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 덩어리 하혈 - pi deong-eoli hahyeol

상적인 생리의 기준은? ; 월경은 여성건강을 파악하는 중요한 단초가 됩니다. 따라서 평소 정상적인 생리 상태에 대해 잘 숙지하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월경의 평균주기는 21~35일 사이라고 이야기 됩니다. 그리고 생리를 하는 기간은 대개 3~7일 사이이며, 평균적인 양은 30~40ml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약간의 개인적인 차이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한달에생리두번과 같은 부정출혈이 지속되거나 생리혈덩어리가 계속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면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과다월경 중 덩어리진 생리혈이 발견되는 수가 많습니다. 이러한 혈액덩어리가 발생하는 이유는 생리의 양이 너무 급속하게 다량으로 배출되기 때문이죠. 즉, 자궁내막조직을 액화시키는 효소가, 배출되는 내막조직의 양을 따라잡지 못해서 뭉텅이진 채 배출되어버리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생리혈덩어리가 가끔씩 보이는 것은 괜찮지만, 생리과다로 인해 혈액멍울이 계속해서 보인다면 원인을 알아보고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한시간도 안되서 생리대를 교체해야 할 만큼 양이 많거나, 8일 이상 월경을 할 경우, 생리혈덩어리가 수시로 발견되는 증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선 심한 스트레스나 다이어트로 인해 사상하부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 불균형해지는 것을 원인으로 찾을 수 있습니다. 난소의 기능부전으로 인해 배란이 일어나지 않아서 내막조직이 두꺼워지는 것도 이유의 하나로 손꼽을 수 있죠. 한편, 급작스럽게생리의 양이 많아지고 생리혈덩어리가 발견되는 30대 이상의 여성이라면 자궁근종이나 자궁선근증 등의 질환의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과장생리 혹은 과다월경 등으로 인해 발생한 생리혈덩어리의 이유를 알게 되면 그에 맞는 치료를 받게 됩니다. 우선, 대부분의 관련 환자들이 빈혈을 겪고 있기 때문에 철보충제가 처방되죠. 아울러 호르몬불균형 시에는 경구 피임제나 프로게스테론제가 함께 처방될 수 있습니다. 한편, 자궁근종이나 자궁선근종과 같은 이차적 질환이 원인일 때는 하이푸시술 등으로 병변의 제거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간혹 증상을 방치할 경우 난임 등으로 발전될 소지가 있기 때문에 주의를 요하시기 바랍니다.

란기가 되면 여성의 자궁내막은 수정과 착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점차 두꺼워집니다. 하지만 임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탈락이 되어 질 밖으로 배출되며 우리는 이 과정을 월경이라고 칭하죠. 그런데 이러한 월경의 와중에 단순한 혈액이 아닌 생리덩어리혈이 배출되기도 합니다. 생리전 갈색냉 등 또한 종종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기도 하지만, 과장월경이나 생리통 등의 이상증상과 동반해서 발생한다면 자궁질환의 전조로 여길 수 있습니다.

임신에 진입하지 못한 여성의 자궁내막조직은 다음을 기약하며 탈락을 걷브합니다. 이때 신체는 보다 원활한 배출을 위해 항응고물질을 분비해서 자궁내막조직을 액체 상태로 내보내죠. 그런데 자궁질환등으로 인해 월경양이 과도하게 많거나 혹은 혈류의 속도가 매우 빠를 경우에는 항응고물질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게 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덩어리진 월경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죠.

특이사항 없이 드물게 발생하는 생리전 갈색냉, 생리덩어리혈을 큰 문제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생리덩어리혈과 함께 갑작스러운 월경통 혹은 과다생리가 동반을 한다면 자궁질환을 의심해 볼 수 있죠. 대표적인 의심질환으로 손꼽을 수 있는 것은 자궁근종자궁선근증인데요. 두 질환 모두 덩어리진 생리혈을 보일 수 있으며, 과장월경 및 전방위 하복부통증, 배뇨 및 배변 장애 등까지 일으킬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중년 여성에게 주로 나타난다고 알려졌으나 오늘날에는 가임기여성에게도 매우 빈발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죠.

근종이나 선근종으로 비롯된 증상이 간헐적인 생리전 갈색냉, 생리덩어리혈 뿐이라면 반드시 치료를 받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일상을 무너뜨리는 심한 하혈, 월경통 등이 함께 발생한다면 대개 치료를 권장하죠. 또한 위치적으로 나쁘거나 크기가 너무 큰 경우 등의 양상을 보일 경우에도 치료를 권장합니다. 최근에는 별다른 절개 및 마취 없이 간단하게 병변을 없애고 자궁을 보존하는 하이푸시술 등이 보편화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의 부담감도 크지 않은 편입니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