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교통안전관리자 pdf - cheoldogyotong-anjeongwanlija pdf

서울 본부 (08265) 서울 구로구 경인로 113 (오류동 91-1) 구로검사소 내 3층 02)372-5347 경기남부본부 (16431) 경기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24 (서둔동 9-19) 031)297-6581 대전충남본부 (34301) 대전 대덕구 대덕대로 1417번길 31 (문평동 83-1 042)933-4328 대구경북본부 (42258) 대구 수성구 노변로 33 (노변동 435) 053)794-3816 부산본부 (47016) 부산 사상구 학장로 256 (주례3동 1287) 051)315-1421 광주전남본부 (61738) 광주 남구 송암로 96 (송하동 251-4) 062)606-7634 인천본부 (21544) 인천 남동구 백범로 357 (간석동 172-1) 032)830-5930 강원본부 (24397) 강원 춘천시 동내로 10(석사동) 033)261-3386 충북본부 (28455) 충북 청주시 흥덕구 사운로386번길 21 (신봉동 260-6) 043)266-5400 전북본부 (54885) 전북 전주시 덕진구 신행로 44 (팔복동3가 211-5) 063)212-4743 경남본부 (51391) 경남 창원시 의창구 차룡로 48번길 44, 창원 스마트업타워 2층 (팔용동 40-5번지) 055)270-0550 울산본부 (44721) 울산 남구 번영로 90-1 (달동 1296-2) 052) 256-9372 드론자격시험센터
- 화성시험장 (18247) 경기도 화성시 삼존로 200(삼존리) 031)645-2100

시험과목안내

교통안전관리자 시험과목 (교통안전법 시행령 별표 6) 법적근거

(교통안전법 시행령 별표 6) 법적근거

교통안전관리자 시험과목 안내자격종류필수과목선택과목도로 교통안전관리자
  • 자동차공학
  • 교통사고 조사분석개론
  • 교통심리학 중 택1
철도 교통안전관리자항공 교통안전관리자항만 교통안전관리자
  • 교통법규
    • 교통안전법
    • 항만운송 사업법
    • 선박의 입항 및 출항 등에 관한 법률
  • 교통안전 관리론
  • 하역장비
삭도 교통안전관리자

교통법규는 법·시행령·시행규칙 모두 포함 (법규과목의 시험범위는 시험 시행일 기준으로 시행되는 법령에서 출제 됨)

교통안전법은 총칙, 제3장 및 제5장 이하의 규정 중 교통수단운영자에게 적용되는 규정과 관련된 사항만을 말함

철도 교통안전관리자 자격시험은 철도안전에 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가진 자에게 자격을 부여하여 철도운송업체 등에서 안전하게 업무를 담당하게 함으로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에 기여하기 위하여 자격을 제정하였다.

▶ 주요 업무

① 철도안전관리규정의 시행 및 그 기록의 작성·보존

② 열차의 운행과 관련된 안전점검의 지도 및 감독

③ 선로조건 및 기상조건에 따른 안전 운행에 필요한 조치

④ 철도사고의 원인조사·분석 및 기록 유지

⑤ 열차의 운행상황 또는 사고상황이 기록된 운행기록지 또는 기억장치 등의 점검 및 관리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발급하는 자격증인 교통안전관리자 중 하나인 철도교통안전관리자에 대해 소개한다. 필자는 평소에 철도에 관심이 많았었기에 이런 자격증을 한 번 따보고 싶었다는 생각도 있었고, 개인적인 목적도 있고 해서 이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준비를 했었다. 대체로 이 시험은 코레일 가산점으로 쓰이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과거보다 가산점을 꽤 주는 편이라고 들었다(정확하게는 코레일 준비를 안해봐서 잘 모르겠음) 철도 대학에서도 자격증으로 이 시험을 소개하는 듯 한데, 그런 취업 목적으로 이 시험을 보지 않을까 하는 추측이다.

철도교통안전관리자 pdf - cheoldogyotong-anjeongwanlija pdf
시험 종료 시 즉시 결과 확인, 자격증 발급이 가능하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전공자는 쉽게 딸 수 있는 시험, 비전공자는 최소 한 달 이상은 공부해야 그나마 합격에 가까워지는 시험이라고 생각한다. 이미 철도자격증 특히 제2종 철도차량 운전면허를 따신 분들은 그 필기시험의 하위버전이라 생각하면 될 것 같고, 철도 대학 학생들의 경우는 이미 대학에서 배운 내용이지 않을까싶다. 비전공자인 나로서는 당최 처음 듣는 내용밖에 없었다. 게다가 전문적인 용어가 무지성으로 등장하다보니(그림도 없고...) 그냥 닥치고 외우지 않고서는 학습 진도가 안 나가진다. 나는 대략 한 달 반 정도 시험을 준비했다. 물론 한 달 정도는 놀면서 끄적이는 정도였고, 보름 전부터 제대로 공부해나갔다.

그리고 이 시험은 참 정보가...없다. 애초에 응시 인원이 그리 많지 않은 시험이다보니 어떻게 시험 준비를 해야하는지가 참 막막할 따름이었다.(그나마 교통안전관리자 중 철도가 응시 인원이 가장 많다고 들었다) 그러한 분들을 위해 내가 한 달 반 정도 시험 준비를 어떻게 하였는지 후기를 남김으로써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고자 한다. 나 뿐만 아니라 몇몇 후기 글을 쓰신 분들이 계시는데, 그 분들 후기도 함께 참고해보시면서 공부 방법을 정하시면 좋겠다.

1. 과목

1교시 50분

1과목: 교통법규 50문항(문항당 2점)

교통법규 내에는 교통안전법 12문항, 철도발전산업기본법 15문항, 철도안전법 23문항이 출제되었다(2020.11 기준)

2교시 75분

2과목: 교통안전관리론 25문항(문항당 4점)

3과목: 철도공학 25문항(문항당 4점)

4과목(선택과목): 열차운전/전기이론/철도신호 中 택1 25문항(문항당 4점)

* 다 풀었으면, 30분이었나 그 최소시간이 지나는대로 바로 퇴실 가능하다. 예를 들어, 9시 20분에 시험이 시작했는데 먼저 다 풀었을 시 기다릴 필요 없이 9시 50분부터 시험장 퇴실이 가능하다.

2. 합격 기준

응시과목마다 40점 이상을 넘겨야하며(과락 기준 40점), 4과목 평균이 60점 이상이 되어야 함.

철도교통안전관리자 pdf - cheoldogyotong-anjeongwanlija pdf
출처: TS국가자격시험

나는 교통법규 68점, 교통안전관리론 92점, 철도공학 56점, 열차운전 44점으로 평균 65점이라 합격했다. 교통안전관리론으로 평균 열심히 올렸고, 하마터면 열차운전은 두 문제만 더 틀렸으면 과락으로 불합격이 될 뻔 했다.

철도교통안전관리자 pdf - cheoldogyotong-anjeongwanlija pdf

3. 과목별 전략

여러 블로그들 다니면서 보니, 과거 책들이 하나도 도움이 안되었다고 했다. 그런데 범론사에서 나온 이 문제집은 2021년에 개정된 책인데다가 기출문제까지 수록해두어서 공부하기에 좋았다. 철도교통안전관리자는 출제방식이 문제은행식이라(마치 운전면허 필기시험처럼) 개념보다는 기출문제를 최대한 많이 보는게 좋은데 2021 범론사 책이 그 목적에 부합하는 책이었다.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mallGb=KOR&ejkGb=KOR&barcode=9788955574715 

철도교통안전관리자 기출예상문제집 - 교보문고

컴퓨터 기반시험 대비 기출복원문제 테스트용 수록 | 자격검정 CBT(컴퓨터 기반 시험) 검정시험 요령☆ CBT(Computer Based Test)란 컴퓨터에 직접 답을 체크하는 시험방식이다.☆ 말하자면 오랫동안 사

www.kyobobook.co.kr

'철도교통안전관리자 공부법'이라고 인터넷에 검색해본 분들이라면, "책 살 필요 없다 이 요약본보고 공부했다"라는 글을 마주쳤을 것이다. 근데 그 글 2017년에 작성되었다. 지금 2021년이다... 안전관리론이나 철도공학과 같은 이론들은 시간이 가도 변하지 않으니 참고해도 좋지만 '법'의 경우에는 매번 개정이 되고 있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 블로그의 자료도 결국 기출문제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보니, 역시 기출문제를 기반으로 제작된 범론사 책과 문제가 종종 겹친다. 나는 인터넷 자료는 해설이 없어서 불편했는데, 범론사 책은 문제마다 밑에 해설이 있어서 너무 편했다. 왜 틀렸는지 이유는 알고 싶었기 때문이다... 자료 정말 감사하긴 한데, 자료는 이론 책으로서 일단 가지고만 있다가, 궁금한게 생기면 ctrl+f 찾기를 통해 사전처럼 쓰면 참 유용하다고 생각한다. 해설이 적혀있는 범론사의 장점과 내용 찾기를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인터넷 자료의 장점을 두루 활용하시는 것이 현명하지 않을까.

암튼 공부 시 주의할 점까지 모두 아래 각 과목별 전략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겠다.

1과목 교통법규(68점): 교통안전법/철도발전산업기본법/철도안전법 총 3개의 법이 50문제로 출제된다. 1과목은 법이기 때문에 무조건 국가법령정보센터에 들어가서 최신 법으로 공부해야 한다. 출제 범위에도 보면 시행중인 최신 법을 기준으로 출제한다고 되어있다. 그리고 법과 시행령, 규칙이 모두 나온다고도 되어있다.

따라서 나는 먼저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법, 시행령, 규칙을 3단비교해서 보았다. 그리고 범론사 책의 문제들을 풀었다. 이게 법령만 읽었을 때는 '뭘 문제로 내겠다는 거지' 라는 생각이 강했는데, 문제를 풀어보면 어떤 부분이 출제가 되는건지를 알게 된다. 틀렸으면 범론사 책 아래의 해설을 보거나.. 가장 정확한 방법은 실제 법에서 ctrl+f 찾기 기능을 통해 빠르게 확인해보는거다. 오답은 모아두고 나중에 또 보고자 했다.

2과목 교통안전관리론(92점): 안전관리론인데 이 파트는 해볼만하다. 거의 도덕성 테스트 문제도 있고, 특이한 내용의 경우는 한 번 체크해두면 그대로 재출제되기도 한다. 이번 시험에서도, 범론사 책의 기출문제가 그대로 나온 문제도 있었다. 본인이 비전공자인데 평균을 최대한 올리려면, 이 과목에서 반드시 올려버리는 것을 추천한다.

먼저 한 블로그의 안전관리론 요약집을 읽었다.(철도교통안전관리자 치면 나오는 티스토리 블로그...유명한 블로그 하나 있다) 그리고 문제는 범론사 책의 것들을 전부 풀었다. 역시 오답은 모아두고 나중에 또 보았다.

3과목 철도공학(56점):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서 기출문제를 열심히 보았는데, 실제 시험은 그것보다 더 어렵다고 느꼈다. 여기서는 과락만 면해야겠다는 생각으로 시험에 임했다. 타 블로그에 요약집이 있긴 한데, 비전공자로서 읽어도 무슨 말인지 하나도 이해가 되지 않았다. 그래서 문제를 풀고 개념을 찾아가는 식으로, 귀납적으로 공부했다.

먼저 범론사 책의 문제를 풀고, 틀린 문제는 간단한 해설을 보거나, 궁금한 경우에는 인터넷으로 찾아보면서 이해해보기도 했다. 오답은 체크해놓고 다시 풀었다.

4과목 열차운전(44점): 진짜 과락할 뻔 했다. 두 문제만 더 틀렸으면...아찔하다. 공부했던 방법을 소개는 하지만 다른 분들의 학습법을 보길 더 권하긴 한다. 3가지 과목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데, 보통 열차운전 많이 선택하고, 전기공학에 대한 사전지식이 있으신 분들은 전기이론 많이 하시는 것 같다. 철도신호는 범론사 책에 있었는데 나는 사람들 추천대로 열차운전으로 했다. 책에 없어서 그런지 뭘로 공부해야할지 가장 감이 안왔던 과목이 열차운전이었다..

운전이론/철도차량운전규칙/도시철도운전규칙이 출제된다. 규칙 2개는 꼭 비교하면서 공부해야 한다. 실제 문제도 철도차량과 도시철도규칙을 비교하는 문제가 나왔는데, 나는 마지막에 이걸 더 열심히해서 그런지 점수가 떨어진 것 같다.

그것보다도 운전이론이 어렵다. 운전이론은 다음 책으로 공부하고 책의 문제를 풀었다. 이 책만 해도 문제가 어렵기 때문에, 실제 공부시간은 운전이론이 제일 많이 않았나싶다.(하지만 점수는...그래서 다른 분들 방법을 더 권합니다)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88963562100&orderClick=LAG&Kc= 

철도운전 이론해설 - 교보문고

▶ 이 책은 철도운전 이론해설에 대해 다룬 도서입니다. 철도운전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www.kyobobook.co.kr

4. 별도 팁

- 여기 블로그에 보면 오답노트, 요약정리 글들이 여러 개 있다. 혼자 공부하려고 쓴 글이며, 범론사 책의 문제를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내가 풀 때 자주 틀렸던 문제이므로, 나중에 공부가 어느 정도 되시고 한 번 보면 도움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하여 글을 지우지는 않았다. 시험장 갈 때, 시험장 핸드폰 제출 전까지도 오답노트를 보며 문제를 눈에 익히려 했다. 굳이 이 블로그가 아니더라도 범론사 책의 기출문제를 푸실 때에는 꼭 오답을 체크해서 여러 번 보는 것이 중요하다.

- 올해부터 CBT 시험으로 바뀌었다. 필기구 필요없고, 운전면허 필기시험처럼 컴퓨터로 답만 체크하면 되는 방식이어서 편하다.

- 시험 합격 시 접수처에서 바로 자격증을 발행받을 수 있는데, 후견등기사항부존재증명서인지 그거 안 가져가면 당일날 못 받는다. 당일에 바로 받고 싶으시면 증명서 꼭 미리 출력해서 가져가는 것이 좋다.(어디서 출력하는지는 교통안전관리자 아마 홈페이지가면 있을 것이다)

- 시험을 서울 구로구에서 봤는데, 처음 가는 곳이라 찾아가기 은근 어렵다. 여유있게 시험장에 도착하시는 것이 좋겠다.

철도교통안전관리자 pdf - cheoldogyotong-anjeongwanlija pdf
육교로 철로를 건너서 간신히 도착

- 위에서 얘기한 '유명한 블로그, 도움받았던 블로그'는 이 곳이다. 다만 2017년에 작성된 것이라 이 블로그 것만 믿고 공부한 게 아니고, 2021 최신 범론사 책이랑 병행해서 공부했던 것..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rkdgptjd1324&logNo=221152246124&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