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이노 LED바 제어 - adu-ino LEDba jeeo

1. 주문하신 물품의 총 결제금액이 15만원 이상 (환율의 변동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이면 과부가세가 발생합니다. 관부가세는 고객님께서 부담하시는 금액으로 문자를 통해 입금내역이 발송되며 해당 관세사로 입금하시면 통관처리됩니다.

2. 해외구매 특성상 주문에서 배송까지는 평균 10~15일이 소요됩니다. 간혹 현지 제품 수급에 따라 부득이하게 시일이 더 소요 될 수 있으니 구매시 좀 더 여유있게 주문하시길 권합니다.

3. 해외 내수품인 관계로 A/S에 대해서는 별도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4. 해외배송 특성상 주문접수후 배송상태가 배송준비중으로 넘어간 경우 해외에서 국내로의 배송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배송준비중으로 배송상태가 넘어간 경우 취소및 반품이 불가하므로 이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5. 타 해외구매대행 사이트에서 주문하신 물건과 주문날짜가 겹치지않도록 주의해 주십시오. 통관날짜가 같을 경우 합산관세가 부가되게 됩니다.

[아두이노 따라하기] 12V RGB LED 압력센서(FSR)로 제어하기(압력 힘에 따라 LED 색이 바뀌는 프로젝트)

아두이노 LED바 제어 - adu-ino LEDba jeeo
▷ 프 로 젝 트 / [교육] 아 두 이 노
아두이노 LED바 제어 - adu-ino LEDba jeeo
 

2015. 11. 22. 1:01

아두이노 LED바 제어 - adu-ino LEDba jeeo
https://blog.naver.com/rhkd824/220546290312

12V RGB LED 압력센서(FSR)로 제어하기

(압력에 따라  색이 바뀌는 LED)

이번에는 첫번째 포스팅했던 디지털 압력센서로 LED제어하기편과

아두이노로 12V LED 제어하기

이 두가지 프로젝트를 합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해보겠습니다

압력센서가 받아오는 힘에 따라서 녹색 / 블루 / 레드 이런 순으로 점등을 시켜보겠습니다

힘이 셀수록 경고의 색상인 레드로 바뀌는 거죠~~

하지만 연결 방법과 동작 원리는 앞에 포스팅한 내용과 비슷 합니다~~~

1. 첫번째 디지털 압력센서로 LED제어해보기

http://blog.naver.com/rhkd824/220541789474

아두이노 LED바 제어 - adu-ino LEDba jeeo

아두이노 LED바 제어 - adu-ino LEDba jeeo

2. 아두이노로 12V LED제어하기

이 두가지의 포스팅을 보고 나시면 혼자서도 쉽게 하실 수 있을겁니다~~

그러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말 자세하고 세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래도 회로도는 합쳐진 버젼으로 다시 올려드리죠~!!

아두이노 LED바 제어 - adu-ino LEDba jeeo

회로도는 보시는 것처럼 이렇습니다.

위에 알려드린 다른 포스팅 두개를 그냥 합쳐놓은 겁니다..ㅋㅋㅋㅋㅋ

점점 뭔가가 회로도가 복잡해질 것 만 같은....ㅜ

​회로도나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귀찮더라도 각 포스팅을 클릭해주세요..ㅎ

​프로그램 입니다

int blue = 8;    /블루 8번핀
int green = 9;  /그린 9번핀
int red = 10;   /레드 10번핀

     int s1 = A0;

int a1;

void setup()
{
  pinMode (blue = 8, OUTPUT);
  pinMode (green = 9, OUTPUT);
  pinMode (red = 10, OUTPUT);
  Serial.begin(9600); 

}

void loop()
{
  Serial.print(a1);
  delay(100);

 
  a1 = analogRead(s1);

   

if(a1<=0){      / 압력값이 0일때 다 꺼놓은 (초기화)
    digitalWrite(red, LOW);
    digitalWrite(green, LOW);
    digitalWrite(blue, LOW);
    }

        if(a1>200){    /압력값이 200일때 그린만 ON 나머지는 OFF
    digitalWrite(red, LOW);
    digitalWrite(green, HIGH);  
    digitalWrite(blue, LOW);
    }

        if(a1>400){  /압력값이 400일때 블루 ON 나머지 OFF
    digitalWrite(red, LOW);
    digitalWrite(green, LOW);  
    digitalWrite(blue, HIGH);
   }
    if(a1>600){  /압력값이 600일때 레드 ON 나머지 OFF
    digitalWrite(red, HIGH);
    digitalWrite(green, LOW);  
    digitalWrite(blue, LOW);

   }

}​

뭐 대충 이렇습니다~~

빨간색에 압력값은 임의로 수정해주시면 됩니다~~~!!

자!!

그럼 영상을 한번 볼까요?!

압력센서 면적이 갑자기 커졌네요...ㅋㅋㅋ

저건 FSR406모델 입니다.

​당황하진 마시고 그냥 한번 저런것도 있다고 출연시킨겁니다..^^;;;ㅋㅋㅋㅋ

저 압력센서는 저 사이즈가 제일 큰거더라고요....ㅜㅜ

그만큼 힘을 더 많은 면적을 읽을 수 있겠죠?!!

이번 프로젝트를 어떻게 응용할 수 있을까요?@

여러가지 있겠죠?

이 압력센서의 경우는 정확한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용도가 아니기 때문에

간단하게 쓰레기통 하단에 설치 한다던가 아니면 집안에 이 센서를 설치해서 특정시간에

누가 카펫트를 밝으면 소리가 나오게도 가능하겠죠?!

이제 12V제품도 언제든지 활용가능하겠네요~~!!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