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공모전 수상작 PDF - geonchug gongmojeon susangjag PDF

전남 광주 북구에는 식민시대의 아픔이 녹아있는 공간이 있다. 바로 ‘전남, 일신방직 공장’이다. 1920~30년대 무렵 일제는 수탈의 한 수단으로 방직산업을 공격적으로 전개했고, 그로 인해 한반도 곳곳에는 방직공장들이 들어서게 됐다. 광주도 예외는 아니었다. 면화 생산과 노동력 확보가 용이하다는 이유로 특히나 방직공장의 적지로 꼽혔다. 무려 4천 명에 이르는 노동자가 주야 12시간 2교대로 조업을 했을 정도니 그 규모를 짐작할 만 하다. 실제로 10만평에 달하는 부지에는 공장 뿐 아니라 기숙사, 사택, 교육시설, 의료시설, 교회 등, 산업공동체라 할 만큼의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이렇듯 높은 생산성과 시설 덕분에 해방 이후에는 광주 전남지역 산업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하게 됐지만, 그래도 여전히 이곳은 일제 치하의 고단했던 삶이 녹아있는 아픈 손가락이다.

이러한 애증의 공간을 도시·건축적 측면에서 바라보고 그 의미를 되새겨보기 위한 공모전이 개최됐다. 근대도시건축연구회(회장 안창모경기대학교)와 새건축사협의회(회장 박인수파크이즈건축사사무소)가 공동 주최하는 ‘근대건축공모전’으로, 매년 학생과 젊은 건축인을 대상으로, 근대건축자산의 보존과 활용 방법, 나아가 최근의 사회적 화두인 도시재생에 관한 실천적 해법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지난 3월 시작된 올해의 공모 주제는 ‘전남, 일신방직 부지의 근대적 가치와 새로운 도시재생의 방향’. 도심과 광주천 인근에 위치한 거대한 시설군의 도시적 맥락과, 이제는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없는 1930년대 산업시설의 건축적 가치에 주목하여, 새로운 대안을 제시해 보자는 것이다.

올해 공모에도 100여 팀의 학생 및 젊은 건축가들이 공모에 참여하여, 오늘의 우리가 존재할 수 있는 근거였고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유산의 의미를 되짚었다. 7인의 심사진(조병수BCHO건축, 유나경PMA도시환경연구소, 김정수런던시티대학 도시건축정책연구소, 조재원공일스튜디오, 조정구구가건축, 이현조리가온건축, 국토부건축문화경관과장)은 6월 12일 열린 심사를 통해 대상 2작, 특별상 1작, 우수상 2작, 특선 8작, 입선 19작이 최종 수상작으로 선정했다.

영예의 대상은 김병수, 이민혁, 이준희 팀의 ‘흔적을 관하여 통하다’와 장영준, 이태룡, 조명훈 팀의 ‘실을만들던공장에서문화를만드는광장으로=일신방직광장’에 돌아갔다. 김병수 팀은 도시적 차원에서 재생과 활성화에 대한 최적의 해법을 제시하여 국토부장관상을 수상했으며, 장영준 팀은 건축물의 역사적 유산적 가치 보존을 위한 최적의 해법을 제시하여 문화재청장상을 수상했다.  

심사진은 금년 출품작은 “도시스케일의 아이디어에서만 그치지 않고 구체적으로 좋은 디테일, 기존 구조물의 흥미로운 활용 등 적절히 건축적으로도 잘 해결한 안들이 돋보였다며, 특히 중앙부의 상당부분을 비우며 전체단지를 재조직하는 아이디어는 도시설계를 공부하고 그간 여러 재생건축을 고민해온 건축가로서도 생각지 못했던 훌륭한 방법”이었다고 평가했다. 자료제공 / 근대도시건축연구회

대상 (국토부장관상)
흔적을 관(貫)하여 통(通)하다 _ 김병수+이민혁+이준희(광운대학교)

대상 (문화재청장상)
실을만들던공장에서문화를만드는광장으로=일신방직광장 _ 장영준+이태룡+조명훈(부경대학교)

특별상 (광주광역시장상)
생산의 연속: 예술생산 도시 _ 이종평(홍익대학교)

연관 키워드
  • 공모전
  • 근대건축

Toplist

최신 우편물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