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트로아크 마메 키설정 - leteuloakeu mame kiseoljeong

레트로아크를 이용하는 에뮬레이터 코어를 위한 연사 기능이 있습니다.

그 동안 연사 사용하는 방법을 몰라서 활용을 전혀 못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알게되서

연사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본문에는 EmuELEC 을 기준으로 설명 드리지만 레트로아크에 진입이 가능한 모든

기기에서 설정이 가능합니다. 아래의 연사 기능은 레트로아크를 이용하는 코어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 연사 기능 설정하기 (Classic 모드) ***

- 스타트 버튼을 눌러 ES 메인 메뉴의 종료를 선택합니다.

- 레트로아크 실행을 선택합니다.

- 레트로아크의 설정 -> 입력으로 들어갑니다.

- 터보 간격, 듀티 사이클의 프레임 수치는 위 스샷대로 설정해 주세요.

터보 간격 5, 듀티 사이클 3 으로 설정하는게 가장 적절하게 빠른것 같습니다.

터보 모드와 터보 기본 버튼에 대해서는 아래에 추가로 설명드릴 예정이라 일단

위 스샷대로 설정해주세요.

- 1번 포트 입력 설정을 선택합니다.

- 터보 사용 버튼은 게임할때 가장 사용하지 않는 버튼에 할당해줍니다.

개인적으로 Xbox360 호환 패드(스위치용 무선 패드)를 사용중인데 스위치의 홈 버튼에

해당하는 키에 터보 사용 버튼을 할당했습니다.

2인용, 3인용 등등에도 적용하시려면 아래의 추가 포트에도 똑같이 설정하시면 됩니다.

- 모든 설정을 완료했다면 메인 메뉴의 구성을 선택합니다.

- 현재 환경설정 저장을 선택해서 저장을 반드시 합니다. 왼쪽 하단에 저장 상황이 표시됩니다.

- 메인 메뉴의 RetroArch 종료를 눌러 레트로아크를 종료합니다.

*** 연사 기능 사용하기 ***

 1. 게임을 실행합니다.

 2. 게임 도중 연사를 적용할 버튼(예 B 버튼)을 누르고 있습니다.

 3. 터보 사용 버튼을 한번 눌러줍니다.

 4. 누르고 있는 버튼(예 B 버튼)에 연사 기능이 활성화 됩니다.

장점 : 모든 버튼의 연사가 가능합니다.

단점 : 연사를 적용한 버튼을 떼는 순간 연사 기능이 자동으로 꺼집니다.

======================================================

*** 연사 기능 설정하기 (Single Button 모드) ***

- 위 설정 방법을 참고해서 터보 모드를 Single Button 으로 변경합니다.

터보 모드는 Single Button 으로 터보 기본 버튼은 적용할 버튼으로 선택합니다.

*** 연사 기능 사용하기 ***

 1. 게임을 실행합니다.

 2. 게임 도중에 터보 사용 버튼을 눌러줍니다.

 3. 설정한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연사가 나갑니다.

장점 :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연사가 됩니다.

단점 : 버튼 딱 한개만 연사가 가능합니다.

레트로아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연사 기능 두가지를 모두 소개해 드렸습니다.

  지난번에 추억의 오락실 게임을 즐길 수 있는 mame에 관한 포스팅을 했습니다. 오늘은 mame 키 설정 방법에 대하여 포스팅 해볼까 합니다.

  mame 에뮬레이터와 롬(roms)의 버전을 통일시켜 주면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러나 막상 게임을 실행시켰는데 시작 방법이나 조작방법을 모른다면 낭패일 것입니다. 키보드를 누르다 보면 알 수는 있겠지만 키 설정 방법을 알아야 내가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조이패드를 연결해서 사용하고 싶을 때에도 설정은 핑수이니 까요.

  기본 키 셋팅은 숫자 버특 5~8번이 코인 입니다. 오락실 기반 게임이다 보니 돈을 삽입해야 하니까요. 그리고 1~4번이 보통 스타트 버튼 입니다. 저는 코인이나 스타트는 그냥 두고 조작만 조이패드로 설정해서 사용하곤 합니다.

  mame64를 실행시키면 mame에서 실행 가능한 전체 게임 목록이 뜹니다 여기서 왼쪽의 탭에서 실행 가능한 게임, 즉, 롬이 있는 게임만 보이도록 변경할 수 있습니다.

  가운데 부분에 게임 제목이 표시되어 있고, 그 밑 부분에 여러가지 셋팅 할 수 있는 옵션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Configure Option을 누르면 General Input이 나옵니다. General Input에 들어가서 위, 아래, 좌, 우 그리고 버튼 1~4까지 셋팅을 해줍니다. 만일 스트리트 파이터 같이 6버튼 게임을 한다면 버튼 6까지 셋팅하는게 좋습니다.

  설정을 바꾸고자 하는 부분에서 커서를 두번 눌러주면 입력할 수 있게 변합니다. 방향키의 경우 오류인지 몰라도 up 설정에서 두번 클릭후 조이패드의 up 방향으로 방향키를 한번 눌러주면 아무 표시가 안나옵니다. 그러나 당황하지 말고 ESC 버튼을 눌러주면 내가 입력한 UP 방향의 키가 먹힌 것으로 변합니다.

  방향버튼은 위와 같이 입력합니다. 그러나 버튼 1~6까지는 정상적으로 더블 클릭 후 내가 원하는 버튼을 누르면 정상작으로 입력이 됩니다. 저도 처음에는 방향키가 잘 안되서 고생 했지만 mame 프로그램이 아직 좀 완벽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현상 같습니다.

  방향키나 버튼을 모두 설정하고 나서 코인과 스타트 까지 바꾸고 싶다면 Player 1 ~ other control 까지 있는 화면에서 other control을 선택합니다. 그러면 스타트와 코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 방법은 Player 설정 방법과 동일 합니다.

  조이패드는 집에 두 개가 있어서 두개를 연결해서 모두 셋팅해서 실행해 봤는데, 문제없이 잘 작동 되었습니다. 키보드 까지 하면 3인용 게임까지 가능했습니다. 옛날 오락실 게임은 종종 4인용도 있기 때문에 만일 4인용 까지 하려면 조이패드를 추가로 연결하면 가능해 집니다.

  가끔 추억의 오락이 생각날 때면 아들하고 같이 할때도 있습니다. 그러면서 드는 생각이 이 게임이 내가 어릴적에 하던 건데 우리 아들도 이 게임을 하는구나 참 신기하구나 그런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또한, 친인척 들이 모이는 명절이면 시끄러운 아이들을 조용하게 만들어줄 비장의 무기가 되기도 하지요.

  이상 키 셋팅 방법 이었습니다. 즐겜 하세요.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