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살 연봉 6000 - 30sal yeonbong 6000

첫 직장을 구하거나 어느 정도 나이가 들면 현재 내가 받고 있는 연봉이 적정 수준인가 궁금할 때가 있는데 인터넷에 올라온 연봉 후기를 보면 자괴감이 들 때가 있다.

글쓴이는 최근(35살) 삼성전자 협력업체 직원으로 입사해서 연 2800만 원(성과급 제외) 정도를 받고 있는데 이 정도면 어느 수준인지 궁금해진다.

참고로 글쓴이는 87년생으로 2년제 대학교를 졸업하고 첫 직장을 구했으며 24살에 유플러스 사무직으로 입사 연봉 3000만 원 정도를 받았다.

이후 4년제 대학교를 편입했으며 중소기업 영업사원으로 이직 연봉 2600~2700만 원 정도를 수령한 다음 27세부터 지금까지 사업을 시작해서 말아먹게 된다.

당시 대기업에 입사한 친구들은 3~4천만 원 정도를 수령했으며 글쓴이의 24~30대 구간의 평균 연봉을 따지면 2800만 원 수준으로 볼 수 있다.

1. 30대 평균 연봉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글을 보면 중소기업 기준으로 나이 x120을 하면 평균 연봉이 나온다고 하는데 30세를 기준으로 했을 때 3600만 원이 평균 연봉이 된다.

40×120을 하면 4800만 원이 평균 연봉이 나오지만 하위그룹과 상위그룹의 중간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중위값은 그 이하가 맞다고 생각한다.

주변에 중소기업/중견기업/대기업에 다니는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중소기업을 꾸준히 다녔다면 못 받아도 3천만 원 초반, 대기업은 1억을 넘기기도 한다.

여기서 자리를 잡지 못하고 최근 직장을 구한 친구는 생산직으로 입사해서 잔업을 제외한 하루 9시간 근무를 기준 2600만 원의 연봉을 수령하고 있다.

다만 포괄임금제로 계약한 분들은 잔업수당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 일하는 시간과 연봉을 계산할 필요가 있으며 업무 강도에 따른 차이도 존재한다.

신입으로 입사하지 않고 꾸준히 한 직장에 다녔을 때 30대에 받을 수 있는 최소 연봉은 2500만 원 이상, 최대 연봉은 1억 이상으로 볼 수 있다.

2. 평균이 높은 이유

연간 6~7천만 원 이상의 소득을 올리는 사람은 직장인 10% 수준이라고 한다.

인터넷에 연봉 정보를 검색하면 대부분 5천만 원 이상을 받는다고 하는데 자랑을 하려고 올리거나 자존심을 위해 높게 부르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평균값이 높아진다.

본인은 3천만 원 정도를 받고 있지만 남들은 1억을 받는다고 댓글을 달면 자격지심이 생기기 때문에 굳이 연봉을 공개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대기업 평균 연봉 (내외)

  • LG전자 : 5천만 원
  • 아시아나항공 : 5천만 원
  • 엔씨소프트 : 6천만 원
  • 현대자동차 : 6천만 원
  • SK플래닛 : 6천만 원
  • 두산인프라코어 : 6천만 원
  • 한국전력공사 : 6천만 원
  • LG화학 : 7천만 원
  • 포스코 : 7천만 원
  • 대우건설 : 7천만 원
  • 하이닉스 : 7천만 원
  • 현대케피코 : 7천만 원
  • 카카오 : 7천만 원
  • 교보생명 : 7천만 원
  • 네이버 : 7천만 원
  • 삼성물산 : 7천만 원
  • SK C&C : 7천만 원
  • 대우증권 : 7천만 원
  • SK텔레콤 : 7천만 원
  • 국민은행 : 7천만 원
  • 삼성전자 : 8천만 원
  • 금호석유 : 8천만 원

대기업에 다니는 30~39세 직장인이 공개한 연봉으로 부서나 직급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성과급이 포함되면 억대 연봉을 받기도 한다.

중소기업에 입사한 분들은 10년 정도 지나도 4천만 원을 넘기지도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대기업 연봉과 비교하면 기분만 우울해질 뿐이다.

3. 중소기업 평균연봉

대기업에 다니는 30대 분들이 연간 평균 6~7천만 원을 수령하는 반면 연령별 평균 연봉을 보면 30~39세까지 약 4500만 원을 받는다고 한다.

30살 연봉 6000 - 30sal yeonbong 6000

하지만 중소기업에서 10년을 일해도 4500만 원을 넘기지 못하는 경우도 많고 하위 연봉을 받는 분들도 계시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50%의 사람들은 4천만 원 미만을 받는다.

포괄적으로 중소기업에 다니는 분들의 월급을 책정했을 때 세전 300만 원을 넘기지 못하는 분들도 많기 때문에 연봉 3500만 원 정도면 무난한 수준이라고 생각한다.

실제 중소기업을 다니는 30대 분들은 3천만 원 ~ 4천만 원 사이로 수령하는 분들이 많은 편이며 40대 초반에 3500만 원 미만으로 연봉을 받으면 하위권으로 볼 수 있다.

남자의 경우 군대를 전역하고 대학교를 졸업하면 24~26세 정도가 되는데 신입으로 3천만 원 이상을 받고 입사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있을까?

글쓴이가 과거에 잠시 다니던 회사에 10년 차 과장이 3천만 원 정도를 받았는데 칼퇴근도 못하고 하위 연봉을 받고 있다면 이직을 고려해 보자.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정년퇴임할 때까지 5천만 원의 연봉을 수령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이상을 받으면서 조금 받는다고 징징거리는 글이 없었으면 좋겠다.


  • 고용노동부 임금직무정보시스템

글쓴이 기준으로 중소기업을 다니면서 30세 초반에 3천, 중반에 3천5백, 후반에 4천만 원 정도를 받는다면 워라벨에 따라서 나쁘지 않은 연봉이라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중견 기업은 500, 대기업은 1000만 원 정도를 추가하면 될 것 같은데 본인의 급여가 낮다고 자괴감을 느끼지 말고 힘내서 몸값을 키우는 분들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정장을 입고 다니는 사무직에서만 일을 했지만 20대 시절로 돌아가면 정신적 스트레스가 덜하고 급여도 높은 대기업 생산직을 지원할 것 같네요

Date 19/04/21 23:38:51
Name   [익명]
Subject   보통 삼십대 중반 남자 소득이 어떻게 되나요??

https://redtea.kr/qna/6992

전 자영업자고 주위 친구들도 다 비슷비슷한데 소득 자체는 제가 가장 많습니다.
그래서 식사초대도 제가 제일 많이하고 밥도 많이사고 술도 많이 사는데 전 애가 있고 다른 친구들은 없어요.
나이는 삼십중반인데 다들 저보고 제가 제일 여유있어 보인다 부럽다 이런소리 합니다.
애 없는게 얼마나 자유도 높고 돈 안드는줄 모르고 저런소리 하면 짜증납니다.
툭 까놓고 전 월 최저 300 최대 700정도 벌고 년으로 따지면 실수령 5500~6000정도 나오는데요.  외벌이구요.
진짜 친구들한테 저런소리 들을만큼 잘버는건가요?
홍차넷은 법조계 의료계 고학력분들이 많아서 이정도는 명함도 못내밀거 같거든요....
솔직히 소득 개념이 없어요.
제가 보는 소득표는 전연령 대상이고 삼사십대 소득은 없으니까요..
대기업 다니면 제나이에 연봉 칠천은 된다는 이야기도 들었구요..
시골 살아서 비교대상이 별로 없어서 여쭤봅니다.

0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인터넷이니까 허풍도 많고 .. 무슨 다들 연봉이 기본 4천이상이야;; 

아니면 정말 연봉 높은사람들만 글을 적는건지..

현재하고 있는일이 복지쪽인데

한달에 220만원정도 받는데 그 금액 말고는 성과금도 없고 야근도전혀없어서 수당도없고.. (뭐야근한다고해도 수당 안나오겠지만) 

나이가 31살인데 이돈이 많다면 많고 적다면 적은데 참.. 슬프다

다들 얼마정도 받는지 궁금하다. 솔직하게

  • 이 게시물을...

75개의 댓글

28/지방4년/26살 취업/ 초봉2900/실수령 220~240/ 인센.성과X /6시 칼퇴 곧있음 연봉협상인데 우리회사는 통상4%

0

28/서카포 공대/26취업/초봉7000/연봉인상폭은 고과에 따라 4-10%

0

34/지방대/연봉 6000/워라벨 좋음, 자율출퇴근/인센 제외

0

30 편집디자이너 4년차 실수령 220 성과금 인센 이딴거 없음 학자금 갚는중이라 모은돈 0

내 인생은 언제 피려나

0

국숭세단/중소/성과급포함/출장 월 2회

30 / 2700

31 / 3200

32 / 3900

33 / 4300

0

@df845163

무슨직업인지 여쭤봐도 되나요??

0

27 첫직장 성과금 제외 3400

이직하고 지금 31 성과금 제외 4100

인서울 중하위권 공대 / 직종은 기술영업

0

33/ 3800받고 근근하게 살고있읍니다.. 돈이 모잘라 ㅠㅠㅠㅠ

0

27 / 대위 2호봉 / 세전 4300(상여금 포함)

초과근무 한달에 5시간도 안함

0

30 외국계se 해외출장or자택근무 세후 월 400~500

0

30 / 27취업(석사) 병특으로 출연연 연구직 4년차 / 수당+기술이전 포함 / 2019년 원천징수 기준 6900

0

29/대학병원인턴의사/세후400/주108시간근무

최저시급 8350원 받는 중

0

29/중소기업 사무, 현장 4년차/세후 월220/주 50~70시간 근무

0

이미지는 못올리네. 33살 8년차 게임 기획자 세전 5500 + 복지비240 성과급 없다.

0

https://www.dogdrip.net/228331326

개드립 평균 연봉 분석

0

30살 연봉 6000 - 30sal yeonbong 6000

개드립

도적이 되고 싶은 자는 나에게...gif

30살 연봉 6000 - 30sal yeonbong 6000

30살 연봉 6000 - 30sal yeonbong 6000

30살 연봉 6000 - 30sal yeonbong 6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