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오 미 스마트 싱스 - syao mi seumateu singseu

#스마트싱스(Smartthings)가 국내 출시하면서 할인을 해서 장비를 구매했다.

과심이 가기 시작하면서 장비를 지르고 봤다. 특별히 할 것도 없는데 샀다.

살때 삼성에서 나오는 센서들을 구매를 했으면 좋았을 텐데, 자금이 넉넉하지 않아서 Smartthings hub(스마트싱스 허브)와 스마트 버튼만 구매를했다.

블프가 와서 알리에서 할인을 많이 한다고해서 또 #센서(온습도 센서)와 플러그를 구매를 했다.

정말 아무것도 모르고 그냥 샀다. 그래도 스마트싱스에서 지그비를 지원한다고 해서 센서중에 지그비 지원으로 그래도 구매를 했다.

2주 넘게 걸려서 센서가 왔다.

헨드폰 앱에서 장치 추가를 하려고 하니 제조사가 없다. Aqara라는 제조사도 안나오고 웹에서 검색을 해도 어떻게 하라고 하는지 못찾겠다. #Aqara가 #샤오미에서 나온 건지도 이제서야 알게되었다.

뭐야 이거 이것도 설마 연결할려면 Home Assistant 라는 것을 깔아서 서버를 통해서 연결해야 하나?

설마 지그비 라며.... 그냥 연결되야 되는거 아냐!

뭐야 연결이 안되는겨?

뭐 쫌 알고 샀어야 되는데, ㅜㅜ

그래서 공부했다.

구성

Hub-connected: Smartthings Hub(스마트싱스 허브)

Devices: 스마트 장치들(센서, 등,,.,,,)

(1)SmartThings app: 헨드폰에 설치한 스마트싱스 앱

(2)SmartThings Cloud: 사용자가 Smartthings IDE(스마트싱스 장치통합)를 통해 직접 연결된 장치를 관리

(3)Third-party: 일라이트 라이이트(샤오미 등)를 설치하면 연결하면 일라이트 사이트에 등 정보를 등록하고 스마트싱스에서 일라이트 사이트의 정보를 읽어와서 스마트싱스 앱에서 등을 관리할 수 있는 것 처럼 외부 사이트를 통해서 연동하는 경우

우리집에는

가) 스마트싱스 허브 1개

나) 스마트싱스 스마트 버튼 1개

다) 샤오미 천장 등 1개

라) 샤오미 Aqara 온도센서 2개

가)는 장비 인터넷 연결해서 잘 연결 되었다. 그냥 잘 연결됨. 헨펀으로 외부에서 장비 확인이 됨.

나) 같은 제조사에서 나온 제품이람 바로 연결됨

다) 샤오미 천장 등은 스마트싱스 허브에 다이렉트(직접, 바로) 연결 안됨, 그래서 일라이트 사이트에 등록하고 스마트싱스 스마트폰 앱에서 일라이트 사이트 연결해서 등록된 장비 목록을 가지고 올 수 있었음(처음에는 스마트싱스 앱에서 관리가 되었지만 장비가 몇번 전원이 내려간 이후 연동이 끓어짐, 일라이트 앱에서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만 스마트싱스 앱에서 장비가 꺼진 상태로 보임)

라) Aqara 온도센서 Direct-connected 연결

스마트싱스 Direct-connected

직접 연결하기 위해서는 스마트싱스앱 장치추가에서 제조사 조회가 되는게 간단하다. 혹시나 조회 안되는 장비를 샀다면 장치연결을 위한 설명(헨들러)를 등록해주면 장비를 추가 할 수 있다. 헨들러 등록 및 관리는 SmartThings IDE(integrate devices) 사이트에서 관리 할 수 있다.

메뉴:

1)My Locations

2)My Hubs

3)My Devices

4)My SmartApps

5)My Device Handlers

1), 2)는 스마트싱스 허브를 설치하면 등록되어있다. 1),2)에서 해당 관리하려고 하는 허브를 선택해주면 3)번의 장치들의 목록을 확인 할 수 있다.

4)SmartApps는 장치들을 자동화 시켜서 움직이는 프로그램을 할 수 있은 것으로 보인다.

5) Device Handlers(장치 헨들러)

Handler는 정보 제공 및 수신과 관련된 규정에 따라 교류를 도와주는 사람이다. 스마트 장치들과 허브가 정보를 잘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중간에서 정보에 대한 정의를 가지고 있는 것이 헨들러 이다. 헨들러의 정보는 코드 를 입력하거나 GitHub를 연동해서 등록할 수 있다. GitHub를 이용하면 업데이트의 편의성이 있다.

샤오미 Aqara 센서 헨들러는 유투버를 통해서 알게된 (author:bspranger, namespace:bspranger, Github repository:xiaomi)를 이용했다.

헨들러에서 해당 헨들러를 등록하고 센서의 초기화 버튼을 누르니 헨드폰 스마트싱스 앱 장치 목록에서 장비를 조회할 수 있었다.

#언양불고기는 #언양한우불고기에서 함 드셔보세요.

052-262-0376

IoT 기기의 제어를 위해서는 전용 앱이 필요하다. 기기를 켜거나 끄는 것은 물론, 배터리, 와이파이 연결 여부 등 제품의 상태를 앱을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소수의 IoT 기기를 제공하는 회사라면 IoT 앱의 확장성을 크게 고민하지 않아도 괜찮다. 하지만 여러 종류의 가전기기를 공급하는 회사들은 여러 앱이 아니라, 하나의 플랫폼을 제공해 복수의 기기를 하나의 앱에서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우리나라의 양대 가전 기업인 ‘삼성전자’와 ‘LG전자’, 그리고 세상 모든 것을 스마트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샤오미’를 들 수 있다.

서비스는 많아도 눈에 띄는 것은 '삼엘샤'

▲ 왼쪽부터 삼성 스마트싱스, LG ThinQ, 샤오미 미홈 로고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Smart Things)’, LG전자는 ‘씽큐(ThinQ)’, 그리고 샤오미는 ‘미홈(Mi Home)’이라는 이름으로 IoT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여러 대의 IoT 단말기를 하나의 앱에 등록할 수 있으며, 또 제어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는 일종의 앱이다. 각 앱마다 지원되는 기기들은 패키지, 본체 등에 표기돼 있으며, 앱을 실행할 시 지원되는 기기를 자동으로 표시해 주기도 한다. 최근 출시되는 삼성전자, LG전자, 그리고 샤오미의 프리미엄 가전기기들은 대부분 자사의 IoT 앱과 연동된다.

▲ 왼쪽부터 애플 홈킷, 구글 홈, 아마존 알렉사 로고

IoT 앱으로 위와 유사한 형태의 플랫폼으로 애플 홈킷, 구글 홈, 아마존 알렉사 등을 들 수 있다. 이 앱들은 공개된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를 탑재하고 플랫폼사의 인증을 받은 제품이라면 어떤 제품이건 등록될 수 있다. 삼성전자, LG전자, 샤오미의 제품 일부도 애플이나 구글의 IoT 앱을 지원한다. 하지만 특히 국내의 경우, 애플, 구글, 아마존 등 오픈된 IoT 플랫폼이 지원되는 가전제품의 수가 지극히 한정돼 있다는 점에 주의가 필요하다. 스마트홈을 구축하는 데에는 스마트싱스, 씽큐, 혹은 미홈 지원 기기로 스마트 디바이스를 갖춰나가는 편이 훨씬 쉬울 것이다.

스마트싱스는 삼성전자가 운영하는 사물 인터넷 플랫폼이다. 반드시 삼성전자의 제품만 이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제품에 따라 삼성전자의 제품이 아님에도 스마트싱스가 지원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샤오미의 미홈 또한 마찬가지로, 샤오미의 제품이 아니더라도 샤오미 생태계에 속한 제품들을 폭넓게 지원한다. LG전자의 씽큐는 이와는 조금 다른데, 오픈된 플랫폼이 아니라 오로지 LG전자의 IoT 제품들만 지원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삼성전자 ‘SmartThings로 완성되는 진정한 스마트홈

<이미지 출처 : 삼성전자 홈페이지>

삼성전자의 스마트싱스는 100여 곳의 파트너사 제품을 포함해 스마트폰, TV, 가전 등 5천 개 이상의 기기를 연결할 수 있다. 지원되는 기기의 폭이 넓은 것은 삼성전자가 다른 제조사들의 IoT 기기와 호환되도록 하는 ‘WWST(Works With SmartThings)’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덕이다. 그렇기에 스마트싱스 호환 기기는 패키지나 제품 본체 등에 인쇄된 WWST 배지를 통해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앱에서 지원여부를 조회하는 것도 가능하다. 앱을 실행한 뒤에 홈 화면 하단에서 ‘기기’와 ‘추가’를 선택한 후, 모델명을 검색하면 알 수 있다. 또한 삼성전자 홈페이지에서도 스마트싱스 지원기기 목록을 제공하고 있으니, 제품 구매 전에 모델명 검색을 통해 알아볼 수도 있다.

삼성전자 김치플러스 스탠드형 아띠

1,459,740

삼성전자의 김치냉장고 제품인 ‘김치플러스 아띠’는 스마트싱스를 지원하는 대표적인 냉장고 제품으로 소개할 수 있다. 칸별 보관 모드의 확인과 변경을 앱을 통해 제어할 수 있으며, 에너지 모니터 기능으로 전기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각 김치통의 내용물과 보관 날짜를 메모할 수 있어 편리하며, 제품에 이상이 발생하면 원인을 쉽게 파악해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다.

삼성전자 비스포크 큐커 멀티오븐

346,740

홈쿡 열풍이 불면서 최근 많은 이들이 찾는 멀티오븐에서도 스마트싱스를 지원하는 IoT 제품을 찾아볼 수 있다. 비스포크 브랜드의 멀티오븐이 바로 그것이다. 이 제품은 앱을 통해 스마트싱스 쿠킹 서비스를 통해 레시피 검색부터 간편식 구매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한다. 취향과 입맛에 따라 인공지능이 추천하는 레시피로 요리를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삼성전자 뉴트리불렛 블렌더 창문형 에어컨

726,310

여름철이 다가오면서 에어컨을 장만하고자 하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기왕 구해야 하는 에어컨, IoT 지원 제품으로 마련해 보는 건 어떨까. 삼성전자 뉴트리불렛 블렌더 창문형 에어컨은 언제 어디서나 앱을 통해 켜거나 끌 수 있으며, 온도와 바람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에어컨 사용 현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원하는 실내 온도와 기간을 정해두면 엘컴 쿨링 & 어웨이 케어 메시지를 자동으로 받아볼 수 있다.

LG ThinQ로 당신의 일상을 더 편리하게

<이미지 출처 : LG전자 홈페이지>

LG전자의 인공지능은 실로 방대하게 적용되고 있다. LG전자는 씽큐 스마트홈 앱을 통해 ‘F.U.N 경험’을 제공할 것을 표방하고 있다. F.U.N 경험은 ‘한발 앞선(First)’, ‘독특한(Unique)’, ‘누구도 생각하지 못한(New)’ 경험을 이야기한다. 2017년 12월 20일 회사가 발표한 인공지능 기술 브랜드로, ‘LG 씽큐 앱’이라는 이름의 플랫폼이 되는 앱을 통해 IoT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지원기기 목록은 앱 또는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가전기기 제품명에 씽큐가 기재된 경우는 IoT 앱 지원을 100% 확신해도 좋다.

LG 디오스 인덕션 전기레인지

1,146,250

3,300W의 초고화력, 17종의 안전장치를 가진 LG전자의 디오스 인덕션 전기레인지는 IoT 기능을 지원한다. 인덕션의 화구 사용 이력을 앱을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전원은 물론 화구를 앱을 통해 켜고 끌 수 있다. 화력을 앱으로 조절할 수도 있으며, 타이머 조절 또한 지원된다. 스마트폰으로 화구의 상태와 잠금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으므로, 자주 무언가를 깜빡한다면 안전을 위해 이 제품의 구매를 고려하는 것도 좋은 선택이 될 것이다.

LG 오브제컬렉션 코드제로 ThinQ A9S

951,950

깔끔한 디자인에 진보된 성능을 갖춘 LG전자의 무선청소기 제품도 IoT 기능을 갖추고 있다. 올인원타워를 갖춰 충전과 보관은 물론 먼지 비움까지 가능한 코드제로 A9S가 대표적인 사례다. LG 씽큐 앱으로 이 제품을 등록하면 청소 이력 모니터링 그래프, 모터와 배터리 또는 필터 등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진단, 제품 충전 상태, 필터 청소 가이드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LG 트롬 ThinQ F24VDLD

1,116,240

제품명에 ThinQ가 붙어있으니, 당연히 ‘LG 트롬 ThinQ’도 IoT를 지원하는 가전일 것이다. 이 제품은 인공지능 DD 기술로 다양한 세탁물의 무게와 부드러움을 감지해, 세탁물에 맞는 세탁 패턴으로 맞춤 세탁하는 드럼세탁기다. LG 씽큐 앱과 연동하면 세탁이 끝날 경우 그 정보를 건조기에 전달해, 건조기가 자동으로 건조 코스를 설정하는 ‘스마트 페어링’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대륙의 스마트홈은 역시 샤오미 ‘미홈’

<이미지 출처 : Xiaomi 홈페이지>

샤오미 브랜드로 나오는 제품은 이루 셀 수 없을 정도다. 우리나라에서는 IoT의 대명사로 알려진 샤오미지만, 샤오미의 모든 제품이 이들의 IoT 플랫폼과 연동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IoT 허브가 되는 앱인 ‘미홈’은 연결할 수 있는 제품이 한정돼 있다. CCTV, 공기청정기, 로봇청소기 등으로 제품군이 한정돼 있어, 자사 가전제품 전반이 폭넓게 연동되는 삼성전자와 LG전자와는 활용처가 다소 다르다. 중국에서라면 상황은 다르겠지만, 최소한 우리나라에서라면 이 앱 하나로 통합 IoT 환경을 구축하는 것은 힘들 것이다. 한편, 대부분의 미홈 지원 샤오미 제품은 앱에 제품을 등록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는 구조라는 점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샤오미 Mi 360도 홈카메라

38,530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이들에게 홈카메라(CCTV)는 필수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샤오미 브랜드로 출시되는 ‘미 360도 홈카메라’는 FHD 화질을 지원하며 360도로 회전하는 CCTV 제품이다. 이 제품은 구글, 아마존 등의 앱과도 연동되지만, 기본적으로 모든 동작은 미홈으로 제어하고 확인해야 한다. 미홈 앱으로 CCTV의 화질, 각도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실시간 영상을 열람할 수 있다.

샤오미 로이드미 이브 플러스

442,670

로봇청소기 분야에서 샤오미 브랜드로 판매되는 제품은 뛰어난 가성비를 인정받고 있다. 최근 출시된 ‘로이드미 이브 플러스’는 18개의 LDS와 ToF 센서를 장착한 제품으로, 장애물 인지능력이 월등히 향상된 로봇청소기로 꼽힌다. 이 제품을 미홈 앱과 연동하면 로봇청소기가 다니는 청소구역을 지도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앱을 통해 로봇청소기가 가지 않아도 되는 영역을 지정할 수도 있다.

샤오미 미에어 4 프로

200,500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여하간 올해 봄은 여느 때와는 달리 맑은 날이 이어졌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매일이 항상 청명한 것은 아니다. 어김없이 미세먼지가 극성인 때가 곧 찾아올 것이며, 그때는 샤오미의 IoT 기능을 지원하는 공기청정기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필터 수명이 더 길어진 ‘샤오미 미에어 4 프로’는 미홈 앱과 연동해, 실외에서도 제품을 켜고 끌 수 있으며 실내 공기질을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앱을 통해 제품의 필터 상태와 남은 수명을 확인할 수도 있다.

기획, 편집 / 다나와 정도일

글 / 최덕수

(c)가격비교를 넘어 가치쇼핑으로, 다나와(www.danawa.com)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