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클립스 STS 오프라인 설치 - ikeullibseu STS opeulain seolchi

Spring Tools 3 Add-On for Spring Tools 4

Spring Tools 3 Add-On for Spring Tools 4 Attention: This add-on pack provides additional components from the previous Spring Tools 3 generation to be installed into an Eclipse with Spring Tools 4 already installed. To avoid installation issues with overlap

marketplace.eclipse.org

실제 인터넷 연결이 불가능한 환경에서 개발환경을 설정할 때는 인터넷이 가능한 환경에서 아래 블로그 설명대로 다운로드 받고 나서 해당 이클립스에 플러그인을 다 설치한 다음 다시 그 폴더를 그대로 압축해서 인터넷이 불가능한 개발환경으로 넘기면 정상 동작한다.

환경설정 모음/Eclipse

2021. 2. 20. 14:04

저자의 글을 복사, 수정, 상업적/비상업적 이용을 모두 금지합니다. 오직 페이지 링크만 허용합니다.

이클립스에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탑재하여 웹 개발을 전문적으로 개발 할 수 있도록 만든 에디션이 STS(Spring Tool Suit)다.

폐쇄망에서 개발하려다보니 오프라인으로 개발을 진행해야하는 상황인지라 미리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했다.

폐쇄망에서는 생각 나는대로 다운받을 수 없으니 필요로하는 플러그인을 모아서 정리해봤다.

□ Spring Tools 3 Add-On for Spring Tools

  •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프로젝트 생성시 오프라인에서도 사용 할 수 있도록 제공
  • 플러그인 설치 후 관련 파일도 다운 받아야 오프라인에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온라인 상태에서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작업 필요(생성시 관련 파일 다운로드)
requires downloading 표기된 템플릿을 다운로드해야 오프라인에서도 사용 할 수 있다.

□ Grep console

  • Console로 출력되는 로그가 많을 경우 중요한 내용만 보기위한 필터링 기능
  • 매칭된 내용에 대한 색 변경 등의 시각적 효과 제공

□ Eclipse Web Developer Tools

  • HTML, CSS, JavaScript, JSON 등의 파일 포맷에 맞는 에디터 제공
  • 해당 코드들의 하이라이트 지원

□ Eclipse Enterprise Java Developer Tools

  • STS 기본에는 프로젝트 Export시 War로 내보내기가 없음.
  • War 파일로 Export 할 수 있도록 설치

Enhanced Class Decompiler

  • 컴파일된 class 파일을 다시 java 코드로 볼 수 있도록 디컴파일 해준다.
  • 간혹 class 파일 내에서 exception 에러가 나는 경우 원인 파악 하는데 도움을 준다.

□ DevStyle

  • 이클립스의 클래식 UI를 대체할 세련된 UI 제공 
  • 라이트/다크 테마 제공

□ Subclipse

  • 소스코드 형상관리를 위한 SVN Connect 및 관리
  • STS에서는 Git만 지원하기 때문에 추가 필요

□ Quick Search for Eclipse

  • 빠른 검색이 필요할 때 사용
  • Ctrl+Shift+L로 사용

□ Tern Eclipse IDE

  • Assistant로 자바스크립트의 사용 가능한 함수를 제안한다. 
  • 자바의 Ctrl+Spacebar 기능과 같다(Proposals 기능)
  • 하지만, 더 이상 개발이 되지 않아 최신 이클립스의 경우 미지원

□ Javascript Development Tools

  • javascript 언어 개발시 필요
  • 마켓플레이스가 아닌 Install new software에서 설치 가능

성공할꺼야2019. 12. 27. 15:03

인터넷이 안된다니.. 아찔하지 않은가?

우리는'인터넷이 된다'는 인식도 없이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인터넷이 없는 세상은 상상할 수도 없다.

하지만 프로그래머라면 폐쇄망 즉, 인터넷이 되지 않는 오프라인 환경에서 일을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그중에서도 이클립스를 사용하는 개발자가 이런 환경에서 유용한 플러그인을 설치할 수가 없다.

보통 Eclipse market이나, Install New Software를 이용하여 설치하지만,

위 그림처럼 Unkonown Host: ~~ 이런식의 에러가 발생한다.

이럴 때를 대비하여 오프라인 환경에서 플러그인 수동 설치 방법을 알아놓자.

jar파일 준비

수동 설치에 필요한 jar파일을 준비한다.(물론, 인터넷이 되는 PC에서 다운로드 받아 보통 USB, CD 등의 이동 매체로 전달해야 할 것이다.)

예제에서는 properties 확장자를 갖는 파일의 한글 인코딩을 변환시켜 보여주는 PropertiesEditor라는 플러그인으로 진행해보겠다.

이클립스 마켓 홈페이지로 이동 (//marketplace.eclipse.org)

다운받을 플러그인을 검색(집모양의 아이콘을 눌러 해당 플러그인의 공식 홈페이지로 이동)

jar파일 혹은 zip파일을 다운 (플러그인 마다 다운로드 장소가 다르니, 잘 찾아서 다운받는다.)

수동설치

jar파일{eclipse 홈 디렉토리}/plugins 경로에 복사

{eclipse 홈 디렉토리}/configuration/org.eclipse.equinox.simpleconfigurator 경로로 접근하여 bundles.info 파일을 열기

가장 하단에 내용을 기입 후 저장

형식

식별자,버전,file:파일경로,4,false

작성예시

jp.gr.java_conf.ussiy.app.propedit,6.0.5,file:plugins\jp.gr.java_conf.ussiy.app.propedit_6.0.5.jar,4,false

이클립스 실행(혹은 재시작)하여 확인

Before

설치 전, 한글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는다.

After

설치 후, 아이콘이 바뀌었으며 한글 내용이 잘 보인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