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소평면 그래프 그리기 - bogsopyeongmyeon geulaepeu geuligi

1. 복소함수 Complex functions

- 복소함수 정의

복소수에서 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함수\ f는\ 정의역과\ 치역을\\ 복소평면의 부분집합으로\\ 하는\ 함수이다.\\ 정의역을\ S로\ 하고,\\ S를\ domain이라고\ 부른다.$$

"

$즉, f: S -> \mathbb{C}, w=f(z)$

여기서 domain이란 'non-empty' ,'connected', 'open set'을 의미한다.

- 복소함수 그래프

복소함수는 그래프를 그리기 어렵다. 왜냐하면, 복소평면에서는 x축 y축이 모두 정의역 z를 표현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표현해야 한다. 정의역에서 치역으로 가는 그래프를 각각 그려줘야 하는 것이다.

복소평면 그래프 그리기 - bogsopyeongmyeon geulaepeu geuligi

- 복소함수는 real-valued function 들로 표현할 수 있다.

$z=x+iy,\ f(z)=u(x,y)+iv(x,y)$

예를 들어보면, 아래와 같이 두 개의 real-valued function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f(z)=z^{2}=(x^{2}-y^{2})+i(2xy)$

- 복소함수는 polar coordinates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f(z) = u(r,\theta)+iv(r,\theta)$

2. Limits

- 기본 정의

$$\lim_{z\rightarrow z_0} f(z)=w_0$$

-$\varepsilon-\delta$ 정의

$$\varepsilon>0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delta가\ 존재한다\\\left|f(x)-w_{0}\right|<\varepsilon\ whenever\ 0<\left|z-z_{0}\right|<\delta$$

이 말이 의미하는 바는, $z_{0}$의 deleted eighborhood의 모든 점들이 $\varepsilon-neighborhood$안에 들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복소평면 그래프 그리기 - bogsopyeongmyeon geulaepeu geuligi

이러한 입실론-델타 논법의 예시를 살펴보자.

복소평면 그래프 그리기 - bogsopyeongmyeon geulaepeu geuligi

-극한과 관련된 몇가지 정리들

  1. f(z) 함수의 극한이 $z_{0}$에서 존재한다면, 그것은 unique 하다.
  2. $f(z)=u(x,y)+iv(x,y),\ z_{0}=x_{0}+iy_{0},\ w_{0}=u_{0}+iv_{0}\ 일\ 때\\ \lim_{(x,y)\rightarrow(x_{0},y_{0})}u(x,y)=u_{0}, lim_{(x,y) \rightarrow (x_{0} , y_{0})}v(x,y)=v_{0}\Leftrightarrow\lim_{z \rightarrow z_{0}}f(z)=w_{0}$
  3. $\lim_{z\rightarrow z_{0}}f(z)=w_{1} \ and \ \lim_{z\rightarrow z_{0}}g(z)=w_{2}$라고 하자. 이 때

$$\lim_{z\rightarrow z_{0}}(f(z)+g(z))=w_{1}+w_{2}$$

$$\lim_{z\rightarrow z_{0}}(f(z)g(z))=w_{1} w_{2}$$

$$\lim_{z\rightarrow z_{0}}(f(z)/g(z))=w_{1}/w_{2}$$

3. Continuity

-기본 정의

$$f(z_{0})가\ 정의되어\ 있고\\ \lim_{z\rightarrow z_{0}}f(z)=f(z_{0})이면\\ f(z)는\ continuous하다.$$

-$\varepsilon-\delta$ 정의

$$\varepsilon>0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delta가\ 존재한다\\\left|f(x)-w_{0}\right|<\varepsilon\ whenever\ \left|z-z_{0}\right|<\delta$$

여기서 보면, 극한과 달리 연속은 해당 점에서도 만족해야해서 deleted처럼 0보다 클 때가 아니라 델타에 대한 부등식만 존재한다. 즉 극한과 연속은 deleted 하나 차이인 것이다.

-연속과 관련된 몇가지 정리들

  1. 연속 함수의 합성은 연속이다
  2. $f(z)$는 연속 $\Leftrightarrow\ u(x,y)\ and\ v(x,y)\\ are\ continous\ at\ (x_{0},y_{0})$
  3. R은 closed and bounded set이라고 하자. 그리고 $function\ f\ is\ continous\ on\ R$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반드시 $M$이 존재한다.$$\left |f(z) \right| <=M \ for\ all\ z\in R$$

 세번째 정리는 연속이고 closed에서 최대 최소가 있다는 것의 복소 버젼인 것이다.

CindyJS, complex function plot, javascript, 복소함수, 복소함수 그래프 그리기, 자바스크립트

이번에는 CindyJS를 사용해서 복소함수를 그리는 법을 다룹니다. 이 포스팅에서 다루는 내용을 다른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할 수도 있지만, 본인이 직접 그래프를 그려야 직성이 풀리는 사람들에게는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유튜브로 연결했습니다.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NAME

PASSWORD

HOMEPAGE

SECRET

    • 복소 평면 위에 수를 플롯 »
    • 복소 평면에 직교 좌표 또는 극좌표의 라벨링
    • 실수에서 함수의 실수 성분과 허수 성분을 플롯 »
    • 실수 부분 및 허수 부분의 스타일과 라벨의 사용자 정의

    • 복소 함수 영역의 색소 구현 »
    • 실수와 복소수에서 복소 함수의 크기와 위상을 보여주기 위한 높이와 색상의 사용 »
    • 다양한 색상을 사용한 복소 함수의 특징 강조 »

    관련 예제

    관련 기능

    • AbsArgPlot
    • ComplexListPlot
    • ComplexPlot
    • ComplexPlot3D
    • ReImPlot

    기타

    • Complex Visualization
    • Complex Numbers
    • Function Visualization
    • Data Visualization
    • Functions of Complex Variables

    버전 12의 새로운 기능

    • 핵심 시각화 기능
    • 대수계산
    • 점근 해석
    • 핵심 미적분
    • 비선형 유한 요소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