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살 평균 키 몸무게 - 6sal pyeong-gyun ki mommuge

오랜 세기에 걸쳐 성장발달의 척도로 자리 잡아온 ‘신장’. 특히 대한민국의 학부모라면 학구열만큼이나 관심을 쏟는 것이 바로 아이의 키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한 어린이 표준 신장 발달표에 근거해 4세부터 7세의 표준 신장과 체중을 알아보면, 남아 기준 4세의 평균 키는 103.07cm, 5세는 109.59cm, 6세와 7세는 각각 115.92cm 그리고 122.05cm이다. 여아 기준 4세의 표준 신장은 101.89cm, 5세는 108.37cm, 6세 및 7세는 각각 114.73cm, 120.82cm로 확인됐다.

물론 아이마다 신체 조건, 유전적 요인, 성장 환경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절대적인 수치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단, 1년에 4cm 이하로 자라거나 또래보다 10cm 이상 작은 키를 가지고 있다면 성장호르몬 미달 및 성장장애로 판단하는 것이 옳다. 대부분 생활습관이 불규칙적이거나 영양 상태가 고르지 못한 경우에 성장이 더딜 수 있으며, 이는 단순히 ‘키만의 문제’는 아니다.

중요 영양소가 결핍될 경우 한창 성장해야 할 청소년기에 소화기 장애나 반복 질환(비염, 감기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학업에 매진해야 하는 시기에 잦은 잔병치레로 인해 성적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특정 신체기관의 기능 이상이 지속될 시 평생 건강을 위협하는 만성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도 높아진다고 한다.

그러나 무조건 신장이 작다는 이유만으로 성장호르몬제 및 성장촉진제를 투여하는 것은 금물이다. 적은 확률일지 몰라도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 물론 유전적인 요인이 작은 키에 약간의 영향을 미칠 수는 있으나, 키 성장에 있어 유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20~30% 정도로 적은 축에 속하기 때문. 즉, 생활습관 개선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다면 일상생활 속에서도 간단히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자.

◇ 단백질과 칼슘 위주의 식단 구성

시리얼이나 빵 같은 탄수화물 위주의 식단은 멀리하는 것이 좋다. 성장기에 중요한 영양분인 단백질, 칼슘을 섭취할 수 있게끔 콩과 해조류, 멸치 등이 들어간 식단을 만드는 게 좋다. 또한 성장호르몬은 주로 밤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취침 전에 음식을 섭취하는 행위는 금물이다. 야심한 시각에 음식을 먹게 되면 혈당 수치가 올라갈 뿐 아니라, 체내 성장 호르몬 분비를 방해할 수 있으니 주의하도록 하자.

◇ 충분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지도

스마트폰의 대중화 및 보급으로 아이들이 늦은 시간까지 영상, 게임 콘텐츠를 즐기는 경우도 부지기수다. 그러나 전자기기의 잦은 사용은 오히려 불면증을 야기할 수 있으며, 안구 건강에도 좋지 않다. 아이들이 밤 10시 이전에 숙면을 취해 성장호르몬이 충분히 분비될 수 있도록 하자.

이외에도 규칙적인 운동으로 성장판을 지속적으로 자극하면 키 성장을 기대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어린이 종합비타민 같은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뉴트키즈타민은 한 포에 주원료 13가지, 부원료 19가지를 담은 어린이 영양제다. 아이에게 필수성분인 비타민A, B, C, D, E 및 아연 등 총 32가지 영양소가 한 포에 모두 담겨 있다. 특히 뼈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한 비타민D가 400IU, 정상적인 면역기능에 필요한 아연이 7mg 함유돼 있다.

메디컬투데이 고동현 ()

[저작권자ⓒ 메디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행정구역별
  • 성별

  • 시점
  • 항목

부가기능설정 / 데이터찾기X 닫기

부가기능설정

데이터 찾기

찾을 데이터

<= 찾을 데이터 <=

* 찾을 데이터 결과값은 노란색 배경에 굵은 글씨체가 적용됨.

연령별 학생 평균 키(행정구역/성별)

시점정렬

오름차순 내림차순

소수점

수록자료형식과 동일 조회화면과 동일

다운로드

파일형태

EXCEL
CSV

시점정렬

오름차순 내림차순

다운로드 파일을 생성하고 있습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십시오.

기능설명

- 상위레벨 선택(일부)값에 상관없이 해당레벨 전체가 선택됩니다.

- 왼쪽 위 일괄설정은 분류, 항목 및 시점을 보다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자료갱신일: 2020-12-24 / 수록기간: 년 1990 ~ 2019

※분류명 :

* 챠트의 범례는 최대 20개까지 제공되며, 항목과 분류값을 재설정하여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차트 기능은 구글 크롬 및 마이크로소프트 익스플로러11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 e : 추정치, p : 잠정치, - : 자료없음, ... : 미상자료, x : 비밀보호, ▽ : 시계열 불연속

만7세 평균키 그리고 몸무게를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초1 학생이고 평상시 8살로 살아가고 생일이 지났을 시 말하는 만 7세 나이를 기준으로 합니다. 만7세 평균키, 몸무게 정보가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시고 끝에는 아이 성장 발육 계산기도 첨부하였습니다.

만7세 평균키

유치원에서 벗어나 더 넓은 사회생활로 넘어가는 첫 시기이죠. 친구들은 잘 사귀고 있는지, 학교 생활은 잘 적응하고 있는지, 학업도 잘 따라줬으면 하는 게 부모 욕심일 것입니다. 또한 이때 또래 친구들을 보면서 아이의 성장을 눈대중으로 비교할 수 있죠.

.

자손의 키는 유전의 영향이 크다고 하지만 분명 운동과 식생활(영양소) 개선으로 충분히 나아질 수 있습니다. 운동은 성장판을 자극할 수 있는 줄넘기, 농구 등이 좋고 충분한 휴식도 중요할 것입니다. 물론 성장에 필요한 영양소를 섭취하는 것도 필수입니다.

만7세 평균키 , 초2, 만8세
개월 수 중위값 신장 (cm)
84 개월 -  남아 122.1 cm
84 개월 -  여아 120.8 cm
95 개월 -  남아 127.4 cm
95 개월 -  여아 126.2 cm

여기서 말하는 중윗값은 실험군의 상위 50%에 해당하는 값으로 평균이라 볼 수 있습니다. 세부적으로 개월 수에 따른 상, 하위를 알아보겠습니다.

84개월 기준 남아 

  • 하위 10% : 115.9 cm
  • 상위 10% : 128.6 cm

95개월 기준 남아 

  • 하위 10% : 121.0 cm
  • 상위 10% : 134.2 cm

84개월 기준 여아 키

  • 하위 10% : 114.8 cm
  • 상위 10% : 127.1 cm

95개월 기준 여아 키

  • 하위 10% : 119.8 cm
  • 상위 10% : 133.1 cm

중윗값 기준으로 10cm가량 작다면 저성장이 의심되오니 성장 발육 전문의와 필히 상담이나 진료받아보시길 바랍니다.

9세 몸무게

다음으로 초1이자 만 7세, 8살 아이의 평균 몸무게를 살펴보겠습니다. 신장과 마찬가지로 평균값을 알아보고 상, 하위 구간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소아비만이 대표적인 서구화된 사회의 현대질병입니다. 절대적으로 식습관의 문제라고 많은 전문가들은 꼬집어 말하고 있습니다.

과식과 야식을 삼가시고 다양한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도록 지도해주시길 바랍니다. 이때 식습관을 잘 잡아놔야 합니다.

만7세 몸무게 , 초1, 8살
개월 수 중위값 몸무게(kg)
84 개월 - 남아 24.2 kg
84 개월 - 여아 23.4 kg
95 개월 - 남아 27.2 kg
95 개월 - 여아 26.3 kg

84개월 기준 남아 몸무게

  • 하위 10% : 20.4 kg
  • 상위 10% : 29.7 kg

95개월 기준 남아 몸무게

  • 하위 10% : 22.5 kg
  • 상위 10% : 34.0 kg

84개월 기준 여아 몸무게

  • 하위 10% : 19.6 kg
  • 상위 10% : 28.8 kg

95개월 기준 여아 몸무게

  • 하위 10% : 21.6 kg
  • 상위 10% : 32.9 kg

유아 성장발달 계산기

숙제하는 어린이

마지막으로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하는 유아 성장발달 계산기를 추천드립니다. 키, 몸무게, 머리 둘레만 측정할 수 있으면 간편하게 우리 아이가 잘 크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줄자, 체중계만 있으면 되니 크게 준비물이 필요하지도 않습니다. 집에서도 쉽게 진단하기 좋으니 꼭 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이곳을 통해서 확인 가능합니다.

요약

  1. 저성장 증상은 또래보다 10cm가량 작다는 것이다.
  2. 소아비만은 현대 사회 질병으로 대두되고 있다. 
  3. 식습관 개선과 편식 등 영양소 섭취 지도가 필요하다.

만7세 평균키를 전달해드렸습니다. 읽어보니 어떠신가요? 다른 정보도 궁금하시다면 위의 글들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