함께 다친부위에 조금이라도 충격이 가거나 흔들림만 있어도 심한 통증이 오며, 이러한 통증은 시간이 지나도 좀처럼 나아지지 않습니다. 또한 부위는 부어 올라있으며, 붓기 또한 가라앉지 안아요.


또한, 손가락에 무리한 힘으로 인해 뒤틀리거나 충격으로 인한 통증은 골절이나 타박상 말고도 염좌 일수도 있습니다. 염좌는 손가락주위의 인대나 근육, 힘줄이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염좌의 특징】

염좌는 손가락 관절이 뒤틀리거나 탈구가 된후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 상태이기에 골절처럼 손가락이 휘는 등의 외형적인 변화는 없어보입니다. 하지만, 관절 부분의 심한 통증과 붓기의 증상이 있습니다. 움직일수는 있지만, 당연히 너무 아프겠죠? 하지만 손가락을 안정시키고 움직이지 않는다면 통증과붓기는 시간이 지나면서 개선됩니다.

[타박상의 특징】

타박상은 피부와 근육에 강한 충격이 의해 염증이 일어난 상태입니다. 심한 경우에는 출혈을 일으키며 멍이 생기기도합니다.  뼈와 관절에 이상이 없지만, 마찬가지로 심한 통증과 붓기 시작하죠. 골절과의 차이라면, 다친 부위를 만지면 아프만, 손가락을 움직일수 있고 손가락을 움직일때 별로 아프지 않습니다.

타박상과 염좌의 경우에는 다친부위를 움직이지말고 찜질을 해주는방법으로 자연치유가 될수 있지만, 심하다면 병원을 가는것이 좋습니다. 종합해보면 골절과 타박상의 차이는 움직였을때 통증이 강하게 오느냐 안오느냐일수도 있지만, 골절이 아니어도 염좌일경우에도 움직일때 통증이 올수 있으니, 통증이 심하거나 붓기가 심하다면 병원을 방문하는게 좋습니다. 

골절된 손가락 끝에 부종과 압통이 있습니다. 보통 손톱 아래에 혈액이 축적됩니다(조갑하 혈종[손톱]이라 함). 손톱은 푸르스름한 검정색으로 보이고 들어 올려질 수 있습니다. 손톱 아래에 위치한 손톱바닥이 찢어질 수 있습니다. 이 손상은 매우 고통스럽습니다. 손톱에 심한 손상이 있을 경우, 종종 기형이 남습니다.

중증 손가락 골절 후, 때로는 해당 부위의 민감성이 증가하고(감각과민증) 이러한 상태는 골절이 치유된 후 오랫동안 유지됩니다. 이 부위에 압통이 증가한 상태로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손가락 골절의 진단

  • X-레이

손가락이 골절됐다고 생각한다면,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손가락 골절을 진단하기 위해, 의사들은 여러 다른 각도에서 X-레이를 찍습니다. (또한 골절 진단 진단 골절은 뼈에 금이 가거나 부러지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골절은 뼈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골절은 보통 손상 또는 혹사에서 기인합니다. 손상된 부위는 아프고(특히 사용할 때), 보통 부기가 있으며, 멍이 들거나 뒤틀리거나 구부러지거나 제자리에서... 더 읽기

참조)

손가락 골절의 치료

  • 보호 커버

  • 커다란 조갑하 혈종의 경우, 손톱 밑의 혈액을 배액해야 할 수 있음

  • 중증 골절의 경우, 수술

대부분의 손가락 골절의 경우, 의사는 손가락 끝을 보호 커버(알루미늄 및 포말 부목재 등)로 감쌉니다. 이 커버를 약 2주 동안 착용합니다.

커다란 조갑하 혈종의 경우, 의사는 바늘이나 뜨거운 와이어(전기소작 기기)로 손톱에 작은 구멍을 내어 피를 빼낼 수 있습니다(원형절제술이라 부름). 매니큐어가 있는 경우 이 절차를 수행할 수 없습니다. 보통 이 절차에는 몇 초만이 소요되고, 통증을 예방하는 약물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중증 손가락 골절의 경우, 부러진 뼈로부터 분리된 많은 조각을 재접골하기 위해 수술을 합니다.

손톱에 중증 손상이 있을 경우, 보통 손톱을 제거합니다. 그 이후에는 손톱바닥 파열을 복구할 수 있습니다. 손톱바닥을 보호하기 위해 손가락을 드레싱으로 감쌉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손가락 골절의 경우에는 손톱 제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어떨 때 병원에 꼭 가봐야 하나요?

대부분의 경미한 염좌는 잘 관리하면 저절로 좋아집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엔 꼭 병원에 가서 확인해 봐야 합니다.

1) 이틀이 지나도록 부종이 가라앉지 않거나 더 심해지는 경우 - 골절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사진을 찍어서 확인해 봐야 합니다.

2) 찢어 검사를 해보았는데, 관절이 덜렁거리는 느낌이 날 경우 - 인대나 힘줄의 완전 파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서둘러 확인해서 수술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3) 손가락 끝마디가 구부러져 펴지지 않는 경우(Mallet Finger) - 견인골절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4) 손가락이 끝까지 구부러지지 않는 경우(Jersey Finger) - 역시 견인골절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5) 손가락의 모양이 변형된 경우 - 다친 이후 손가락 모양이 비정상적으로 꺾여 있고, 통증이 심하다면 역시 골절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 글은 공동 작성자 Jonas DeMuro, MD. 데무로 박사는 뉴욕에 거주하는 소아 중환자 전문 외과의사다. 1996년 스토니브룩 의과대학에서 의학박사(MD) 학위를 받았다. North Shore-Long Island Jewish Health System에서 중환자 응급의학 레지던트 과정을 마쳤다.

이 글에서는 14 개의 출처가 인용 되었습니다. 페이지 하단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조회수 42,794회

300x250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지병이 악화된 조연배우, 특히 주인공의 스승이나 어머니가 피를 토하는 장면이 연출되곤 합니다. 

 

이런 경우 대부분은 지병 그 자체보다 식도 정맥류에 의한 출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식도 정맥류'라는 용어 자체가 생소하신 분들이 있을 겁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 식도 정맥류의 원인과 증상, 치료에 관하여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식도 정맥류란?

Esophageal varices

 

 

정의

 

식도 정맥류란 식도 주변에 분포하고 있는 정맥들이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진 질환을 말합니다.

 

본래 인두와 위를 이어주는 식도 주변에는 수많은 정맥들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식도 정맥류는 식도 정맥이 부풀고 늘어나는 질환 입니다. Source:Wikimedia commons

 

이 정맥들은 어떤 이유로 부풀어 오르거나 늘어날 수 있는데 이처럼 구불구불 변형된 정맥 얼기를 정맥류’라고 합니다. 

 

이러한 정맥류는 신체 상황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식도 정맥류의 증상?

Symptoms

 

 

 

식도 정맥류의 가장 흔한 증상은 '토혈'입니다. 정맥류 손상 정도에 따라 다량의 피를 토할 수도, 토사물에 피가 소량 섞여 나올 수도 있습니다.

 

또한 출혈 외에도 식도 정맥류에서는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납니다.

 

 

식도 정맥류의 징후

 

만약 출혈이 없는 식도 정맥류라면 증상이나 징후가 없어 발견하기 굉장히 어렵습니다.

 

다만 다음과 같은 간질환 징후가 나타난다면 식도 정맥류를 의심해야 합니다.

 

  • 황달 = 빌리루빈이 정상적으로 대사 및 배출되지 못하여 피부와 눈이 노란색으로 착색됨.

 

  • 출혈이나 멍 = 혈중 단백질과 응고인자가 부족해지면서 멍이 잘 생김.

 

  • 복수 = 간문맥압이 증가하면서 체내에 체액이 축적됨.

 

간경화와 간부전은 식도 정맥류의 주된 원인 입니다.  Source:Wikimedia commons

 


식도 정맥류의 원인?

Causes

 

 

원인

 

식도 정맥류는 높아진 간문맥압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간문맥압이 높아지면 그 우회로인 식도 정맥이 나비효과처럼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간문맥압의 상승은 주로 심각한 간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 나타납니다. 

 

간문맥압이 증가할 수 있는 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간경변 = 간에 심한 반흔 조직이 생기면서 정상적인 간 혈류를 방해합니다. 감염성 간염, 알코올성 간 질환, 지방간, 담도 폐쇄 등이 간경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현전증 = 간문맥 혹은 간문맥으로 들어가는 정맥(비장 정맥) 등에 혈전이 형성되면 정상 혈류가 차단되면서 간문맥압이 증가합니다.

 

  • 기생충 감염 = 주혈흡충증과 같은 기생충 감염도 간 문맥압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식도 정맥류가 파열될 위험이 있는 사람

 

이때 식도 정맥류가 있다고 모든 사람들에게 출혈이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식도 정맥류에서 특히 출혈에 취약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또한 이전에 식도 정맥류로 인한 출혈이 있었다면 재출혈 위험이 굉장히 높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식도 정맥류의 치료?

Treatment

 

 

식도 정맥류의 주된 치료 목표는 출혈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출혈성 식도 정맥류는 출혈양이 많고 급격히 진행될수록 생명에 치명적입니다.

 

출혈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

 

문맥압을 낮추는 약물 치료

베타 차단제를 이용하여 혈압과 간 문맥압을 낮추면 출혈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약물에는 프로프라놀올(Propranolol), 나돌올(Nadolol) 등이 있습니다.

 

베타 차단제(프로프라놀올) Source:Wikimedia commons

 

탄성 밴드를 이용한 정맥류 결찰 시술

내시경에서 빨간색으로 보이는 정맥류의 경우 출혈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에 탄성 밴드를 이용하여 직접 결찰 해줄 수 있습니다.

 

내시경 밴드 결찰술의 모식도 입니다. Source:www.giejournal.org

 

이를 내시경 밴드 결찰술이라고 합니다. 시술 차체가 간단하고 출혈 및 흉터와 같은 부작용이 적어 실제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법입니다.

 

출혈이 발생한 다음 치료

 

이미 정맥류가 손상되어 출혈이 발생한 경우에는 지혈을 위해 여러 가지 시술과 약물 치료를 동시에 사용해야 합니다.

 

문맥 혈류를 느리게 하는 약물

바소프레신(Vasopressin)이나 옥트레오타이드(Octreotide)와 같은 혈관 수축제를 사용하여 출혈량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바소프레신 Source:WIkimedia commons

 

약물은 출혈 발생 후에 최대 5일까지 사용 가능합니다.

 

탄성 밴드를 이용한 정맥류 결찰술

출혈 예방 방법과 마찬가지로 내시경상에서 출혈이 생긴 정맥류가 관찰된다면 먼저 밴드로 정맥을 결찰 해줄 수 있습니다.

 

문맥 혈류 우회술(TIPS)

약물과 내시경 치료로 출혈이 조절되지 않는다면 경경정맥 간내 문맥 정맥 단락술(TIPS)을 시행합니다.

 

간정맥과 간문맥 사이에 션트를 만들어주는 TIPS의 모식도 입니다.  Source:Wikimedia commons

 

TIPS는 간에서 심장으로 혈액을 운반하는 간정맥과 간문맥 사이에 통로(션트)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되면 간문맥의 혈액이 *바로 간정맥으로 넘어가면서 간문맥압과 식도 정맥류 출혈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단, 본래 간문맥에서 간으로 전달된 후 해독되어야 할 독소도 션트를 거쳐 온몸으로 전달될 수 있습니다. 이 독소는 간부전 혹은 정신 착란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때는 TIPS를 제거해야 합니다.  

 

풍선 탐포네이드(Balloon tamponade)

출혈이 발생한 식도 정맥류를 팽창시킨 풍선으로 압박하여 지혈시키는 방법입니다. 최대 24시간 동안 압박할 수 있습니다.

 

식도 풍선 탐포네이드 Source:WIkimedia commons

 

하지만 풍선을 수축시키면 재출혈될 위험이 높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TIPS나 다른 치료 시행 전에 사용하는 임시조치입니다.

 

혈액량 보충

손실된 혈액을 보충하기 위해 적혈구를 수혈하며 추가적으로 응고인자 역시 수혈할 수 있습니다.

 

항생제

출혈로 인한 감염의 위험이 높기에 항생제를 사용합니다.

 

간 이식

심각한 간질환이 있거나 식도 정맥류로 인한 출혈이 반복되는 사람에게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식도 정맥류에 관하여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메디라이브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의학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변에 피가?! : 혈뇨 <알기 쉬운 3분 의학>  (0)2021.10.18<만성 폐쇄성 폐질환> 알기 쉬운 3분 의학  (0)2021.10.16<항문이 가려워요 : 치질> 알기 쉬운 3분 의학  (0)2021.10.13<무시무시한 당뇨 합병증 : 당뇨발> 알기 쉬운 3분 의학  (0)2021.10.07<원인별 탈모 유형 : 탈모> 알기 쉬운 3분 의학  (0)2021.09.28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