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키노트는 애플에서 만든 PPT 앱입니다. 그런데 키노트를 통해 이미지 편집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기능이 있지만 오늘은 사진의 테두리 누끼 따는 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일단 원하는 이미지를 불러옵니다. 그리고 브러쉬 모양을 눌러 주면 이미지 메뉴얼이 나옵니다. 그곳에서 인스턴트 알파를 눌러 주세요.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그러면 " 선택한 색상을 드래그하여 투명하게 만듭니다. " 멘트가 나옵니다. 이 설명이 중요한데, 키노트에서 누끼를 따는 법은 색상별로 진행이 됩니다. 원하는 색을 선택하고 원하는 영역을 드래그하면 됩니다. 위 사진을 예를 들면 하늘색과 녹색, 노란색을 각각 처리해줘야 합니다. 

 

멘트 옆에 재설정과 완료가 있는데, 원하는대로 누끼가 따지지 않았다면 재설정을 눌러주고, 원하는대로 되었다고 생각되면 완료를 눌러주세요. 참고로 재설정을 누르면 이전 단계가 아닌 처음 이미지로 넘어 갑니다.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대충 원하는 영역을 때어 냈는데, 포토샵과 같은 전문적인 이미지 프로그램과 비교를 하면 많이 부족합니다. 그런데 테두리를 입혀 괜찮은 느낌을 낼 수 있습니다. 브러쉬를 들어가서 이번에는 스타일을 눌러 주세요. 그러면 다양한 모양의 테두리가 있는데, 모양과 색상, 너비 등을 선택하면 이미지에 테두리를 입힐 수 있습니다.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아래가 완성된 이미지 인데, 그래도 처음보다 테두리를 입힌게 좀 더 괜찮아 보입니다. 아이패드로 키노트를 활용해 누끼를 딸때 손으로 해도 되지만, 애플펜슬을 활용하면 더욱 정교한 작업이 가능합니다. 

▼ 아이패드 드로잉 어플인 프로크리에이트에서 배경 지우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사진을 불러와주세요. (배경이 단색일수록 좋습니다) 그리고 왼쪽 상단에서 세 번째에 있는 [선택] 툴을 누릅니다.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 아래에 메뉴 팝업이 나오는데, 여기서 [자동]을 선택합니다.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 그리고 애플 펜슬을 이용해서 배경 부분을 선택합니다. 이때 펜슬을 화면에서 떼지 않고 오른쪽 왼쪽을 움직이면 강약 조절을 할 수 있습니다.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 오른쪽으로 가면 한계값이 높아지기 때문에 더 많은 부분이 선택되고, 왼쪽으로 가면 한계값이 낮아져서 더 적은 부분이 선택됩니다.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 이렇게 선택을 한 상태에서 오른쪽 상단의 레이어를 눌러주세요. 그리고 사진이 포함되어 있는 레이어를 왼쪽으로 쓱 밀어줍니다.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 메뉴가 나타나면 여기서 [지우기]를 눌러주세요.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 그러면 아까 선택된 배경 부분만 삭제가 됩니다.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 배경 색상 버튼을 해제해보니 완전하게 배경이 삭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 지우개 툴을 가지고 더욱 세세하게 지워주었더니 완전하게 배경이 지워졌습니다.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이와 같이 프로크리에이트 자동선택 툴 기능을 이용해서 누끼를 쉽게 딸 수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

* Tip. 물건이 단색이고 배경이 복잡할 경우에는 배경을 먼저 선택한 뒤 [반전]을 누르면 됩니다.

반응형

굿노트 기능 중 꼭 써야되는 누끼따기 및 나만의 스티커 만들기 방법 공유합니다. 
가장 하단에 간단 동영상이 있으나 글을 이해하시고 보시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굿노트 사진 불러오기

 

일단 원하시는 사진을 굿노트에 불러와주세요. 

같은 경우 pexels.com 라고 저작권 없이 제공되는 사진을 골랐고, 사진을 손가락으로 길게 누른 굿노트로 옮겨줬어요. 방법 말고도 앨범에 있는 내용을 바로 굿노트에 불러오셔도 됩니다.

 

 

참고로 사이트에서 사진을 꾹 눌러서 드래그 후 옮기는 건 참 편한 것 같아요.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 누끼따기 A to Z

1. 사진을 길게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3가지 메뉴가 나오는데 자르기를 클릭합니다.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2.  Freehand 클릭 

 

저는 배경을 제거하고 , 아래 있는 사진에서 점프 뛰는 사람만 사진에서 추출하려고 합니다.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3. 애플펜슬로 원하는 부분 외곽선 그려주기

 

주의해야할 점은 끊어서 작업이 안되고 번에 해야된다는 점이랍니다. 그래서 처음하실 때는 신중히 원하는 부분을 잘 따내셔야해요. 서두르지 않으시고 천천히 하시면 크게 문제 없습니다. 

 

실제로 애플펜슬로 그렸을 때 나타나는 라인은 초록색으로 아래와 같이 나타납니다.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4. 누끼따기는 여기서 마무리

 

마무리 되면 아래와 같이 배경이 제거 되고 나온답니다. 이거 정말 간단해요.

물론 어도비 포토샵으로 할 수 있지만 굿노트를 많이 사용하는 요즘 이 기능은 필수 인 듯합니다.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 누끼따기 간단 동영상 + 스탬프 만들기 영상은 가장 하단에 있으니 참고 부탁드려요


- 나만의 스티커 만들기

1. 사진 준비 

 

물론 자기가 자주쓰는 글, 누끼따지 않은 사진도 가능합니다.

전 일부러 위에 했던 내용으로 진행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2. 그래픽 추가 버튼 클릭

 

이것도 사진을 꾸욱 한 번 눌러주면 아래와 같이 메뉴가 나오는데 여기서 '그래픽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3.  새로운 컬렉션 '+'  클릭

 

클릭하면 기본 스티커들도 많고, 본인만의 컬렉션도 만들 수 있어요.

이번 내용은 자신만의 스티커를 만들기 위함이므로 새로운 컬렉션에 있는 +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4  제목 기입

 

본인이 원하는 테마/관련 내용에 대한 제목을 기입해 주고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5.  사용 방법

 

굿노트 보면 원 안에 별표시 있죠. 그걸 클릭하면 원하는 그룹에 가서 스티커를 선택할 수 있어요.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그리고 클릭을 해주면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답니다. 물론 사이즈 변경도 쉽게 가능해요.

 

아이 패드 누끼따기 - ai paedeu nukkittagi

 

아래는 작업 동영상 - 누끼따기는 약간 급하게 했는데 여러분들은 저보다 더 잘할거라 믿습니다. 😊

 

 

 

반응형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BETOMEMO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시간도 돈이다 > IT 기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 전문가들은 이 기능을 꼭 킨다 . 아이폰 유저들이 꼭 알아야 할 설정  (0)2022.07.30애플 아이폰 13 , 뭐가 달라졌나?  (0)2021.09.16샤오미 미밴드 6 벽돌 - 한글패치이신 분들 필독!!⌚V 1.0.4.38  (1)2021.08.08애플펜슬 쓰신다면 도움이 되는 어플 추천  (0)2021.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