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슨 청소기 as센터 - daiseun cheongsogi as-senteo

다이슨 청소기 as센터 - daiseun cheongsogi as-senteo

사진과 기사는 관련 없음/사진=게티이미지뱅크
그간 사후지원(AS) 서비스가 좋지 않다는 얘기를 많이 들어서 걱정도 됐는데 막상 이용해보니 생각보단 편리하던데요?

영국 가전업체 다이슨 무선청소기를 1년간 이용했던 40대 A씨는 최근 처음으로 제품 AS를 맡겨본 후기를 이같이 밝혔다. A씨는 회사 측과 카카오톡으로 상담을 진행하고 센터를 방문하지 않고도 택배만으로 AS를 진행해 열흘 안에 제품을 고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국내에서 사업을 하는 해외기업들이 최근 들어 AS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이들은 '외국기업 제품은 브랜드 파워는 있지만 AS 서비스가 좋지 않다'는 기존 국내 소비자 인식을 바꿔가겠다는 계획이다. 이들은 삼성, LG 등 국내 제조사들과의 격차를 줄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3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2018년 한국에 지사를 처음 설립한 다이슨은 현재 △전문가 클리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리미엄 서비스 센터 1곳 △다이슨 전문 서비스 센터 7곳 등을 포함해 전국에서 총 64곳의 서비스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다이슨은 국내 소비자들로부터 AS 서비스에 대해 지적을 지속 받아 왔다. 국내 시장에서 무선청소기 대중화를 이끌었지만, 판매량 대비 전국 서비스센터가 턱 없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어서다.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보면 제품 부품 수급도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아 장기간 기다려야 했다는 소비자들의 후기도 자주 눈에 띄었다.

다이슨 청소기 as센터 - daiseun cheongsogi as-senteo

서울 여의도 IFC몰에 위치한 다이슨 데모스토어 전경. 이곳에선 AS 서비스가 진행되지 않는다/사진=연합뉴스

다만 "원활한 AS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것이 한국 소비자들의 니즈인 부분을 이해하고 있고, AS개선을 우선순위 중 하나로 추진하고 있다"는 게 다이슨의 설명이다. 소비자와의 접점을 늘리기 위해 서비스 센터 수를 크게 늘렸고 다양한 AS 서비스를 시행 중에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다이슨은 2년의 보증 기간 동안 제품 수리를 맡기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72시간 이내에 제품을 수리하는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들어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따라 직접 소비자를 방문하는 픽업 서비스와 택배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다이슨 관계자는 "택배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에게는 제품 수거 박스 제공과 함께 수리 기간 동안 제품을 대여해준다"며 "고객들이 서비스를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제품 입고부터 출고까지 관련 영상 및 정보를 카카오톡으로 발송한다"고 설명했다.

외국 스마트폰 업체들도 한국 시장에서 AS를 강화하고 있다.

'외산폰의 무덤'이라 불리는 한국에서 유일하게 경쟁에서 살아남은 애플은 2019년부터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만 실시한 사설 휴대폰 수리점에도 정품 부품과 장비를 제공하는 '개별 수리 서비스 제공업체 프로그램'을 한국에서도 시행키로 했다.

애플의 AS센터 개수는 지난해 기준 92개로, 삼성전자(178개), LG전자(171개)의 절반에 그쳤지만, 이번 프로그램 시행으로 국내 사설 휴대폰 수리점에서도 애플 정품 부품과 도구, 수리 매뉴얼 및 진단 시스템 등을 이용해 애플 제품 수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이번주 후반부터 이 프로그램이 시행되면 가까운 곳에 공인 서비스 업체가 없어서 불편을 겪었던 일부 소비자들의 접근성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그간 애플코리아는 아이폰을 사설 업체에서 수리한 기록만 있어도 보증 기간 내 부품에 대한 리퍼나 수리를 해주지 않았다.

다이슨 청소기 as센터 - daiseun cheongsogi as-senteo

서울 영등포구 IFC몰 애플스토어 여의도점/사진=뉴스1

이와 함께 애플코리아는 이동통신사들에 대해 거래상 지위를 남용한 행위와 관련해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에 제출한 시정방안 및 상생방안 중 하나로 △보험 상품 '애플케어 플러스' 10% 할인 제공 및 기존 구매자엔 10% 환급 △애플 공인서비스센터 및 이통사 서비스센터서 아이폰 수리시 10% 할인 등을 진행키로 했다.

최근 중저가 보급형 스마트폰 '레드미 노트10' 시리즈를 통해 국내 시장에 재진출한 샤오미는 전국 23곳 SK네트웍스 서비스 공식 AS지점에서 스마트폰을 수리할 수 있도록 AS 지점 수를 확대했다.

실제 해외업체들이 국내 시장 공략을 위해 판매처를 확대하고 AS 지원을 늘리자 수요가 증가한 사례도 있다. 그간 국내 노트북 시장은 삼성전자와 LG전자의 '놀이터'라고 불릴 정도로 국내 기업들이 강세였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에이수스와 레노버 등을 필두로 외산 업체의 점유율이 크게 늘었다. 에이수스는 지난해 11월 기준 전국 41개의 AS 센터와 최대 3년까지 보증 기간 연장 등을 운영하고 있다.

한 해외브랜드 관계자는 "한국 시장은 원래부터 토종 브랜드 수요가 높았지만 최근 들어 이들의 입지가 더 공고해지는 모양새"라며 "코로나19로 가전 및 전자제품 수요가 늘고 있는 만큼 외산업체들의 AS 확대 등은 한국 소비자를 공략하려는 전략 중 하나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배성수 한경닷컴 기자

다이슨 AS 서비스 센터 통해서 얼마전에 망가졌던 다이슨 무선 청소기를 무상수리를 받고  혹시 다른 다이슨 제품 사용자 분들께도 도움이 될까 하고 정보를 공유하고자 글 적어봅니다.  워런티가 지났어도 무료로 무상 수리나 무상 부품 교체받으실 수 있으니까 밑에 글 읽으시고 다이슨 제품 문제가 있는 분들은 근처 공식 다이슨 AS 서비스 센터가 있는지 검색해보세요.

몇 달전에 새로운 아파트로 이사하면서 4년 동안 써오던 다이슨 V8 앱솔루트 청소기가 망가졌습니다. 짐 옮길 때 막 다뤄서 망가진 건지 이사와서 쓸려고 봤더니 파워가 아예 켜지질 않았습니다. 인터넷을 뒤져봐도 딱히 고치는 방법도 없고 부품을 교체해야 한다는 얘기가 많았습니다. 워런티를 찾아봤더니 제가 구매했을 당시에는 3년이었던거 같은데 벌써 쓴지가 4년이 되서 포기하고 그냥 블랙프라이데이 세일 때 더 새로운 모델로 새로 사야하나 알아봤습니다. 4년 전쯤에 구매 당시에는 다이슨 V8 앱솔루트 모델을 $300 정도에 주고 샀는데 요즘은 세일해도 $350 - $400 정도에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더 새로운 모델인 V10과 V11은 휠씬 더 비싸구요… 요즘 코로나 때문에 집에서 청소들만 하시는지 수요가 많아서 그런지 가격을 더 높게해서 판매하는 거 같네요. 새로 살려니 가격도 만만치 않고 망가지기 전까지는 멀쩡했던 거라 새로 사기전에 수리가 가능한지 먼저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구글 맵 /지도 등에서 근처 다이슨 AS 서비스 센터 검색하실 때 “dyson service center”로 검색하세요. 그래야 다이슨 공식 서비스 센터 위치들이 뜹니다. 다른 단어들을 이용해서 검색하시면 사설 수리점들이 같이 뜰 확률이 높습니다. 저는 미국 뉴저지 주에 살고 있는데 검색했더니 파라무스 (Paramus)에 공식 다이슨 서비스 센터가 위치해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다이슨 서비스 센터가 일요일과 월요일은 닫고 화요일 – 토요일, 5일만 오픈합니다. 그리고 서비스 센터 위치마다 시간이 다 다릅니다. 뉴저지 파라무스 서비스 센터는 화요일 – 토요일까지 희한하게 9am에열고 3pm에 일찍 닫습니다. As 센터 마다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구글 등에 검색해 보시고 가세요.  주말은 토요일만 열기 때문에 사람이 많을 거 같아서 기다렸다가 평일에 쉬던 날 오전에 갔습니다.  적어도 제가 갔던 뉴저지 서비스 점은 예약은 필요 없고 선착순이었습니다.

다이슨 청소기 as센터 - daiseun cheongsogi as-senteo

 

다이슨 청소기 as센터 - daiseun cheongsogi as-senteo

요즘 코로나 때문에 그런지 서비스 센터 문을 잠그고 운영 중이었습니다. As 센터로 들어가실 수 없고 다이슨 서비스 센터 앞에 파킹하고 차에서 기다리시면 As 직원이 나옵니다. 10 – 15분 정도 차에서 기다렸더니 As 직원이 나와서 연락처를 적고 어떤 문제가 있는지 물어보았습니다. (15분 정도 지나도 아무도 나오지 않으면 매장 앞에 나와있는 전화번호로 연락해보세요.) 연락처 빼고는 워런티가 있는지 등 다른 질문은 하지 않았습니다. 제 다이슨 V8 앱솔루트 청소기가 켜지지 않는다고 했더니 위쪽 모터/손잡이 부분만 빼서 가지고 들어갔습니다. 10 – 15 정도후에 나오더니 베터리가 문제였다고 하면서 새 걸로 바꿨다고 하면서 무상 교체해 주었습니다. 워런티가 지나서 수리비가 들지 알고 캐쉬 뽑아갔었는데 이런 돈 굳었다는 생각에 행복감이!! ^^

다이슨이 비싸기는 한데 성능이나 편리함 등 As 까지 너무 좋아서 사길 잘했었다고 생각하면서 기쁜 마음으로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다이슨 청소기 as센터 - daiseun cheongsogi as-senteo

(다이슨 서비스 센터에서 베터리 무상 교체받고 다시 태어난 저희집 다이슨 V8 앱솔루트 청소기 사진입니다 ^^)

다이슨 청소기 뿐만 아니라 드라이어기, 선풍기/히터 등 다른 다이슨 제품들도 망가지시면 새로 사시거나 사설 수리점에 가지고 가시지 마시고 공식 다이슨 AS 서비스 센터 검색해 보시고 가지고 가보세요. 저 말고도 구글 리뷰보니까 워런티가 지났어도 무상수리나 무상 부품 교체 받았다는 얘기가 많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