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트컨베이어 구조 - belteukeonbeieo gujo

1 컨베이어 구조
1) 구조

벨트컨베이어 구조 - belteukeonbeieo gujo

2) 특성
- 분산물의 대량운반이 가능하며 수송단가가 낮다
- 운반의 범위가 넓다.
- 운반거리가 길고 설치시 조건이 간단하다.

3) 성능
- 벨트폭 벨트속도 전체길이, 최대경사각도표시

4) 기본장치
① 기동장치(구동장치)
- 체인연결방식 : 감속모터+풀리 또는 모터+감속기 등 사이에 체인으로 연결, 컨베이어의 속도조절이 가능하다.
- 직결식 : 감속모터와 풀리가 커플링으로 직결되어 동력전달됨, 구조가 간단하나 가속 토오크 제어가 어렵다.
② 롤러(캐리어 롤러)
- 벨트의 형태를 유지하고 하물을 지지한다.
- 재료를 적재 운반할 때에 지ㅣ하는 캐리어 롤러, 되돌아올때 지지하는 리턴롤러, 벨트가 벗겨지는것을 방지하는 안내롤러,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롤러가 있다.
- 롤러의 종류
  * 일반 캐리어 롤러(플랫형,평저형) : 일반 중량물 운반용
  * 트러프형 롤러(trough type) : 롤러3조로 기본구성. 분산된 화물 운반용.

벨트컨베이어 구조 - belteukeonbeieo gujo

* 임팩트 캐리어 롤러 : 이송물이 충격을주며 컨베이어로 떨어질경우 롤러의 홈이 충격을 흡수한다.

벨트컨베이어 구조 - belteukeonbeieo gujo

* 자동 조심 롤러 : 벨트의 쏠림 방지

벨트컨베이어 구조 - belteukeonbeieo gujo


③ 제동장치
- 전자브레이크 : 가혹조건에서 제동
- 전동유압브레이크 :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함
- 와이어로프 비상정지장치 : 레버와 와이어로프 기구에 의해 비상시에 수동으로 제동
④ 안전장치
- 역회전방지장치
* 용도 : 컨베이어 상부에 중량물이 올려진채로 정지하면 벨트에 실려있는 하물이 관성에 의해 벨트가 역주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벨트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장치

벨트컨베이어 구조 - belteukeonbeieo gujo

⑤ 벨트
- 재료를 적재 운반하는 부분품으로 고무벨트를 가장 많이 적용한다.
- 설계기준
* 벨트길이 : 벨트의 기장이 길고 이동속도가 느릴수록 벨트의 굽힘횟수가 저하되어 벨트수명이 길어진다.
* 풀리의 크기가 작을수록 경제적이나 작은굽힘으로 인한 피로로 수명단축됨
- 벨트의 종류
* 내열벨트
* 내유벨트
* 고무형, 강형, 직물재등

2 컨베이어 계획
1) 설치/설정시 요구사항
  - 운반재료의 성질 및 형상조사
  - 소요운반량 결정
  - 위치 및 기장 결정
  - 운반능력 계산
   * 운반능력은 벨트폭, 벨트속도, 운반재료의 종류에 따라 달라짐.
   * 벨트속도는 빠르면 효율이 증가하나, 운반재가 미끄러지기 쉽다. 또한 속도는 설치경사각까지 고려해야한다.
  - 수송 속도 결정

2) 소요동력(kW)
- N=N1+N2+N3
N1:무부하동력, N2:수평부하동력, N3:수직부하중량

3) 운반능력
- Q=60AV=60kb^2 x V

4) 컨베이어의 종류
  - 벨트 컨베이어
  - 스크류 컨베이어
   * 반원형 U자형 단면을 가진속에 긴 강판제의 스크류를 조합하고 스크류의 회전방향으로 분상의 재료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 시멘트 모래 곡물등의 소량 분상의 재료 운반에 적당하다.
   * 경사가 있을때 작업능력이 급격히 저하되므로 15도 이내 소경사의 운반에 적용한다.
  - 버켓 컨베이어
   * 수직, 경사 상태에서 운반하기 적당한 컨베이어.
   * 정상부에 구동장치, 저부에 긴장장치를 설치하고, 벨트/체인중간중간에 버켓을 달아서 운반하는 방식.

3 컨베이어의 수명
1) 벨트교환의 기준
  - 벨트의 수리가 불가능하거나 수리비가 과도할때
  - 벨트의 손상발생시
   * 고무의 마모로 프레임이 드러날때
   * 열화변형이 심할때
   * 벨트가 절단될때

2) 벨트의 수명계산
  - 운반조건에 따른 영향
   * 실내외 조건
   * 과부하여부
   * 충격방지 적용여부
   * 벨트의 오주행

컨베이어 벨트(conveyor belt) 혹은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는 광석이 건조한 상태 혹은 수분이 일부 포함된 상태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운반 장비입니다. 광산과 파분쇄공정의 일부는 광석이 슬러리화 되기 이전이며, 파이프라인을 따라 이동하기 전까지는 공정간에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아래의 PFD(Process Flow Diagram)은 컨베이어 벨트가 사용되는 예시를 나타낸 것입니다.

벨트컨베이어 구조 - belteukeonbeieo gujo
광석의 이동 (파쇄단계)

아래는 컨베이어 벨트의 기본 구조를 나타낸 것입니다.

벨트컨베이어 구조 - belteukeonbeieo gujo

˙Chute(슈트): 광석이 운반을 위하여 벨트 컨베이어로 유입 또는 다음 단계로 보내기 위하여 설치되는 빈(bin)

˙Idler(아이들러)*: 벨트를 지지하는 회전체를 말하며 보통 3개 내지 5개를 설치하여 벨트의 가운데가 우묵해지도록 설치하는 경우가 많음

˙Pulley(풀리): 풀리는 동력이 전달되어 벨트를 회전시키는 쪽의 헤드풀리(head pulley)와 이와 쌍을 이루는 테일풀리(tail pulley)가 있음

˙Counterweight(카운터웨이트): 컨베이어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테이크업풀리(take-up pulley)와 함께 설치됨

˙Belt Centering(Tracking) System: Side guide idler라고 불리며,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가 중심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함

*Roller(룰러) 또는 Carrier(캐리어)라고도 함

벨트컨베이어 구조 - belteukeonbeieo gujo
Belt Misalignment

이 외에도 컨베이어 벨트의 정상적인 운전 및 안전을 위하여 아래의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Belt Scale: 운반되는 광석의 하중에 의하여 아이들러 또는 별도의 기기가 받는 하중을 측정하여, 급광되는 광석의 무게가 얼마인지 측정

벨트컨베이어 구조 - belteukeonbeieo gujo
Belt Scale

˙Safety System

         - Pull Cord: 풀코드는 작업자 등이 벨트컨베이어에 문제가 생겼을 때 컨베이어 옆의 줄(Cord)을 당김(Pull)으로써 이를 비상정지를 할 수 있도록 함

         - Belt Sway Switch: 벨트컨베이어의 벨트가 요동치거나 중앙에서 벗어났을 때 신호를 보내거나 비상정지 하도록 함

이러한 시스템 이외에도 speed switches, belt rip switch, emergency stop 등이 설치됩니다. 컨베이어 벨트는 여분(Spare)의 라인을 두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관리 및 적절한 시기에 유지관리**가 필요합니다.

**[참고] 컨베이어벨트의 수리/보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