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살로니가전서 5장 16-18절 설교 - desallonigajeonseo 5jang 16-18jeol seolgyo

����δϰ����� 5�� 16-18��

����� �ູ�� �ٿ��̴�

��. ����� �츮�� ���Ͻ� �ϳ����� ���̴�.

18��, “���翡 �����϶� �̰��� �׸����� ���� �ȿ��� ���� ���Ͻ� �ϳ����� ���̴϶�.”

* ������ ������ �ູ�ϰ� �� �� �ִ� ����� �����ش�. Ư���� ����� �츮�� ���� �ູ�ϰ� ����� �ְ��� ����̴�. �װ��� ���� �츮�� ����, �츮�� ���Ͻ� �ϳ����� ���̴�.

* ���⼭ �ϳ����� ‘��’(������)�� ‘�����ϴ�’ �Ǵ� ‘�⻵�ϴ�’��� ‘����’���� �����Ͽ���. �� ����� �츮�� �ູ�ϱ⸦ �ٶ�ô� �ϳ����� ������ �⻵�Ͻô� ���̿� ������ ���Ͻô� ���̴�.

* ������ �ϵ��� ���������� �ؾ� �Ѵ�. ���翡�� ���簡 ���ľ� �Ѵ�. “����� �����ϴ� �ڰ� �Ƕ� �ÿ� ���̿� �ŷ��� �뷡�� �θ��� ������ ���������� �ϳ����� ����”�϶�� �Ͽ���(��3:15-16).

* �⵵�� ���������� �ؾ� �Ѵ�. “�⵵�� �׻� ������ �⵵�� ���������� ���� ������”�� �Ͽ���(��4:2). �� “�ƹ��͵� �������� ���� ���� ��� �Ͽ� �⵵�� ������ ���� ���� ���� ���������� �ϳ��Բ� �Ʒڶ�”�� �Ͽ���(��4:6). � �Ϸε� �ϳ��Բ� �����ϰ� �����ϴ� ���� �ž����� ������ �ƴϴ�. �žӻ�Ȱ�� ����� �����Ͽ� ����� ��ġ�� ���� �ϳ����� ���̴�.

��. ����� ������ �����ϴ� ���̴�.

18��, “���翡 �����϶�.”

* ���⼭ ‘����’(��ī�����׿�)�� ‘�ùٸ��� ���ϴ�’(��)�� ‘����’(ī����)�� �ռ����� �̷���� ���̴�. �� ����� ������ ���� ����� ������ ���� �ùٸ��� ���Ͽ� ������ �ֽ� �̸� ��ڰ� �ϴ� ���̴�. ����� ǥ�� �� �̻��̴�. ���� ������ ����� ��������� ������ ���簡 �ƴϴ�.

* �ٿ��� “�츮�� �ϳ��԰� �Բ� ���ϴ� �ڷμ� ���� ���ϳ�� �ϳ����� ������ ����� ���� ����”�� �Ǹ��Ͽ���(����6:1). ���� ‘�����’(���̽� �ɳ�)���� ‘�ɳ뽺’�� ‘������ ����’ �Ǵ� ‘�����’�̶�� ���� ���� �ִ�. ������ �޾����� ������ ����Ͽ� ����� �ƹ� ������ ���� ���� ���ϸ�, �װ��� �ᱹ ����� �ൿ���� �����ش�.

* �������� ��������, ���ڴ� �ƹ����� �ֽ� �繰�� ����� �����ϰ� ������ �Ǿ� ���ƿԴ�. �״� ������ ����� ��ư��� ����� �������� ����̴�. ����� �޶�Ʈ�� �ް��� �����ϰ� ���ٸ� �̴� ������ �����. �ټ� �޶�Ʈ�� �޾����� �ټ� �޶�Ʈ�� ����� ���� �ùٸ� ���̴�.

��. ������ ���翡 �����ؾ� �Ѵ�.

18��, “���翡 �����϶�.”

* ������ ���縦 �ϵ� ���翡 ���縦 �ؾ� �Ѵ�. ���翡 �����ϴ� ���� ���� ���� �ƴ϶� ����� ������ �����ϴ� ���� ���Ѵ�. ���� �Ͽ��� ���縦 ���ϴ� ������� ���� �ִ�. ������ ����� �Ͽ� �����ϴ� ���� ���� ��ƴ�. �׷��� ����� �Ͽ��� ������ �� �־�� ������ �ž��̴�.

* ���翡 �����Ϸ��� ������ �־�� �Ѵ�. �ϳ����� �Ͻô� ���� ��� ���� ������ �Ͼ�� �Ѵ�. �ٿ��� “�츮�� �˰ŴϿ� �ϳ����� ����ϴ� �� �� ���� ���� �θ����� ���� �ڵ鿡�Դ� �ϳ����� ��� ���� ���Ͽ� ���� �̷�ô��϶�”�� �Ͽ���(��8:28). �̷��� ������ �ʿ��ϴ�.

* ������ ����̶� ���翡 �����ϱⰡ ���� �ʴ�. �׷��� ������ “���� ���� �⵵�϶�”�� �Ͽ���(17��). ���⼭ ‘�⵵�ϴ�’(���ν��ɽ���, �߼���)�� �����ϴ� �⵵�� �ƴ϶� �ϳ����� ������ ���(������) �⵵�� ���Ѵ�. �⵵�ϴ� ��� �ϳ����� ������ ��� ��ſ� �������� �����ϴ� ���� ����� �Ͽ� ���ؼ��� �ϳ����� ���� ���� ���ݰ� �ǰ� �����ϰ� �ȴ�.

��. ���翡 �����ϴ� �̵鿡�� ����� �ִ�.

16��, “�׻� �⻵�϶�.”

* ������ �ܶ��� �׻� �⻵�϶�� �������� �����Ѵ�. “�׻� �⻵�϶�”�� ������ �� �ܶ��� �����̱⵵ �ϴ�. �׸��� “���� ���� �⵵�϶�”�� ������ “���翡 �����϶�”�� ������ �׻� �⻵�� �� �ֵ��� ����� ���� ��ĵ��̴�. �� ���� ���� �⵵�ϸ� ���翡 �����ϴ� ����� �׻� �⻵�� �� �ְ� �ȴٴ� ���� �ȴ�. ���翡 �����ϴ� ����� �׻� �⻵�� �� �ִ� ���� �޴´�.

* ���翡 �������� ���ϰ� ����� �������� ��� ����� ������ ����̴�. �׷� ������� ���� ���� ��ο�����. �׷� ������� �����Ŀ�� ���, ����, ����, ������ �����ϰ� �ȴ�.

* ���� ���ڴ� “����� ���縦 �帮�� �ڰ� ���� ��ȭ�Ӱ� �ϳ��� ���� ������ �ǰ� �ϴ� �ڿ��� ���� �ϳ����� ������ ���̸���”�� �Ͽ���(��50:23). ����� �ϳ����� ��ȭ�Ӱ� �ϴ� ���� ������ �ǰ� �ϴ� ���̸� �׵鿡�Դ� �ϳ����� ������ ���Ѵ�. ���⼭ ‘����’(����)�� ‘�߻�’���� �����Ͽ��µ� ����, ����, ����, �¸� ���� ���� ���� �ִ�. ��ó�� ����� �ູ�� �ٿ��̴�.

 

  범사에 감사하라           (데살로니가 전서 五장 十六-十八절)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살전 五․十六-十八)



  데살로니가 전서 五장 十六절부터 十八절의 말씀은 여러분이 대부분 기억하실 줄 믿습니다.『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라는 글을 아마 다른 문헌에서는 별로 찾을 수 없는 것인 줄 압니다. 얼핏 생각하면 이 말씀은 불가능한 권면이 아닌가 생각되기도 합니다.

  어떻게 항상 기뻐할 수 있는가 가끔 기뻐할 수는 있지마는 항상 기뻐할 수 있는가? 어떻게 쉬지 않고 기도할 수 있는가? 어떤 일에는 감사할 수 있지만 어떻게 범사에 감사할 수 있는가?

  그렇지만 여기 계속해서 말씀하기를『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했습니다. 다시 말하면 항상 기뻐하며 쉬지 말고 기도하고 범사에 감사하는 것은 하나님의 뜻이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라는 말씀입니다. 하나님의 뜻이라고 하는 의미는 우리의 의무라는 뜻입니다. 하나님의 뜻이라는 의미는 반드시 그렇게 되리라는 그런 의미도 있는 줄 압니다


  사실 초대 교회의 신자들의 생활을 살펴보면 그러했습니다. 항상 기뻐한다는 일을 우리 보통 생각에는 기분이 좋은 때에는 기뻐할 수 있지만 어떻게 항상 기뻐할 수 있는가 생각합니다. 그러나 초대 교회의 신자들의 생활을 더듬어 보면 항상 기뻐한 증거가 있습니다.

  사도행전 五장 四十-四十一절에는 이런 말이 기록되어 있습니다.『저희가 옳게 여겨 사도들을 불러 들여 채찍질하며 예수의 이름으로 말하는 것을 금하고 놓으니 사도들은 그 이름을 위하여 능력 받는 일에 합당한 자로 여기심을 기뻐하면서 공회 앞을 떠 나니라』했습니다. 핍박 중에도 기뻐했습니다.

  사도행전 十六장 二十三-二十五절에 이런 말이 기록되어 있습니다.『많이 친 후에 옥에 가두고 간수에게 분부하여 든든히 지키라 하니 그가 이러한 영을 받아 저희를 깊은 옥에 가두고 그 발을 착고에 든든히 채웠더니 밤중쯤 되어 바울과 실라가 기도하고 하나님을 찬미하매 죄수들이 듣더라』했습니다. 감옥 가운데서도 기뻐했습니다.


  높은 산 봉오리를 바라볼 때, 망망한 바다를 조망할 때, 혹은 저녁 노을을 쳐다볼 때, 아름다운 화폭을 바라볼 때, 그리고 아름다움에 우리의 심령이 도취되어 그것을 그윽이 계속해서 바라보는 것과 같이 우리는 기도를 통해서 예수님의 얼굴을 바라보고 사모하고 생각하고 말하자면 주님과 신령한 교통을 하는 것입니다.

  물론 이와 같은 기도는 무언의 기도이며 말로 이룰 수 없는 기도입니다. 이 기도는 영 안으로 주님의 얼굴을 바라보는 것입니다. 신령한 눈으로 주님의 얼굴을 바라보는 것입니다. 신령한 눈으로 주님의 얼굴을 바라보는 것이 역시 기도인 것입니다.

  기도는 주님의 음성을 기다리고 신령한 귀로 주님의 음성을 또한 듣는 것입니다 우리의 심령 속에 주님의 뜻이 확실히 나타날 때까지 주님의 지시를 기다리면 주님의 뜻을 받기 위하여 기다리고 애쓰는 것입니다.

  고린도 후서 四장 十二절에『그가 낙원으로 이끌려 가서』라는 말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사도 바울의 기도의 체험입니다. 기도를 통해서 주님의 뜻을 깨닫는 것입니다 기도는 간구만이 아니고 주님의 뜻을 깨닫는 것이기도 합니다.

  한 걸음 더 나아가서 기도는 간절한 소원과 그 간절한 소원을 위해서 우리가 계속적으로 활동할 때에 간접적 의미에서 이것을 기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의 말보다도 우리의 심령 깊은 속에 간절한 소원을 보시고 그 소원을 이루어 주십니다. 우리 입의 말이 문제가 아닙니다. 우리가 기도할 때 어떻게 말을 잘하고 못하는 것이 문제가 아닙니다. 우리의 근본적인 기도는 우리의 심령 깊은 곳에서 간절한 소원을 하나님께 향하여 그 소원을 달성하기 위해 행동하고 생활하고 활동하게 되는 그 생활과 행동까지도 기도가 되는 것입니다.

  그런 까닭에 주님께서 산상보훈에서 기도를 가르치실 때『구하라 주실 것이요』하신 것은 아마 간구 같습니다. 그 다음에 계속해서『찾으라 그러면 찾을 것이요』했습니다. 찾는 것은 아마 활동 같습니다.『문을 두드리라 열릴 것이요』했는데 이것도 열시 활동 같습니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우리가 기도를 통해서 그리스도를 바라보고 그리스도와 교통하고 그리스도의 뜻을 깨달으며 간절한 소원으로써 그리스도에게 아뢰고 그 소원에 의지해서 진실한 생활을 해 가는 이 모든 것을 기도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기도 생활하는 사람에게는 밖으로 나타나는 표가 있습니다. 그것은 무엇인가 하면 첫째는 이런 생활 전체를 통하여 기도 생활하는 사람은 일정한 기도하는 시간이 있습니다.

  우리가 성경을 보면 다니엘은 하루에 세 번씩 일정한 시간에 기도했다고 하였습니다. 우리도 아침이든 저녁이든 또는 낮이든 어떤 때든지 생활 전체가 기도 생활로 사는 사람은 일정한 기도 시간이 있어서 하나님과 만나며 의논하는 시간이 반드시 있습니다. 이런 시간이 전연 없이 나는 간절한 소원이 기도니까 기도 생활한다는 것은 거짓입니다.

  둘째는 이와 같은 기도 생활하는 사람은 짧은 기도, 가령『주여 감사합니다. 주여 이루어 주소서, 주여 나와 같이 하여 주소서, 주여 나를 불쌍히 여겨 주소서』하는 이런 짧은 기도는 간단없이 입에서 떠나기 않고 어떤 일을 당하던지 이런 말이 나옵니다.『주여 나와 같이 하여 주옵소서, 주여 나를 불쌍히 여겨 주옵소서』하는 말이 나올 경우에 딴 생각하고 겉으로는 다른 일을 하지마는 그 속에는 요새 말로 그 잠재의식에 기도가 계속되는 증거입니다.

  여러분 느헤미야 一장을 보면 예루살렘에서 온 하나니야 일행이 예루살렘의 형편을 느헤미야에게 전해 주었던 기사가 있습니다. 그 소리를 듣고 느헤미야는 간절한 마음으로 눈물을 흘리며 하나님께 기도했습니다.

  그러나 느헤미야가 늘 기도만 하고 있을 수 없었습니다. 자기의 책임이 있습니다. 궁중에 들어가서 왕에게 봉사했습니다. 이런 일 저런 일 다했습니다. 그런데 전에는 그렇지 않던 느헤미야의 얼굴에는 수심이 있었습니다. 그러자 왕이 보고  하는 말이『전에는 그렇지 않았는데 어째서 얼굴에 수심이 잇느냐 무슨 까닭이냐 네가 무엇을 원하느냐 무슨 까닭으로 수심이 잇느냐』물었습니다. 이에 느헤미야는 곧 예루살렘에서 온 사람에게 들은 소식을 왕에게 말했습니다.

  왕은『그럼 네가 무엇을 원하느냐?』물었습니다. 느헤미야 二장에 보면『내가 곧 하늘의 하나님께 묵도하고』대답하여 갈아대라고 기록했습니다. 왕이 네가 무엇을 원하느냐 고 물었을 때 느헤미야가 곧 대답하지 아니하고 마음속에 묵도하였습니다. 오해 기도하지 않았습니다. 한마디로 곧 묵도하고 대답했습니다. 이것은 무슨 증거입니까? 느헤미야 一장에서 간절히 기도한 그 기도 생활이 아니요, 느헤미야가 이것저것 하였지만 그의 깊은 속 잠재의식 속에서 기도가 계속되었습니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 믿는 사람들은 언제든지 쉬지 않고 기도해야 되겠습니다.

  셋째는『범사에 감사하라』고 기록했습니다. 이것도 얼른 생각하면 어떻게 우리가 모든 일에 감사하랴 이렇게 생각하지만 사실 성도의 생활을 보면 이것이 사실이었습니다.

  다니엘 六장 十절에『다니엘이 조서에 조인이 찍힌 것을 알고도 집에 돌아가서 전에 하던 대로 하루에 세 번씩 하나님께 감사하더라』이렇게 기록되었습니다. 그것 무슨 조서인지 아십니까? 다니엘이 사자 굴에 들어갈 조서에 어인 이 찍혔습니다. 그런 줄 알면서도 하나님께 무릎을 꿇고 기도하고 기도뿐 아니고 감사하였다고 하였습니다. 무슨 감사를 할 수 있었겠습니까? 그래도 그런 가운데서도 다니엘은 감사했습니다.

  사도행전을 보면 바울이 로마로 가던 도중에 四十일 동안이나 풍랑을 만나서 말할 수 없이 피로하고 약한 가운데서도 먼저 하나님께 감사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외적 세계 혹은 환경은 우리가 쓰는 안경 빛에 따라서 다르게 보입니다.

  검은 안경을 쓰고 세상을 보면 온 세상은 검게 보입니다. 그렇지만 분홍 빛 명랑한 빛깔의 안경을 쓰고 세상을 보면 온 세상은 아름다워 보입니다. 믿음의 안경을 쓰고 보면 보통 사람에게는 검게 보이는 것도 아름답게 보입니다. 검은 구름에도 햇빛이 비치면 무지개로 보입니다. 근심의 안개, 슬픔의 구름에도 그리스도의 빛을 비추면 빛나는 하나님의 영광으로 변하여 집니다. 성 프랜시스의「태양의 노래」를 읽어보면 이 프랜시스가 세상의 모든 일을 다 바라보며 하나님께 감사한 노래가 있습니다. 해를 위해 감사하고 달을 위해 감사하고 별들을 위해 감사하고 산천 초목을 위해 감사하고 형제자매를 위해 감사하고 모든 것을 다 감사하다가 마지막에는 죽음까지 자기 자매라고 부르며「내 자매의 죽음」을 위해 감사하는 감사의 노래를 불렀습니다. 죽음도 주안에서의 죽음은 감사로 변했습니다.

  시편 一一六편의 저자는 이런 말로 노래했습니다.『내 영혼아 네 평안함에 돌아갈지어다. 여호와 하나님께서 너를 후대하시는 도다. 주께서 내 영혼을 사망에서, 내 눈을 눈물에서, 내 발을 넘어짐에서 건지셨나이다. 내가 생존 세계에서 여호와 앞에 행하리로다. 내가 믿는 고로 말하리라. 내가 큰 고난을 당하였도다. 내가 경겁(驚怯) 중에 이르기를 모든 사람은 거짓말쟁이라 하였도다. 여호와께서 내게 주신 모든 은혜를 무엇으로 보답할 고』했습니다.『주님께서 그의 영혼을 사망에서 구원해 내 주시고 그의 눈을 눈물에서 구원해 주시고 그의 발을 넘어지는 데서 구원해 주셨으니 이 여호와께서 내게 주신 모든 은혜를 무엇으로 보답할 것인가?』했습니다.


  우리 믿는 사람에게 근심이 있다고 하면 이런 근심이올시다. 여호와께서 주신 이 은혜를 무엇으로 보답할 고? 은혜에 감격한 가운데서 보답할 길을 찾는 근심밖에 없어야 되겠습니다. 시내 가운데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한 가지는 비가 올 때 빗물이 모여서 내려오는 시냅니다. 비가 오면 물이 많이 내려갑니다. 아주 목욕하기도 좋은 맑은 물이 내려갑니다. 그러나 얼마 동안 가물면 물이 아주 마르고 맙니다. 그러나 압록강이나 두만강은 백두산과 같이 높은 꼭대기는 흰눈으로 덮이고 그 아래 천지라는 호수가 있어 호수에 근원을 둔 강은 아무리 가물지라도 계속해서 맑고 구슬 같은 물이 내려옵니다.


  세상의 환경이나 생활이나 이 세상 것으로부터 내려오는 기쁨과 감사는 사라지고 맙니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깊은 생명 샘 근원에 우리 믿음을 둔 그 사람에게는 아무리 가뭄이 올 지라고 한발이 올지라도 그 천지 속에서 그 마음속에서 기쁨과 감사가 그칠 날이 없습니다.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이것은 믿음의 동산에만 피는 새 꽃송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믿음의 나무에만 열리는 세 가지 열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야말로 믿음의 광산에서만 캘 수 있는 세 가지 보석이라고 할 수 있고 또 믿음의 바다에서 찾을 수 있는 세 가지 진주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이는 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                         



- 한경직 목사 설교전집 2권 中에서 (一九五五년 十一월 二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