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exe 파일 연결 프로그램 - windou10 exe pail yeongyeol peulogeulaem

EXE, MSI, REG, BAT, CMD, COM 및 VBS 확장자를 가진 실행 파일들이 실행이 안되거나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파일 확장자의 연결 오류를 레지스트리 수정으로 정상화시키는 프로그램인 'File extension fixer'를 이용하면 해당 오류를 간단히 수정할 수가 있습니다.

▶ 'File extension fixer' 다운로드 사이트

위 제작사 사이트로 접속해 EXE 파일이 실행이 안되는 경우는 'ExeFixer.com' 파일을 다운로드해 실행하고 타 확장자 실행 파일이 실행 안되는 경우는 'ExeFixer.exe' 파일을 다운로드해 실행하면 됩니다.

직접 다운로드한 'ExeFixer.com' 파일과 'ExeFixer.exe' 파일 2.2 버전을 첨부합니다.

ExeFixer.com

0.55MB

ExeFixer.exe

0.55MB

두 프로그램은 확장자만 다를뿐 프로그램 내용은 동일합니다.

EXE 파일이 실행이 안되는 경우를 예로 다운로드한 'ExeFixer.com' 파일을 실행해 중앙의 'Select extension' 항목에서 실행이 안되는 확장자 EXE를 선택합니다.

EXE 확장자를 선택 후 'Fix selected' 버튼을 클릭합니다.

잠시 후 레지스트리 수정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다는 메시지가 뜨면 'OK'를 클릭해 EXE 파일 연결 오류 수정을 완료합니다.

'Select extension' 항목에서 'All'을 선택하면 EXE, MSI, REG, BAT, CMD, COM 및 VBS 확장자 오류를 모두 수정합니다.

상단의 'Browse...' 버튼을 클릭해 실행이 안되는 파일을 불러와 'Run/Open' 버튼으로 강제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

프로그램의 하단 항목을 통해 윈도우 오류로 레지스트리 편집기나 복구 시스템, 작업 관리자등 윈도우 시스템 프로그램이 열리지 않을 경우 오류를 수정해 해당 항목을 열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Enable and run Task manager' 버튼을 클릭합니다.

윈도우 오류로 열리지 않던 작업 관리자가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복잡한 레지스트리 수정없이 실행 파일 연결 오류나 기타 시스템 프로그램 실행 오류를 수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프로그램입니다.

▶ 윈도우10 문제 해결 프로그램 'FixWin for Windows 10' 한글 사용법

▶ 윈도우10 DISM 을 이용한 윈도우10 시스템 파일 검사와 복구

▶ 최신 게임 무료 다운로드 사이트

▶ exe 파일을 msi 파일로 변환하기 'MSI WRAPPER'

exe 파일 실행 연결프로그램 해결방법

안녕하세요 은듀입니다 ^^

저는 뭔가에 꽂히면 방법을 찾을때까지

파고드는 습관이 있는데요

어제 평화로운 나날에 기분 전환하려고

멜론을 실행하던중 음악이 재생이 안되더라구요

하하하하핫..

아 뭐 그래요! :D

안될때는 깔끔하게 프로그램 삭제하고

다시 재설치하면 그만이죠..

근데 전 삭제하고 다시 프로그램을

설치하는데 앞으로의 일을 예측하지 못한채

멜론을 삭제하게 됩니다...

저는 포스팅하기에 앞서 Windows7을 쓰고있는

사용자이며 멜론을 다운받으려고 합니다.

이 해결방법은 Windows7 사용자라면

보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

위 사진은 프로그램 해결  찍은 캡쳐입니다.

원래는 정상적이라면 이렇게

"다운로드가 완료되었습니다." 떠야 정상입니다.

하지만 전 어제 이게 아닌

다운로드를 받을 수 없다고 합니다?

뭐죠?????

setup.exe 파일인데??

(위사진은 .jpg 파일을 예시용으로 든것입니다.)

이상태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실행이 아닌

exe 파일에 대해 연결프로그램을

연결하라고 합니다.

.exe 파일은 실행파일인데

여기서 뭘 더 연결해라는거야..?!

혹시나 윈도우 업데이트 안해서 그런가 싶어서

제어판으로 가서 윈도우 업데이트 들어가보지만

다른건 멀쩡한데 클릭만 하면 렉이 걸려서

아무것도 안됩니다..

초록창에서 지식인과

통합검색 모든 것을 찾아서 직접 해보는데

근본적으로 해결이 되지 않았으며

어떤 사람은 모든게 다 실행파일로

변환이 되어서 복구방법을 물어보는

상당히 고충이 많았는데요

전 인터넷 아무거나 클릭하는게 아닌지라

액티브 X 파일 자체를 설치하지 않고

프로그램을 설치하더라도 제 컴퓨터에

잡다한거 깔기 싫어하는 성격이라

제휴프로그램 같은 경우는 체크 해제를 하고

설치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저도 모르는 사이에

바이러스에 걸렸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확인부터 해봐야겠죠?

모든분들에게 해당되는 방법일지는 모르겠으나

exe 파일 실행 연결프로그램​ 해결방법입니다.

제일 먼저 고클린이라는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만약 이 프로그램이 없다면 네이버에서

고클린 검색하시면 프로그램을 다운 받을 수 있어요 ^^

​하드디스크 최적화 / 익스플로러 최적화

개인정보 삭제 / 액티브 X 삭제

인터넷이 느려질 때

빨간 네모박스에 있는 것들은

전부 해주시고 시작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V3

백신프로그램을 쓰고 있어요~

뭐가 정확한 문제점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정밀검사를 클릭합니다.

​정밀 검사를 클릭하게 되면

CD는 빼고 나머지 체크하시고

검사 시작합니다.

(정밀이라서 조금 시간 걸립니다.)

​하지만 전 바이러스 검출이

되지 않았다고 뜹니다.

멘붕 오죠?

​다음은  PC 최적화로 가셔서

전체 체크박스를 클릭하신수

최적화 시작을 눌러주세요

최적화가 다되셨다면 아줍니다.

시작을 누르시고 검색하는 곳에 msconfig를 입력하시거나

키보드의 윈도우키 + R

누르시게 되면 실행 창이 하나 뜹니다.

여기서 msconfig 입력하시고 엔터!

제대로 입력하셨다면 시스템 구성이 뜹니다.

여기서 시작프로그램 탭을 클릭하신 후

모두 사용 함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서비스 탭으로 넘어가셔서

왼쪽 하단에 모든 Microsoft 서비스 숨기기

체크박스 체크 꼭 해주시고

모두 사용 안함 눌러주시고

확인을 누릅니다.

컴퓨터가 변경된 설정에 대해서 다시 시작할꺼냐고

물어보는데요 다시 시작이라고 누르시고

재부팅을 합니다. ^^

재부팅으로 하시고 제어판으로 갑니다 ^^

제어판은 시작-제어판

제어판이 뜨면 Windows Update를 클릭하시거나

이렇게 나오지 않고 보기기준이

범주로 표시되어서 나오시는 분들이라면

시스템 보안 - Windows Update 라고 있습니다.

들어오셔서 업데이트 확인 한번 눌러주시고

업데이트가 안된 부분이 있는지 체크해주세요

업데이트하고 재시작 해야한다고 하면

재시작 해주세요 ^^

업데이트를 자주 하셨던 분들이라면

따로 하실껀 없으니 패스합니다~

여기서부터 조금 복잡한데요

이 프로그램은 그 카페에서만 받을 수 있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제가 그림이나 사진을 따로 넣지 않았습니다.

네이버 카페

바이러스 제로시즌 2 카페로 가셔서

악성코드 전용 제거 스크립트 M2K파일을

받으셔야 하는데요

보안 전문 커뮤니티 사이트입니다.

악성코드 연구소 그룹

전용 제거 스크립트 쪽에

보조 악성코드 제거 스크립트 파일을

받으시면 됩니다.

사용방법은 그 카페에 명시가 되어있고

자세하게 설명이 나와있습니다.

실행하고 나면 검사 자동 진행이기 때문에

시간이 조금 걸립니다.

다 하시고 나면 재부팅을 한번 해주세요

메모장을 따로 열어주세요~

공백 구분 없이 그대로 입력해 주시면 되는데요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FileExts\.exe]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FileExts\.exe]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FileExts\.exe\OpenWithList]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Explorer\FileExts\.exe\OpenWithProgids]
"exefile"=hex(0):

라고 입력을 해주세요 영타에 쥐약이시면

스크랩을 하신 후 블로그에서

복사하고 붙여넣기 하셔도 됩니다.

메모장으로 입력을 하신 후

저장하실때 중요한데요

파일이름은 Exe.reg로 입력하신 후

파일형식에서 모든 파일로 변경해주세요

인코딩은 유니코드로 변경하고

C드라이브에 저장해주시면 됩니다!

Windows 작업관리자를 실행시켜야 하는데

Ctrl + Alt + Del키로 가셔서

작업관리자시작을 누르셔도 되고

단축키로 Ctrl + Shift + Esc키를

누르시면 바로 열립니다.

여기서 왼쪽 상단에 파일 - 새작업실행

누르시면 실행창 하나가 뜨는데요

cmd라고 입력하고 엔터 ^^

실행 명령창이 뜨는데요

귀찮아서 단축키 윈도우+R키

cmd 찍고오시면 안됩니다... 

여기서 REG IMPORT C:\Exe.reg

그대로 입력해주시고 엔터를 누르시게 되면

정상적으로 되었다면 확인이 되었다고 뜨거나

실행이 되었다고 뭐라고 뜰껍니다.

하지만 아무것도 뜨지 않는다면

메모장에서 Exe.reg파일 열어서

오타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실행이 되었다고 하거나

확인이 되었다고 블라블라

메시지가 뜬다면 재부팅하세요~

재부팅하시고 파일을 실행시키면

정상적으로 실행이 됩니다.

어쩌면 저한테만 해당되는 경우일지 모르겠지만

혹시나 안되신다면 이렇게 해보세요~ ^^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