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5 ABC 임펄스 - 535 ABC impeolseu

엘리엇 파동 기본 규칙 3가지

엘리엇 파동이론은 시장에서 반복되는 사람들의 투자 심리에서 일정한 규칙을 수치화한 것이다. 기본적인 원칙은 가격 움직임이 추세(impulsive, 또는 momentum)와 조정(correction), 와 조정(correction), 그 사이의 끝없는 교대를 통해 전개된다는 점이고, 동시에 상대적인 시간 척도(프랙탈)에도 이 효과가 드러난다는 것이다. 엘리엇 파동에는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1. 상승파동(Impulsive) 2. 조정파동(Corrective) 

큰 틀에서 2가지 파동이 교대로 나와 엘리엇 파동을 그리는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상승파동에 대한 내용이다. 엘리어트 파동에서 임펄스 5 파동에는 3가지의 규칙이 있다. 이 규칙을 어긴 파동은 임펄스 파동이 아닌 ABC파동으로 카운팅 하는 것이 맞다. 3가지 규칙은 다음과 같다.

1) 2파는 1파의 100% 이상을 되돌리지 않는다.


2) 3파는 세 가지 임펄스 파동, 즉 1, 3, 5파 중에 가장 짧을 수 없다.

3) 4파의 저점은 1파의 고점과 겹치지 않는다.

위의 3가지 규칙은 임펄스 파동에서 무조건 지켜야 되는 규칙이다.

피보나치를 활용한 임펄스 작도

임펄스 파동 카운팅 시 피보나치 작도를 통해 검증하는 것이 좋다. 임펄스 파동 5파에서는 

1 파동에서 2 파동의 확장 피보나치를 작도하면 1.618구간에 3파가 위치한다.

1 파부터 5파까지를 피보나치로 작도하면 조정 4파의 저점이 0.382구간에서 지지후 반등이 이루어진다.

임펄스 파동에서도 확정이 없는 파동과 확장 임펄스로 나뉘다. 보통은 확장이 나오지 않지만 간혹 파동이 확장되는 경우가 있다. 확장은 1파, 3파, 5파에서 나온다.

1파가 연장이 되면 5파가 짧게 나오고 5파가 연장이되면 1파가 짧게 나온다.

지금까지는 임펄스 파동의 기본 규칙을 보았다. 이제부터는 더 세부적인 임펄스 파동의 규칙을 보도록 하자.

임펄스 파동 세부 규칙

임펄스 파동에는 5개의 세부 파동이 있다. 1, 3, 5파는 상승파동 / 2, 5파는 조정파동이다. 이것이 기본 구성이며, 지금부터는 세부 규칙을 보도록 하겠다. 

1) 1파와 5파는 Impulse 혹은 Diagonal 형태가 나온다.

2) 3파는 항상 Impulse 형태이다. (즉, 3파는 Diagonal이 될 수 없음)

3) 2파는 triangle을 제외한 모든 조정 패턴이 올 수 있다. (그러나 triangle로 끝나는 복합 조정(WXY 또는 WXYZ)은 가능)

4) 4파 조정 패턴은 어떤 형태도 가능하다.

5) 2파와 4파는 서로 교대하는 경향이 있다.

6) 2파 되돌림 비율이, 4파 되돌림보다 보통 더 크다.

7)  2파는 단순한 조정 패턴이 더 많이 등장한다. (예: Zigzag 또는 이중/삼중 Zigza)

8)  4파는 복잡 조정 패턴이 더 많이 등장한다. (예: Triangle, double/triple three, Flat)

9)   대부분의 Impulse에서 1, 3, 5파 중 하나가 확장되며, 3파가 확장될 확률이 가장 높다.

10) [절단] 5파는 3파를 넘어가지 못할 수 있다.

11)  3파가 확장되지 않으면, 5파는 Diagonal을 형성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12)  Impulse는 모든 하위 파동이 끝날 때까지 끝난 것이 아니다.(예: 5의 5의 5파가 겹치는 경우)

13) 보통 3파에서 가장 큰 거래량을 동반한다. 5파의 거래량이 3파 때만큼 높다면 확장된 5파를 예상할 수 있다.

[바이비트] 수수료 할인 가능한 링크주소입니다.

링크로 접속하셔서 가입하시면 수수료 항인이 적용됩니다.

https://m.mexc.com/auth/signup?inviteCode=1HX7E

[바이비트] 수수료 할인 가능한 링크주소입니다.

링크로 접속하셔서 가입하시면 수수료 항인이 적용됩니다.

https://www.bybit.com/en-US/invite?ref=BM1JO9

[바이낸스] 수수료 10% 할인 가능한 링크주소입니다.
링크로 접속하셔서 가입하시면 수수료 할인 적용됩니다.
https://www.binance.com/en/futures/ref/170997557

535 ABC 임펄스 - 535 ABC impeolseu

Source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트에서 엘리어트 파동 상승 5파의 확장과 변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상승파동 전체를 조정하는 하락 3파의 형태에 관한 포스팅입니다 그리고 방금 일본과의 준결승전을 마친 한국 여자 컬링 대표 선수들의 감동적인 우승을 축하드립니다 🎉

Elliott Wave: 조정파의 형태 📈


주식시장의 움직임은 어떤 위치에서나 그 위치보다는 한 단계 더 큰 추세로 움직이려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나 조정파동은 추세방향으로 움직이는 추진파보다 분명하지 않아 파악하거나 예상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더욱 신중하게 엘리어트 파동이론을 사용해야 한다

조정파동은 펼쳐지는 상황에 따라 조정의 정도를 복잡하게 늘리거나 줄이거나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같은 등급(기간)의 파동에서도 조정의 크기에 따라 등급(기간)을 연장하거나 단축하거나 한다 조정패턴에서 가장 중요한 법칙은 조정은 결코 5개의 파동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오직 충격파동만이 5개가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최초의 5개 파동은 조정의 끝이 아니라 조정의 일부로서 조정이 진행 중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fig. 1)

535 ABC 임펄스 - 535 ABC impeolseu

1. 지그재그형


지그재그형(Zig-Zags)은 5-3-5파로 이어져 주추세에 반대로 움직인다 B파는 A파의 시작점에 못 미치고 C파는 A파의 끝을 넘어서 형성된다(fig. 2) 보다 큰 조정패턴에서는 2중 지그재그형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fig. 3)

535 ABC 임펄스 - 535 ABC impeolseu


535 ABC 임펄스 - 535 ABC impeolseu

2. 플랫(Flats)형


플랫형은 3-3-5파의 형태를 갖으며, 밀집국면에 가까운 모양으로 그만큼 상승세나 하락세가 강할 때 나타나게 된다 즉 B파가 A파의 시작점까지 도달하도록 현재 추세방향의 움직임이 강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파 또한 A파 부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끝나게 된다

봉차트의 밀집도:
과거 주가의 출렁거림이 지속되다가 어느 시점(5일 이상)부터 일정가격대에서 봉차트가 밀집되어 있다면 이는 향후 주가의 커다란 변곡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535 ABC 임펄스 - 535 ABC impeolseu

2-1 플랫형의 불규칙형


① B파의 끝점이 A파의 시작점을 돌파하고 C파도 A파의 끝난 점을 돌파하는 경우로, 가격 변동이 심한 경우이다
② B파가 A파의 시작점을 돌파하는데 C파가 A파의 끝 점을 돌파하지 못하는 경우로, 추세방향의 시장움직임이 아주 강할 때 나타나는 경우이다

535 ABC 임펄스 - 535 ABC impeolseu

2-1 진행조정(running correction)


플랫형 조정의 변형으로 보다 큰 시장강도를 나타내는 진행조정이 있다 강세 추세에서의 진행조정은 본질적으로 위쪽으로 향한 A-B-C 플랫이다 명백하게 큰 추세 방향의 세력이 너무나 강해서 C파의 꼭지점을 ‘이전 충격파의 꼭지점(1)보다 더 높게’ 자리 잡도록 한 것이다

535 ABC 임펄스 - 535 ABC impeolseu

✏️ 조정파의 내용이 조금 더 있는데요 다음 포스트에 이어가겠습니다^^

535 ABC 임펄스 - 535 ABC impeolseu

댓글, 팔로우 그리고 보팅은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
📚 차트의 기술 by 김정환
📎 관련 글

  • 엘리어트 파동 이론-2부 : 추진파의 확장과 변형 그리고 비트코인 차트 분석
  • 엘리어트 파동 이론 1부 Elliott Wave Theory
  • 암호화폐 거래소는 안전한가? BTC 지수연동형 펀드 ETF 발행
  • 다우 이론 Dow Theory과 주추세 분석
  • 스토캐스틱 지표와 비트코인 분석; Stochastic & Bitcoin
  • CCI 보조지표와 비트코인 분석: 반등에 성공할 것인가?
  • EOS와 RSI 지표 분석: 상대강도지수
  • MACD 지표와 비트코인 분석 : MACD Oscillstor & Bitcoin
  • 비트코인과 Parabolic SAR : 추세전환을 알리는 지표
  • 비트코인과 ADX지표; 추세 전환에 성공할 것인가?
  • 추세의 방향을 알려주는 DMI지표로 알아 본 비트코인과 스팀
  • 비트코인과 볼린져밴드 BTC and Bolling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