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 리움 머지 이유 - ideo lium meoji iyu

[뉴욕=박재형 특파원] 이더리움(ETH)이 ‘머지’ 업그레이드 이후 시장의 기대처럼 상승하지 못하고 비트코인보다 더 큰폭으로 하락했다.

20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이더리움은 얼마 전까지 지분증명(PoS) 방식 전환 업그레이드에 대한 기대로 시장 전반의 상승세를 이끌었다.

그러나 업그레이드가 성공적으로 완료됐음에도 불구하고 이더리움 가격은 비트코인보다 더 떨어졌다.

업그레이드가 완료된 지난 15일 이후 이날 오전까지 이더리움 가격은 약 15% 하락했다.  같은 기간 비트코인은 3% 후퇴했다.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를 앞두고 이더리움은 지난 6월 연중 최저치보다 약 두 배 가량 오르며 비트코인의 상승폭을 크게 앞질렀다.

암호화폐 거래소 루노의 기업 개발 및 국제 담당 부사장인 비자이 아야르는 ‘머지’ 효과는 이미 이더리움 가격에 반영된 상태였다며, 향후 비트코인의 실적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이 이더리움 등 알트코인의 자금을 다시 비트코인으로 옮기고 있다고 밝혔다.

CNBC는 이더리움이 시장의 기대와 달리 크게 하락한 데는 지분증명 방식 암호화폐가 증권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게리 겐슬러 위원장의 발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일본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뱅크의 분석가 하세가와 유야는 “이더리움 입장에서는 지분증명 암호화폐가 SEC의 조사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또 다른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코인마켓캡 자료에서, 이더리움은 뉴욕시간 오전 0.3% 오른 1345달러에 거래됐다.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전문 기자가 요약 정리한 핫뉴스, 블록미디어 카카오 뷰(클릭)

같이 보면 좋은 기사

추락하는 이더리움…반등 가능할까

[글로벌크립토] 이더리움 '더머지' 성공 선언.. 크립토 가격 어떻게 될까?

머지 성공에...ETH 가격 전망은? 단기적으론 하락 우세

중장기는 낙관적 "근거는 공급량...디플레 자산 될 것"

ETH, 비트코인 도미넌스 넘어서나

PoS 완전 전환 시 솔라나∙폴리곤 등 영향 불가피

오늘 암호화폐 역사상 가장 큰 업데이트로 꼽히는 이더리움 ‘더머지(The Merge, 합병)’가 이뤄졌다. 이더리움(Ethereum) 네트워크 동작 방식을 채굴자 중심 작업증명(PoW)에서 위임자 중심의 지분증명(PoS) 방식으로 바꾸고 있다. 머지는 기존 작업증명(PoW) 기반 메인넷과 미리 만들어 뒀던 PoS 기반 테스트넷을 합치는 작업으로, 이더리움이 PoS로 전환하는데 있어 중요한 과정으로 꼽힌다. 머지가 무사히 이뤄지면서 이더리움은 본격적으로 PoS 기반으로 작동하게 됐다.

👉 작업증명(PoW), 지분증명(PoS)이란?

이 이더리움 머지가 암호화폐 투자 시장에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ETH 공급량 메커니즘이 변한다는 점이 있다. 이더리움은 수많은 디파이(DeFi, 탈중앙 금융) 서비스가 구동되는 블록체인이자 시가총액 2위 이더리움(ETH)이 발행되는 체인이기도 하다. 이더리움 블록체인은 각종 레이어2 블록체인과도 연결돼 있어 이더리움의 발행 메커니즘 변화는 다른 암호화폐들에도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 이더리움 더머지는 무엇?

가상자산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면, 한 번쯤은 이더리움이 업그레이드한다는 내용을 들어봤을 건데요. 이더리움 머지(Ethereum Merge)라고 불리는 이 업그레이드는 추후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를 고민하고 있다면 꼭 한 번은 챙겨볼 내용이에요.

이더리움 머지(Ethereum merge), 왜 하는 건데?

이더리움은 비트코인 다음으로 시가총액이 큰 암호화폐인데요. 알트코인의 대표주자예요.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는 다르게 스마트 계약*이 가능한 블록체인으로 디파이(defi)**와 NFT 모두 구현할 수 있어 큰 주목을 받은 블록체인이기도 하죠. 이더리움은 많이 쓰이는 스마트 계약 기반의 블록체인이기에, 비싼 가스비에도 두 번째로 규모가 큰 암호화폐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고요.

*계약 조건을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해당 조건이 충족하면 자동으로 계약이 실행되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금융 거래, 부동산 계약 등 다양한 거래에 활용할 수 있어요.

**탈중앙화된 금융 시스템을 일컫는데, 정부나 기업 등 중앙기관의 통제 없이 인터넷만 연결하면 블록체인 기술로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걸 말해요.

일부 투자자는 이더리움에 투자하는 걸 꺼리기도 했는데요. 이유 중 하나가 바로 환경오염 문제였어요. 이더리움은 작업증명(PoW)이라는 방식으로 채굴이 이뤄지는데요. 작업증명(PoW, Proof of Work)은 말 그대로 작업을 통해 코인이 생성되는 거예요. 일반적으로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해시 함수의 값을 구하는 보상으로 코인을 받는 거죠.

작업증명은 해킹이 어렵고, 탈중앙화가 쉬워 채택되었는데요. 채굴 난도가 계속 높아지면서 전기료나 장비 등 채굴 비용이 함께 커진다는 단점이 생겼어요. 점점 고성능 그래픽 카드가 필요하니, 그래픽 카드 가격도 올랐고요. 고성능 그래픽 카드는 워낙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다 보니,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범이라는 비난에서 벗어날 수도 없었죠.

그래서 이더리움은 작업증명 방식에서 지분증명 방식으로 바뀔 예정이에요.

적게 일하고 많이 버세요, 크립토정입니다. 😊

최근 이더리움 머지 이슈가 호재로 작용하면서 이더리움과 가상자산시장의 상승을 이끌었는데요. 이더리움 머지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볼게요.

이더리움 머지란?

이더리움 머지(Merge)는 이더리움의 작업증명방식(PoW)에서 지분증명방식(PoS)으로 전환하는 이더리움의 업그레이드 버전이에요.

이더리움은 앞으로도 다양한 업그레이드를 할 예정인데요.

머지는 생각보다 이더리움에 큰 영향을 주는 업그레이드라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어요.

에너지 문제를 해결한다

작업증명(PoW)에서 지분증명(PoS)으로 머지 업데이트를 하게 되면 이더리움의 에너지 소비량이 99.95% 감소해요.

이더리움은 더 적은 탄소를 사용하여 지속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도움을 주게되는 것인데요.

다양한 산업의 연간 예상 에너지 소비량(TWh/yr)

유튜브와 같이 비디오 스트리밍에 소비되는 에너지, 금 채굴에너지, 비트코인 채굴 에너지가 상당히 높은 수치로 보이는데요.

에너지 전문 조사업체 ‘에너데이터(Enerdata)’가 조사한 2019년 한 해 폴란드(148TWh)의 1년 전력 사용량을 넘어서는 수치라고 해요.

이더리움이 머지 업데이트 이후에는 에너지 소비량이 현격히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어요.

계속 성장하는 이더리움

이더리움의 머지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시대를 만들기 위한 첫 단추를 채웠다고 볼 수 있는데요.

머지 이후에는 ‘샤딩’ 업데이트를 통해 데이터 정체, 높은 가스 수수료 등을 해결하고 더 나은 확장성을 갖추려고 해요.

이더리움의 업데이트는 개발 환경에 따라 조금씩 지체되고는 있지만 더나은 미래를 위한 로드맵이 착실하게 진행되고 있어요.

마치며

stETH-ETH 디페깅 사태부터 고생했던 이더리움의 가격이 머지 이슈로 한숨 돌리게 되었는데요.

하나의 악재와 호재로 성급하게 투자하는 습관은 조심할 필요가 있어요.

머지만 보면 이더리움의 미래가 앞으로도 창창할 것 같지만 경기침체와 암호화폐 위기속에서 투자는 항상 균형 잡힌 시각으로 현명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어요.

그럼에도 지금의 암호화폐 약세장에서도 이더리움의 행보가 궁금해지네요.

위 정보는 암호화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하는 것으로,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또는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에임리치는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 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