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가 꽉 찼습니다 지금 전화를 청소하십시오 - memoliga kkwag chassseubnida jigeum jeonhwaleul cheongsohasibsio

'스마트폰, 바이러스 감염' 가짜 메시지에 낚일라

발행일 : 2017-12-25 14:00 지면 : 2017-12-26 11면

“경고! 당신 스마트폰이 바이러스에 감염돼 즉각 조치가 필요합니다.”

안랩(대표 권치중)은 악성코드 감염 메시지로 위장해 불필요한 앱 설치를 유도하는 사례를 발견했다. 스마트폰에 악성코드 감염 메시지를 띄우고 경고음까지 울린다. 메시지가 나타나면 '뒤로가기' 버튼을 눌러도 경고창이 사라지지 않는다.

가짜 바이러스 감염 메시지에는 스마트폰을 그대로 두면 심(SIM) 카드와 데이터, 사진 연락처가 훼손된다고 위협한다. '배터리까지 손상시키는 바이러스에 감염됐다' '스마트폰 메모리 100%가 손상됐으니 지금 치료하지 않으면 감염이 계속돼 심각한 손상 원인이 된다'는 메시지가 나와 사용자를 당황하게 만든다.

<스마트폰에 바이러스가 감염됐다는 허위 경고창을 띄워 특정 앱을 설치하는 사례가 발견됐다. GettyImagesBank>

뒤로가기 버튼을 계속 눌러도 벗어날 수 없다. 오히려 '시스템 경고'라는 창이 나타난다. 사용자 스마트폰 기종을 정확히 언급하는 치밀함을 보였다. 이후 바이러스 제거법을 안내하며 특정 앱 설치를 유도한다. 경고 화면에 나온 '바이러스 제거하세요' 버튼을 누르면 악성코드와 관계없는 앱을 설치한다.

안랩은 앱 설치를 유도하는 허위 메시지는 최근 사용자 스마트폰 운용체계(OS)와 브라우저 정보를 수집해 진짜 악성코드에 감염된 걸로 믿게 만든다고 설명했다.

이런 메시지는 주로 다운로드나 성인콘텐츠 사이트, P2P 검색을 이용했을 때 나타난다. 허위 경고 메시지로 설치되는 앱은 중국 등 해외에서 제작됐다. 해당 앱은 'Pay per Installer(PPI)'라고 불리는 제휴 프로그램이다. 앱 설치로 금전 이익을 얻는다. 해당 앱은 설치를 위해 정상 구글 플레이스토어 페이지로 연결된다.

<'바이러스 감염' 경고 메시지로 위장한 허위 메시지(자료:안랩)>

안랩은 “허위 메시지로 불필요한 앱을 설치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지만 정보 유출 등 직접 피해는 주지 않는다”면서 “앱을 부적절한 방법으로 설치하게 유도하는 것만으로 악성 앱으로 간주해 차단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극단적 과장 광고이지만 설치되는 앱이 악성이 아닌 경우가 많아 논란의 소지가 있다.

안랩은 “가짜 경고 메시지가 나타나면 모바일 백신을 이용해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라”면서 “불필요한 앱(Potentially Unwanted App)을 확인해 제거하면 된다”고 밝혔다.

김인순 보안 전문기자

삼성 인터넷 브라우저 바이러스성 광고/오류 알림 제거방법

악성 광고 알림이 온 모습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을 비롯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사용하다보면 위와 같은 상황을 겪으실때가 있습니다.

원인 모를 광고와 오류 메시지 알림이 시도때도 없이 울리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알림은 '주의!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SIM 카드, 사진 및 연락처가 곧 손상 될 수 있습니다.' 등의 무서운 문구로 사람들을 현혹하여 말도안되는 바이러스 제거 어플을 구매하도록 유도하기도 합니다.

혹여나 이런 문구를 보고 바이러스가 걸렸다고 착각하여 바이러스 제거 어플을 구매하지 마시고, 제 글을 읽고 해당 증상을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지금부터 삼성 인터넷 브라우저를 기준으로 이러한 광고, 오류 메시지 알림을 제거 및 방지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바이러스성 광고/오류가 발생하는 이유

이런 알림 허용 요청 팝업이 문제의 원흉이다

삼성 인터넷, 크롬, 네이버 등의 안드로이드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바이러스성 광고/오류가 발생하는 이유는 위 이미지에 있습니다.

바로 방문한 웹사이트의 알림 허용 때문입니다.

요즘 웹사이트들도 스마트폰의 어플과 같이 알림을 보낼 수 있습니다.

단, 방문자가 허용을 했을시에만 가능합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팝업창이 뜨니 무엇인지 확인도 안하고 허용하는 습관이 있습니다.

이러한 습관을 노린것이 바이러스 처럼 보이는 광고와 오류 메시지를 보내는 악성 사이트들의 전략입니다.

대부분의 정상적인 사이트에서는 공지사항이나 방문자에게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알림 허용을 요청하지만, 위 사이트 처럼 악용하는 경우도 있으니 꼭 믿을만한 사이트의 알림 요청만 허용하셔야 합니다.

바이러스성 광고/오류 해결방법

삼성 인터넷 브라우저 광고 알림 해결방법

우측 하단에 있는 메뉴 버튼을 눌러 설정에 진입합니다.

고급 카테고리 아래 있는 사이트 및 다운로드에 진입합니다.

사이트 카테고리 아래 있는 알림에 진입합니다.

삼성 인터넷 브라우저 광고 알림 해결방법

알림 메뉴에 진입하면 위의 그림과 같이 하루 종일 우리를 괴롭히던 광고와 오류 메시지들이 나타납니다.

이제 우측 상단의 메뉴 버튼을 클릭하여 사이트 허용 또는 차단에 진입합니다.

그리고 우리에게 악성 광고/오류 알림을 보내는 사이트를 찾아 해당 사이트의 알림 허용 체크를 해제합니다.

요약: 메뉴 > 설정 > 사이트 및 다운로드 > 알림 > 우측 상단 메뉴 버튼 > 사이트 허용 또는 차단 > 해당 사이트 체크 해제

이렇게하면 바이러스인줄 알았던 광고 및 오류 메시지들이 더이상 나타나지 않게 됩니다.

바이러스성 광고/오류 근본적으로 예방하기

허용/차단된 사이트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 말씀드린 방법은 악성 알림을 보내는 사이트만 선별하여 차단하는 방법입니다.

우리는 이제 방법을 알아서 사이트 허용 여부를 조심스럽게 결정하게 되겠지만, 자녀 혹은 부모님께서 같은 문제를 겪으시게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녀와 부모님의 스마트폰에서 사이트 허용 기능을 미리 차단 해두어 삼성 인터넷 브라우저가 바이러스 처럼 광고 및 알림을 보내는것을 예방해야겠습니다.

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위의 방법과 같은 단계까지 진입한 후에 사이트 허용 또는 차단 기능을 체크 해제하여 '사용 안 함'으로 해두시면 됩니다.

오늘은 간단한 설정만으로 삼성 인터넷 브라우저가 내뿜던 바이러스성 광고 및 오류 메시지 알림을 차단하고 예방하는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제 짧은 글이 해당 증상으로 고생하시는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하트🧡 한번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