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 원고 예시 - balpyo wongo yesi

발표 원고 예시 - balpyo wongo yesi

[03396] 서울시 은평구 대조동 6-21(통일로67길 10) 미소세상 902호    MOBILE : 010-2144-7879    E-MAIL:
Copyright © 2016 사단법인 한국가족치료학회 All rights reserved.
자격증문의 010-9554-7879 투고문의 010-3763-7875 중앙사례회의 문의 010-4234-7875  
인스타그램 @kaftofficial_ 페이스북 @KAFT1988

- 발표문 양식

발표문 원고 제출요령 및 양식. 1 원고는 폐기물관련 실증기술, 현장 운영사례 및 현장 중심의 연구결과 등에 대하여 가능한 다양한 분야의 독자가 읽을 수 있도록 발표문 원고 제출요령 및 양식

발표문에 정해진 서식이 있는 것은 아니며, 발표문의 주제 및 작성 목적 등에 따라 내용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발표문을 작성할 시에는 발표하고자 하는 주제를 발표문 양식 서식.샘플 문서자료

발표 원고 예시 - balpyo wongo yesi

구두발표를 구분 논문접수을 차례로 누르신후에 작성하여 주시면됩니다. 2. 발표문 양식은 www.kimics.org 커뮤니티자료실에 있는 학술대회용 논문양식으로 2015 춘계종합학술대회 발표문 접수 안내

3분스피치_학생대표_발표회_3분스피치 발표회 대학생 주제 발표문진실, 거짓말 양식 서식 자세히보기 서식 form, 書式 증서나 원서, 신고서 등과 같이 서류를 발표회_3분스피치 발표회 대학생 주제 발표문진실, 거짓말 양식 서식

- 발표문 인사말

발표의 시작에 유용한 영어 프레젠테이션 표현입니다. 같은 인사도 청중에 따라 약간씩 변화를 주어 발표하는 것이 좋겠지요? 언어란 말하는 사람의 비즈니스 영어 프레젠테이션 서론 표현

행사인사말, 연설문, 축하인사말, 날씨인사말, 송년/신년사, 주례사, 격려사, 자기 주제발표문 9건 3분스피치_대학 수업시간 학생 주제발표문실천, 수질환경. 주제발표문 예스폼 하우스피치모바일

예정 시간인 오전 11시에 맞춰 회견장에 도착한 신 전 부회장은 서툰 한국말로 인사말과 함께 발표문을 준비했으나 우리말이 부족해서 아내가 대독 신동주 한국어 부족 부인이 발표문 대독

폐기물_토론회_주제발표문.hwp 산업폐기물_토론회_주제발표문.ppt ▷ 프린트는 첨부21 산업경제위원회 ■ 국민의례, 인사말 2부. 토론회 ■ 사 회 이장희 의장 청주시 산업폐기물 토론회 주제발표문

- 발표문 주제

평화 구축 과정에서 여성의 역할과 파트너십. 커스틴 그리백. 평화와 자유를 위한 여성 국제 연맹, 공동 대표. 평화 협상에 참여하는 여성의 수는 지금 발표문 및 성명서 Speeches & Statements

자신의 삶의 한 시점에 대한 발표를 한다면, 무슨 말을 하고 싶은가? 거의 죽을 뻔한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그 이야기와 관련된 주제나 목적으로는 안전 벨트 발표문을 작성하는 법

각종 3분스피치 초등학교수업시간 발표자주제발표문 기본기 인성 양식다운로드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이 선생님께서 상급생에 대한 마음가짐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학생들 3분스피치 초등학교수업시간 발표자주제발표문 기본기 인성

- 발표문 예시

초등학교수업 주제 발표문 예절 중학교수업 주제 발표문 한글우수성 대학수업 주제 발표문 행복, 긍정 교사 세미나 강사 발표문 체벌, 반대 어버이날 학생회장 발표문 양식 서식.샘플 문서자료

효과적인 슬라이드 발표를 위한 10가지 팁 위의 예에서 알 수 있듯, 셰리프 없는 글꼴로 써진 텍스트에, 글자 크기가 큰 게 더 읽기 편합니다. 화면상 Ppt발표팁효과적인 슬라이드 발표를 위한 10가지 팁

공동발표문 국토해양부는 사업시행자인 서서울고속도로주와 함께 지난 2007년 주코오롱건설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여 98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 연장 20 공동발표문 예시

2021년 2월 19일 개정

1. 원고 분량은 200자 원고지 150매를 넘지 않도록 하고, 초과시 151매~180매의 경우 쪽당 2만원, 181~200매의 경우 쪽당 2만 5천원을 추가 조판비로 부담하되, 201매 이상은 게재하지 못함을 원칙으로 함.

2. 漢字와 한글을 병용하되, 까다로운 고유명사 또는 의미상의 혼돈이 예상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한글로 쓴다.

3. 제목 아래에 필자를 적시하고, 필자에 대한 정보를 각주 형식으로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저자가 2명 이상일 경우 주저자나 교신저자를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 1) 필자의 신분은 소속 기관에 따라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 ① 대학교 : 학교명 학과명(부서명) 직급(위) 혹은 학교명 학과명 학위(과정)명
      ex) 한국대학교 사학과 부교수 / 한국대학교 박물관 학예연구사 / 한국대학교 사학과 석사
    • ② 초·중·고등학교 : 지역명 학교명 직급(위)
      ex) 서울 한국고등학교 교사
    • ③ 관련기관 : 기관명 부서명 직급(위)
      ex) 한국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 연구원
    • ④ 위에 제시되지 않은 사례의 사람은 자신의 최종 학위명을 적되, 학교명 학과명 학위명으로 표시한다.
      ex) 한국대학교 사학과 박사
  • 2) 대표 논저 3편 이하

4. 목차의 부호는 다음과 같이 한다.

Ⅰ. 머리말
Ⅱ. 結負制의 기원
Ⅲ. 結負制의 시행시기와 사회적 기능
1. 結負制와 人稅의 수취
2. 읍락 내의 계층분화와 結負制의 시행
Ⅳ. 맺음말

5. 인용문 처리

  • 1) 본문 속의 인용문 : 따옴표를 이용하고, 인용이 끝나는 부분에 출전을 각주 처리.
    예 : 한편 “중고기에 결부제를 시행했다”2)고 할 때, 과연
  • 2) 별도 인용문일 때 : 출전을 문장 말미에 괄호 처리(∨는 띄어쓰기).
    예 : ∨…∨聖人이 禮樂으로 나라를 일으키고∨…∨仁義로 敎를 設(함에 있어서 怪力亂神을 말하지 않는다(『삼국유사』권1, 紀異 제1自敍).

6. 각주

  • 1) 논문은 「」, 단행본은 『』부호를 사용한다(전각문자가 아니라 한글글자판의 겹낫표 또는 문자표 반각기호[도형]처리).
    정기간행물이 아닌 모든 경우는 권수를 『』속에 넣는다.
    예 : 『미완의 문명7백년 가야사1권』,∨푸른역사
  • 2) 사료 인용의 경우 : 권1등을 밝혀 적는다(권수는 아라비아 숫자).
    예1: “前漢朝鮮傳云 自始燕時”(『三國遺事』권1, 紀異 제1自敍).
    예2: “伏望陛下因臣還國∨…”(『三國史記』권 제8, 신라본기 제8 성덕왕33년).
  • 3) 서지사항은 가능하면 필자, 발표연도와 논문제목 및 게재지, 또는출판사 등을 친절하게 적는다(漢字, 한글은 원 발표 논문 그대로). 예1: 李喜寬,∨1995∨「統一新羅時代의 孔烟의 構造에 대한 새로운 理解」∨『韓國史硏究』89,∨p.10. 잘 알려진 학회는 굳이 적을 필요가 없지만 그렇지 않은 학회 또는 혼동할 우려가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적는다.
    예2: 『韓國史論』10,∨국사편찬위원회,∨p.51.
    『韓國史論』10,∨서울대 국사학과,∨pp.56~57.
  • 4) 한 논문이 이후 두 번 이상 인용될 때 : 전체 서지사항을 반복하지않고 다음과 같이 처리한다.
    예1: 강진철,∨1984∨앞의∨논문,∨p.41.
    한 필자가 같은 연도에 두 개 이상의 논문을 발표하고, 그것을 여러번 인용할 때 : 처음 인용할 때 다음과 같이 처리하고,
    예2: 李喜寬,∨1995(a)∨「統一新羅時代의 孔烟의 構造에 대한 새로운 理解」∨『韓國史硏究』89.
    예2: 李喜寬,∨1995(b)∨「統一新羅時代의 計烟에 대한 새로운 理解」∨『韓國史硏究』90 등으로 구분.
    두 번 이상 인용할 때는,
    예3: 李喜寬,∨1995(b)∨앞의∨논문,∨p.45등으로 처리.
  • 5) 특정 필자의 논문이 단행본으로 묶인 것을 인용할 때, 처음 발표된연도와 함께 밝히고 싶을 때는 다음과 같이 세미콜론 처리.
    예 : 李仁哲,∨1986∨「新羅骨品制社會의 兵制」∨『韓國學報』54∨;∨1993∨『新羅政治制度史硏究』,∨일지사,∨p.56.

7. 논문 서두 목차 다음에 국문 초록을 넣고, 말미에 영문 초록을 첨부한다.

8. 초록의 분량은 300단어 내외로 하되, 단순 요약이 아니라 핵심 주장을 간략히 정리한 내용으로 해야 한다.

9. 국문 초록과 영문 초록에 각각 5개 안팎의 주제어와 key words 선정하여 附記하며, 국문 주제어와 영문 key words는 일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