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 무반응 dll - seutim muban-eung dll

레지던트 이블 2 리메이크를 하겠다는 일념 하나로

컴퓨터를 붙잡고 오류 해결에 박차를 가한지

어언 이틀째....

결론부터 말하자면...

'드디어 30분 데모 버전 플레이에 성공했다!!!'

30분 원샷 플레이를 위해

오랜만에 스팀 아이디도 찾고 설치하고

게임까지 다 설치했는데...

실행시키면 동기화 - 실행 중 뜨고 무반응...

그야말로 오류메시지도 없고 그냥 아무 반응이 없음...

저 같은 일 있으신 분들 많으시던데

해결법을 좀 공유해볼까 해요.

아마도 레지던트 이블에만 해당되는 이야기는 아닌 거 같고

다른 게임에서도 같은 오류에 해결방안이지 않을까....

일단 스팀을 실행시킨 후

라이브러리에 들어가면

내가 설치한 게임 목록이 보일 거예요.

그 목록에서 해당 게임에서 오른쪽 버튼 누르면

위에 사진처럼 메뉴가 나오고 거기서 속성 들어갑니다.

그러면 위쪽에 로컬 파일이 보이는데

이거 누르고 하위 메뉴에

로컬 콘텐츠 폴더 보기...를 클릭.

그러면 게임이 깔린 폴더로 가요.

거기서 게임을 실행하는 exe 파일을 실행시키면

아마 그때부턴 어떤 파일이 없어서 실행이 안되는 건지

dll 파일 이름이 뜰 거예요.

그럼 그때

이 사이트로 가셔서 dll 파일을 검색해서 다운로드하고

설치하면 됩니다.

블로그 보면 뭐 win32파일 어쩌고저쩌고 어디에 깔아야 된다

이런 말이 많은데 저는 그냥 그 콘텐츠 파일 내에 아무 데나

깔았어요 그래도 실행되더군요 ㅎㅎ

아마 없는 dll 파일 약 10개 정도 깐 듯 ㅠㅠ

힘든 시간이었는데 결국 실행돼서 눙물이....ㅜㅜ

전 이 이전에 블로그에서 스팀 무반응 쳤을 때 나오는

모든 걸 해봤습니다.

*비주얼 c++ 2015 지우고 다시 깔기.

*스팀이랑 게임 재설치.

*게임 파일 무결성 검사.

*작업관리자에서 스팀 닫고 다시 열기.

*관리자 모드로 실행하기.

*v3 등 백신 프로그램 끄고 실행하기.

등등등... 블라 블라 블라....

하지만 결국 이게 답이었네요.

없는 dll 파일 설치...

전 스팀으로 게임 첨해보고

컴 관련해서 아는 게 많지 않은 사람이므로...

질문 주셔도 답하기 어렵습니다 ㅠㅠ

제 글로 저처럼 고생하시는 분들이 없길 바라며...

레지던트 이블 2 리메이크 30플레이 평을 하자면...

굿굿굿 !!!!! 넘나 재밌음!!!

빨리 사야겠네요 ㅎㅎ

*제 글이 도움 되셨으면 공감 꾹 부탁드립니다 ^^

드디어 말로만 사야지라고 몇년 째 말하던 크로노트리거를 스팀에서 구매했다.

그런데 오버쿡을 실행할때도 문제가 없던게 크로노트리거를 실행하니까

화면에는 아무 것도 안뜨는데(=무반응)

실행중 -> 몇초 뒤 -> 실행하기 라며 튕긴건가 싶은 의문이 들었다.

실행파일 우클릭->속성->호환성->600x480해상도에서 실행 체크하고 실행해보니

게임이 켜짐과 동시에 바로 꺼졌음(=튕김)을 확인했다.

이게 대체 무슨일인지 싶어 리뷰를 보는데 어째 잠잠하다.

나만 그런가 싶어서 어제부터 이곳 저곳을 검색하면서 난리를 쳤다.

그리고 오늘 실행 완료.. 를 해서 해결한 방법을 여기에 적는다.

* 주의사항

그동안 검색했던 글들 생각해보면 아시겠지만,

이 방법을 쓴다고 해서 모든 컴퓨터가 고쳐지는 것은 아닐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막연하게 초기화해라 그런 것들과는 다른 방법이니

조금이라도 도움되셨으면 하는 마음에 여기에 적습니다.

참고: //steamcommunity.com/app/613830/discussions/0/1742227264190489814/

외국 분들이 제시한 해결책을 몇 개 참고하니 해결되었습니다.

영어로 써져있어서 언어 장벽 없으시다면 참고하셔도 좋을 법 합니다.

게임 재설치랑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은 이미 하셨을테니 빼고 시작하겠습니다.

저는 총 3 가지 시도를 했습니다.

1.LIBEGL.DLL 다운받아서(1.0.0.1046) 게임이 설치된 폴더에 넣었습니다.

2. 내장 그래픽과 외장 그래픽의 충돌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고 해서

(크로노트리거 이야기입니다. 다른 게임도 리뷰에 비슷한 말이 있는지 보시길 바랍니다.)

내장그래픽이었던 인텔 그래픽을 사용안함 체크하고 실행한 뒤

에러 창을 확인하고 다시 사용함으로 변경했습니다.

마지막으로 2번 방식대로 하니 실행이 되었던걸 봤을때는

아마도 그래픽카드 두 개가 꼬였는데 여차저차해서 잘 풀린건가 싶습니다.

3. 스팀 폴더에 들어가서 visual C++를 재설치해줬습니다.

이미 해보신 방법도 있으실테니 하나씩 아래에 서술하도록 하겠습니다.

필요한 방법만 찾아서 하시면 됩니다.

1. LIBEGL.DLL 다운받아서(1.0.0.1046) 게임이 설치된 폴더에 넣기

libegl.dll을 찾아서 크로노트리거가 설치되어있던 폴더에 넣으라고 하길래

저는 이 사이트 들어가서 1.0.0.1046 버전 다운받아서

이렇게 폴더 안에 넣어줬습니다.

설치 위치를 모르신다면

라이브러리 - 게임 우클릭 - 관리 - 로컬 파일 보기

로 들어가시거나

게임 우클릭- 속성- 로컬파일 - 로컬 컨텐츠 폴더 보기

의 방법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원래는 저 버전이랑 약간 뒷자리 수가 달랐는데

아무리 봐도 사이트에 그런 버전은 없길래

최대한 이름이 비슷한 것으로 다운받았습니다.

원래는 저 파일이 이미 들어가있는 다른 폴더에서 가져와서 넣는건데

저는 그래도 고쳐지지 않아서 다른 버전으로 새로 받아서 넣었습니다.

바이러스가 걱정되신다면 컴퓨터 내에 있는 파일을 찾아서 복사 후 넣어주세요.

2. 내장 그래픽과 외장 그래픽의 충돌 문제

제가 프리도스 컴퓨터 살 때부터 내장그래픽/ 외장그래픽 충돌 문제로

다른 프로그램도 종종 오류가 생기곤 했습니다.

그래서 설마 이건가 싶었는데 그래픽카드 문제인 경우도 많더라고요.

저는 솔직히 어거지로 해결한 것 같지만

좌측 하단의 검색창에

'장치관리자' 라고 검색하셔서

디스플레이 어댑터를 확인하셔서

내장그래픽에 해당되는 것에 우클릭 후 사용안함을 체크하시고

저같은 경우에는 인텔그래픽이었습니다.

(제거는 절대로 하시면 안됩니다)

다시 게임을 실행하시면

내장 그래픽이 없다고

드디어 처음으로 에러가 뜨는데

다시 사용함으로 바꿔주셔서 실행하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시 원글을 확인해보니, 크로노트리거는 인텔그래픽이 작동해야 실행이 가능했던거라

해제했다가 다시 사용을 체크했을 때 다시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었나 봅니다.

* 혹시 저처럼 프리도스 노트북 (=처음부터 설치 알아서 해야하는 빈 노트북)

이런 분들은 그래픽 카드가 처음부터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저도 한번에 설치해주는 프로그램으로 설치했다가 뭔가 잘못꼬여서

다시 컴퓨터 밀고 공식 홈페이지에서 모델명에 맞는 드라이버 다운받았습니다.

그래픽카드에 관한 오류가 종종 있으셨던 분들은

이 문제를 의심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솔직히 그래픽 카드가 꼬이는 문제들은

올바른 드라이버로 재설치나 사용안함 후 사용으로 다시 전환

이것 말고는 별다른 해결책을 못찾겠더라고요.

3. 스팀 폴더에 들어가서 visual C++를 재설치

처음에 문제가 생겼을 때 제어판에 들어가서 확인해보니

코덱은 시작 시 영상나온다고 누가 깔아보라길래....

지금과 같은 화면은 아니었지만,

게임이 설치될 때 같이 visual C++라는 애들이 몇 개 설치되어있었습니다.

당연히 여기서 문제가 생겼구나 싶어서 찾아보니

제 기준으로 스팀이 설치된 폴더, 즉

C:\Program Files (x86)\Steam\steamapps\common\Steamworks Shared\_CommonRedist\vcredist

vcredist 라는 폴더로 들어가보니

visual C++ 의 여러 버전 설치파일들이 있었습니다.

제어판에 있던 버전을 기억해서 여기서 x64, x86 둘 다 설치해줬습니다.

물론 먼저 프로그램 제거 후 설치해줬습니다.

처음 크로노트리거가 설치되면서 프로그램이 자동 설치되었을 때

2005, 2008, 2010 버전이 설치되었기 때문에

제가 하는 이 게임 기준으로 2005, 2008, 2010을 다시 재설치해줬습니다.

추가로 해봤던 방법

1. 크로노트리거 오프닝에서 동영상이 나오니 코덱이 없으면 설치해봐라

-> K lite mega 코덱 설치했습니다.

2. 게임 제거 후 재설치

-> 정말 많이 해봤습니다.

3. 엔디비아 제어판에서 해상도를 바꿔봐라

가끔 해상도가 맞지 않아 안되는 게임이 있다는 이야기였습니다.

-> 제어판에 들어갔는데 해상도를 조절하는 창 자체가 안떴습니다.

4. 실행파일 우클릭 -> 속성- > 호환성 -> 이 프로그램을 실행할 호환 모드 체크하고

~xp로 바꿔봐라, 윈도우 8로 바꿔서 실행해봐라

->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서 관리자 실행해서 모든 모드를 다 적용해봤는데 실패했습니다.

그래도 이 방법도 자주 제시되는 것을 보면 해결되는 사람도 있나봅니다.

추가로 참고했던 해결책 사진들

처음에 검색했을때는 초기화해라 강종해라 이런 이야기들만 있었는데

자세히 찾아보니 이야기들이 위에서 언급한

C++, 그래픽카드, dll 이런쪽으로 좁혀져서 나왔다.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