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토리얼 영어로 - editolieol yeong-eolo

editorial

adjective noun

  • Of, or relating to an editor, editing or an editorial.

  • 사설

    noun

    en article giving the opinion of editors

    Their attacks in newspapers resulted in lively exchanges of letters fired across the editorial pages.

    신문 지상을 통한 그들의 공격으로 인해서 사설면에서는 서면 공방전이 벌어졌다.

  • 논설

    He probably appeared regularly on the cover of the Zarahemla Weekly and was the subject of editorials and network specials.

    어쩌면 그는 주간 제이라헤믈라라는 주간지 표지에 정기적으로 등장하고, 논설 및 텔레비전 특집 방송의 대상이 되었을 것입니다.

비슷한 구문

형태소

Recently a delightful and very capable woman on a newspaper editorial board asked for a description of the role of women in the Church.

최근에 어느 신문 편집부에서 취재를 나온 아주 유능하고 쾌활한 여성 한 분이 우리 교회 여성의 역할에 대해 설명해 달라는 요청을 해 왔습니다.

In France the well-known monthly paper Le Monde Diplomatique has advocated the antiglobalization cause and an editorial of its director Ignacio Ramonet brought about the foundation of the association ATTAC.

프랑스에서는 잘 알려진 월간지, 르 몽드지가 반 세계화 운동을 지지하였고 르몽드지의 편집자인 gnacio Ramonet의 사설은 국제금융관세연대의 설립을 가져오기도 하였다.

There is another kind of graffiti that I find far more interesting, which I call editorial graffiti.

제가 찾은 훨씬 더 흥미로운 다른 종류의 그라피티는 논설적 그라피티라는 것입니다.

In modern times the Governing Body has been closely identified with the editorial staff of the Watch Tower Society and its board of directors.

현대의 통치체는 워치 타워 협회의 편집부 요원 및 그 이사회와 거의 동일시되었다. 그러나 통치체는 법인체와는 다르다.

Hence Moffatt marks all except the last of these verses in double brackets, calling them “either editorial additions or later interpolations.”

그래서 「모펏」역은 이 부분에서 마지막 절을 제외하고 전체를 겹대괄호로 묶어서 표시하며, 이 부분이 “편집자가 부가한 내용 또는 후대의 삽입문”이라고 본다.

Vyacheslav Tsyplukhin, who publishes Zuckerberg Pozvonit, stated on Facebook that, according to its editorial policy, ZP media intentionally avoids any political issues.

주커버그 포즈보닛 발간인인 뱌체슬라브 츠플류킨은 페이스북에서 현 편집 정책에 따라 주커버그 포즈보닛은 정치적 현안을 다루지 않고 피해왔다고 밝혔다.

For example, an editorial in the Athens News noted that “Greece is making every effort to win its bid to stage the 1996 Olympic Games in Athens.”

예를 들면, 「아테네 뉴스」지의 사설은, “그리스는 1996년 올림픽 경기를 아테네로 유치하기 위해서 온갖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라고 지적하고 나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Additionally, creating links that weren’t editorially placed or vouched for by the site’s owner on a page, otherwise known as unnatural links, can be considered a violation of our guidelines.

또한 페이지에 사이트 소유자가 감수하거나 보장하지 않은 비정상적인 링크를 삽입하는 경우도 가이드라인 위반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Interestingly, in the March 15, 1987, edition of The Sunday Gleaner from Kingston, Jamaica, an editor, after reading the 1987 Yearbook of Jehovah’s Witnesses and commenting favorably about our rapid growth, concluded his editorial with this statement: “If the insistent urging to preach more is heeded in this service year, the 1988 Yearbook should be even more impressive.”

흥미롭게도, 자메이카, 킹스턴의 「선데이 글리너」지, 1987년 3월 15일자에서, 어느 논설 위원은 「1987 여호와의 증인의 연감」을 읽고 우리의 급속한 성장을 호의적으로 평가한 후에, 이러한 말로 그의 사설을 마무리 지었다.

An editorial note by James Strong in Lange’s Commentary on the Holy Scriptures (Da 9:25, ftn, p. 198) says: “The only justification of this translation, which separates the two periods of seven weeks and sixty-two weeks, assigning the former as the terminus ad quem of the Anointed Prince, and the latter as the time of rebuilding, lies in the Masoretic interpunction, which places the Athnac [stop] between them. . . . and the rendering in question involves a harsh construction of the second member, being without a preposition.

“칠 주와 육십이 주, 두 기간을 구분하여, 전자를 기름부음받은 군왕이 도래할 기한으로 정하고 후자를 재건 기간으로 정하는 이런 번역을 정당화할 만한 근거는 오직 마소라 구두점에만 있다. 이 구두점은 그 둘 사이에 아트나흐[멈춤]를 두는데, ··· 문제의 번역 표현은 둘째 부분을 전치사가 없는 투박한 구문으로 만들고 만다.

After one of these was built in the United States, a newspaper editorial said: ‘Something more valuable than a building was created by those 2,000 volunteers.

미국에서 이러한 건물 중 하나가 건축된 후에, 한 신문 사설에서는 이렇게 말하였읍니다.

For example, United States Senator Frank Church spoke out against the persecution, and said in the Senate: “I ask unanimous consent that an editorial from The Wall Street Journal and an article written in Zambia by Dial Torgerson for the Los Angeles Times which reveals what is happening to the Witnesses be printed in the [Congressional] RECORD.”

예를 들면, 미국 상원 의원 ‘프랭크 처어치’는 박해에 대하여 공개적인 항의로 상원에서 이렇게 말하였다. “본인은 「월 스트리트 저어널」지의 사설과 ‘다이얼 토거슨’이 ‘잠비아’에서 쓴 「로스앤젤레스 타임즈」지 기사 즉 증인들의 사태에 대하여 쓴 기사를 의회 기록에 포함시키도록 만장일치의 동의를 구하는 바입니다.”

He has produced over 400 scholarly publications and has served on the editorial review boards of 42 journals.

400회 이상 학술 집필을 했고, 42개 저널들의 편집위원회에 참여한 경력이 있다.

A New York Times editorial was correct when it said of the judicial system: “In essence, the picture is one of a ‘system’ constantly threatening to collapse of its own weight, functioning in a manner more designed to avoid that collapse than to mete out justice or to protect the public.” —February 7, 1975.

「뉴우요오크 타임즈」의 사설에서 사법 기관에 대하여 이렇게 말한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간단히 말해서 자체의 무게로 붕괴될 위협을 항상 느끼고 있는 ‘조직’ 상태이며, 정의를 시행하고 공중을 보호한다기보다는 자체의 붕괴를 막는 식의 기능을 더 많이 수행하고 있다.”—1975년 2월 7일자.

The Google Ads policies on Editorial & professional requirements and Misrepresentation of self, product or service will be revised in June 2015 to clarify our position on ads that aren’t clear about the product, service or business that’s being promoted as well as promotions that mislead or trick the user into interacting with them.

광고문안 작성 및 전문성 관련 요구사항과 광고주, 제품, 서비스에 대한 허위 설명 관련 Google Ads 정책이 2015년 6월에 개정될 예정입니다. 이번 개정은 홍보 중인 제품, 서비스, 비즈니스를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는 광고를 비롯하여 사용자를 호도하거나 기만하는 프로모션에 대한 Google의 입장을 명확히 하려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Apply this label to your publication if you primarily publish newsworthy user-generated content which has already gone through a formal editorial review process on your site.

사이트에서 정식으로 편집자 검토 과정을 거쳐 뉴스로서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주로 게시하는 경우 이 라벨을 적용합니다.

In Putin’s third term, small websites have been blocked and larger outlets have been pressured into editorial changes that have watered down the critical news coverage available to many Russian Internet users.

푸틴이 세 번째 임기를 시작하면서, 러시아 정부는 규모가 작은 웹사이트는 차단하고, 규모가 있는 뉴스 매체에는 그동안 러시아 누리꾼이 즐겨 읽었던 뉴스 기사에서 정부를 비판하는 수위를 낮추라고 압박했다.

In order to find the secret newspaper’s editorial offices, homes were raided.

비밀 신문 편집소를 찾아내기 위하여 가택들은 수색을 당하였다.

The editorial staff of Kurir alarmed the Serbian police about the issue, asking them to take the necessary measures against the group.

쿠르이르의 편집부는 세르비안 경찰에게 이 사태에 대해 경고했으며 이 단체에 대해 필요한 조치를 가해달라고 청했다.

The next day, in an editorial entitled “The League of Peace,” The Times of London said: “It is a cause of legitimate pride to recognize in the Covenant so much of the work of Englishmen. . . .

그 다음날, “평화의 연맹”이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런던의 「타임스」지는 이렇게 논하였다. “그 규약에 있어서 영국인이 이룩한 그토록 큰 업적을 인정하는 것은 진정한 자부심을 가질 만한 이유가 된다.

Sue Kendall-Bilicki, Vincent Finat-Duclos and Patrick Hamm provided editorial support throughout.

Sue Kendall-Bilicki, Vincent Finat-Duclos, Patrick Hamm은 전반적인 편집을 지원하였다.

Of course, it is not surprising that this company, which spends $15 million on magazine advertising, would expect “a proper editorial environment.”

물론, 잡지 광고에 1500만 달러나 투자하는 이 회사에서 “적절한 광고 환경”을 기대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Illustrating the failure to meet the challenge of violence was an editorial in Britain’s Nursing Times.

영국의 「간호 타임스」(Nursing Times)지의 한 사설에서는 폭력의 도전에 대처하지 못하는 것을 설명했다.

This is a figure from an editorial that I published in the European Heart Journal this last summer.

이 그림은 제가 쓴 사설에 나온 것인데요, 지난 여름‘유럽심장저널’에 발표되었구요, 이 픽토그램이 왜 더 많은 여성들이 심장질환으로 사망하는지 그 이유를 보여 줍니다.

Back in 1912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contained an editorial entitled “The Undervalued Banana.”

1912년으로 소급하여 미국 의학 협회지는 “가치 없는 ‘바나나’”라는 제목의 사설을 실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