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의 특성 - sosyeolmidieoui teugseong

블로그부터 시작한 소셜미디어는 정보기술의 발전에 의해 웹 2.0의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참여 : 소셜미디어는 특정 주제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의 참여를 촉진시킵니다. 이를 위해 상호 의견 교환 및 공유가 쉽도록 기능을 제공하며 정보 생산자와 정보 소비자의 구분을 불분명하게 만듭니다.

2.개방 : 소셜미디어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정보 생산 및 정보 공유가 쉽습니다.

3.대화 : 기존의 미디어는 정보 생산자가 생산한 정보를 정보 소비자에게 일방향으로 전하는 방식인 반면, 소셜미디어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의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4. 커뮤니티 : 소셜미디어는 특정 주제나 관심사를 중심으로 사람들이 함께 그룹이나 커뮤니티를 쉽게 형성하도록 합니다.

5. 연결 : 소셜미디어는 링크 및 다양한 소셜미디어의 연결을 통해 다른 시공간 및 사용자와 연결성을 가지며, 연결의 확장성을 통해 세력을 확대해 갑니다.

또한 소셜미디어가 갖추어야 할 속성으로 평판, 관계 , 집단, 대화, 공유등을 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속성에 의해 소셜미디어는 대중을 위한 커뮤니티 도구이자 참여의 도구이며, 개인 의견을 사회화시키고, 시민들에게 전파시키는 미디어로 성장합니다. 소셜미디어는 '개인에 의한, 개인을 위한, 개인의 미디어'로 정의할 수 있는 것입니다.

과거의 매스미디어는 대규모 자본을 보유한 정보 생산자에 의해 일방적으로 편집된 정보를 유통하는 구조를 갖었으나 소셜미디어는 수 많은 개인들의 경험과 지식, 정보를 쌍방향으로 생산, 소비하는 구조라는 점이 다릅니다. 이제 미디어는 개인 누구나 소유할 수 있으며, 누구나 자신의 경험과 정보를 외부에 전달하고 소통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누구나 미디어를 소유, 운영할 수 있는 바로 소셜미디어 시대가 된 것입니다.

SNS 개념과 특성

1. SNS 개념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온라인상에서 형성할 수 있는 인적 네트워크 중 하나의 매개체로 인맥구축 플랫폼을 형성하여 새로운 사람들과 의 교류를 통해 인맥을 형성해 주고 더 나아가 기존의 인맥들과의 관계는 더욱 돈독히 해주는 온라인 서비스를 지칭한다.

즉, 소셜 네트워크는 사회적으로 관계되어 있는 개념을 SNS상의 공간으로 가져온 것을 의미하며, 오프라인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사람들 과의 관계를 네트워크에서 지원함으로써 온라인을 통해서도 관계 형성을 가 능하게 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교류와 소통의 공간이라는 의미이다.

또한 소셜 미디어(소셜미디어)란 사람들이 생각과 의견 그리고 경험 및 관점 등을 서로 공유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온라인 툴과 플랫폼을 의미한다. 이러한 소셜 미디어(소셜미디어)는 이미지와 텍스트, 비 디오와 오디오 등의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고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소셜 미디어(SocialMedia)로는 Blog(블로그), Social Networks(소셜 네트워크), Message Boards(메시지 보드), Podcasts(팟캐스트), Wikis(위키스), Vlog (비디오 블로그)등이 있다. 다시 말해 소셜 미디어는 웹 2.0 기반의 사회적 활동이나 매체를 통틀어 지칭한다. 웹 2.0은 열린 플랫폼에서 참여자들이 스스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며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하는 것이 중심 개념이며 정보사회 진화론에서는 웹 2.0의 사용을 시민참여와 상호작용성 증가로 의사소통과 표현을 할 수 있는 기제로 인식한다. 그러므로 미디어(Media)는 일종의 유기체처럼 그 자체가 성장하기 때문에 생산과 소비의 일반적인 메커니즘이 동작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양 방향성을 활용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사람들이 직접 활용하며 사용자들이 만들어 나간다. 이처럼 미디어 플랫폼(소셜미디어)과 온라인 툴을 이용하여 마케팅 활용을 하는 것이 소셜미디어(SocialMedia) 마케팅이며 이와 같은 비슷한 표현으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 마케팅이라고 한다. 대표 SNS(Social Network Service)로는 최근 이 슈가 되고 있는 Twitter를 비롯, Facebook, 북미의 MySpace가 있으며, 우리나라의 미투데이, 싸이월드 카카오톡 등도 SNS(Social Network Service)에 해당한다.

2. SNS 특성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기능 중 기본적인 것은 프로필 작성, 관계 맺기, 커뮤니케이션과 콘텐츠 생산 4가지가 있다. 이 중 관계 맺기 기능은 지인과 친구를 찾아 친구를 맺고, 팬 되기 등 개개인들이 관계를 형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다. 프로필 작성은 본인 사진과 본인에 관한 신 상정보, 관심사와 취미 등을 표현하여 자신을 소개하고 표현할 수 있는 기 능이다. 커뮤니케이션 기능은 쪽지와 이메일 그리고 메신저, 채팅 등을 활 용하여 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지원한다. 콘텐츠를 생산하는 기 능은 개인의 생각과 본인과 관련된 글과 동영상, 사진 등을 사용자 스스로 콘텐츠를 생산하며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기능이다. 

첫째, SNS 콘텐츠의 특성은 관계를 구축하고 유지하기 위한 관계 속성이 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정보 혹은 콘텐츠 ‘공유’으로 형성되는 사용자 간의 ‘관계’, 관계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공동체’로 설명할 수 있다.

둘째,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의견을 상대방에게 전달하거나 친구들과 대화를 나누기 위한 기능을 지니고 있다. SNS는 누구나 접근이 가능하고 참여자 들 간의 상호 작용을 촉진시키는 쌍방향적 커뮤니케이션이다.

셋째, SNS는 콘텐츠를 콘텐츠를 전달하고 수신하기에 용이한 기능을 지니고 있다. SNS를 사용하는 대상은 다양성과 다수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SNS 컨 텐츠는 공간과 시간의 한계를 넘어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점에서 용이하고 또한 콘텐츠를 처음 등록한 곳과 다른 매체로 확산할 수 있는 확 대 범위가 크다. 전통매체에 비해 전파 속도가 신속하다. 그리고 소셜네트 워크 서비스를 사용해서 적은 비용으로 효과적 소통이 가능해졌다.

넷째, SNS 콘텐츠는 사진, 비디오 문자 등 형식으로 정보를 생생하게 전 달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에 대한 정의를 보면 SNS(Social Network Service)는 개인들의 프로필을 구성하여 공유하는 것이다. SNS 서비스는 프로필 즉 사진과 신상정보, 관심사, 취미 등 개 인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밝힐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이외에 블로그 포토 동영상 등 사용자가 시스템 안에서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다. 이렇듯 SNS 서비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생생하게 전달하여 수신자에게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최근에는 소셜미디어의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주체가 개인이 아니라 기업이나 집단인 경우가 늘어나면서 SNS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파악하려는 노력이 늘어나고 있다. ‘소셜 엔터프라이즈’라는 용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일반인들의 사용으로 확대되어 기업들이 소셜 네트워크를 경영전략에 잘 적용하는가의 여부가 향후 기업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고 전망하고서 기업들에게 있어 소셜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은 반드시 도입해야 할 주요 요소라는 것이다. 또한 기업들의 마이크로 블로그 SNS는 기업으로 하여금 고객과 효율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매체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기업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 시지를 이용자 스스로 널리 전파시키게 하는 SNS 구전효과를 활용할 수 있다.

소비자는 다양한 정보를 SNS 서비스를 통해 얻을 수 있다. 그리고 SNS 환경을 바탕으로 공통적인 가치와 관심사를 공유하기 때문에 커뮤니티 안 구성원들과의 활동으로 공동체 의식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와 기업 간의 사이에 형성되는 관계가 유지할 수 있는 매개로의 역할이 될 수 있다 는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

소셜 미디어(social media)는 개방, 참여, 공유의 가치로 요약되는 웹 2.0시대의 도래에 소셜 네트워크의 기반 위에서 개인의 생각이나 의견, 경험, 정보 등을 서로 공유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생성 또는 확장시킬 수 있는 개방화된 온라인 플랫폼을 의미한다. 일종의 유기체처럼 성장하기 때문에 소비와 생산의 일반적인 매커니즘이 적용되지 않으며, 양방향성을 활용하여 이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정보를 공유하며 콘텐츠를 만들어 나가는 특성이 있다. 다시 말해, TV, 신문, 잡지, 라디오 등과 같은 전통매체가 일대다(one-to-many)의 일방적 관계형에 기초한 커뮤니케이션의 속성을 가졌다면, 소셜 미디어는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가 다양한 이용자들에 의해 생성되고 공유되는 다대다(many-to-many)의 쌍방향적 관계성을 토대로 하므로 1인 미디어, 1인 커뮤니티의 특징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소셜 미디어는 방송매체의 일방적 독백을 사회적 매체의 대화로 변환시키고, 그 이용자들이 콘텐츠 소비자임과 동시에 콘텐츠 생산자가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정보의 민주화와 개방화를 촉진시킨다.

종류[편집]

블로그(Blog),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위키(Wiki), UCC, 마이크로 블로그(Micro-Blog)의 5가지로 구분하며, 일반적으로 사람과 사람, 또는 사람과 정보를 연결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기반의 플랫폼을 소셜 미디어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다. 따지고 보면 유튜브(youtube), 온라인 게임, 그리고 카카오톡 오픈채팅도 소셜 미디어가 될 수 있다.

탄생배경[편집]

첨단 정보통신과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 및 융합의 결과로서 사회와 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을 들 수 있다. 인터넷의 대중화, 디지털 카메라 및 MP3의 보급 등으로 오디오, 비디오 등을 활용한 사이버상의 대인 커뮤니티이다

각주[편집]

외부 링크[편집]

  • (영어) The Museum of Social Media[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Museum of scholarly articles on the rise and impact of social media
  • 소셜 미디어 플랫폼 비디오- A social platform recommendations on our member resources and blog articles covering strategy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