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 외회전 내회전 - eokkae oehoejeon naehoejeon

KR101122750B1 -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 - Google Patents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KR101122750B1 KR101122750B1 KR1020070101190A KR20070101190A KR101122750B1 KR 101122750 B1 KR101122750 B1 KR 101122750B1 KR 1020070101190 A KR1020070101190 A KR 1020070101190A KR 20070101190 A KR20070101190 A KR 20070101190A KR 101122750 B1 KR101122750 B1 KR 101122750B1AuthorityKRSouth KoreaPrior art keywordsrotationinternalshoulderclampshoulder jointPrior art date2007-10-09Application numberKR1020070101190A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7511A (koInventor한창수한정수김태식장혜연장재호Original Assignee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2007-10-09Filing date2007-10-09Publication date2012-03-23 2007-10-09 Application filed by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2007-10-09 Priority to KR1020070101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750B1/ko 2009-04-16 Publication of KR20090037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511A/ko 2012-03-23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2012-03-23 Publication of KR101122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750B1/ko

Links

  • Espacenet
  • Global Dossier
  • Discuss
  • 210000000323 Shoulder Joint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4805 robotic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0245 Forearm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s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10000001503 Joints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2567 electromy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78 mimic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310 Elbow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58 Humer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79 ab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7/00Joints
    • B25J17/02Wrist joints
    • B25J17/0258Two-dimensional joints
    • B25J17/0275Universal joints, e.g. Hooke, Cardan, ball joints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의 근력 보조나 감각장치(haptic device)를 위한 착용형 외골격 로봇의 어깨 관절 내/외회전 구현 메커니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근골격계 환자나 특수 임무 수행을 위한 군인, 건설현장에서 큰 힘을 필요로 하는 작업자 외에 여러 분야에서 상지 근력의 증폭을 위하여 쓰이게 된다. 또한, 관절과 근육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하고 분석하여 가상현실분야나 재활을 목적으로하는 의료분야 등에서 쓰이는 감각 장치(Haptic device)로 쓰이게 된다.

또한, 전상방거상, 후방거상( Flexion/ Extension), 측상방거상, 내전( Abduction/ Adduction)의 2 자유도 메커니즘과 구조적으로 떨어져 있는 내/외회전(internal/ extenal rotation) 메커니즘을 구현하여 기구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궁극적으로 어깨 3 자유도 구현 방법론을 제공하는데 있다.

어깨관절, 메카니즘. 감각장치, 로봇, 근력보조, 외골격, 3자유도

Description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 {Development of wearable robot device for the internal/external rotation of shoulder joint}

본 발명은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간의 근력 보조나 감각장치(haptic device)를 위한 착용형 외골격 로봇의 어깨 관절 내/외회전 구현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례의 어깨관절 외골격은 전상방거상, 후방거상(Flexion/ Extension)의 1자유도 또는 측상방거상 및 내전(Abduction/ Adduction)을 포함한 2자유도의 외골격들이 주로 개발되어왔다.

이렇게, 총 3자유도의 어깨 관절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메커니즘이 활발히 개발되지 못하는 이유는 어깨 관절의 또 다른 자유도인 내/외회전(internal/ external)의 회전 중심축이 상완골(humerus)의 길이방향으로의 중심에 있기 때문에 기구부 설계나 구동기 또는 엔코더의 축을 일치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어깨 외골격의 구동을 위하여 구동기(actuator)를 설치할 때 3개 이상 의 구동기 또는 엔코더를 설치하기에 공간적으로 무리가 있고, 각각의 구동기와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어깨 관절 외골격의 3자유도를 구현한 메커니즘이 개발된 사례가 국내에서는 전무하며 해외에서 개발된 메커니즘 또한 외골격의 크기가 너무 커서 착용형 외골격 로봇에는 적합하지가 않다.

또한, 본 발명과 비슷한 개념으로 어깨부분에 전상방거상, 후방거상(Flexion/ Extension), 측상방거상, 내전(Abduction/ Adduction)의 2 자유도 메커니즘을 구현하고, 상박(upper arm) 부위에 내/외회전(internal/ external rotation)을 구현한 메커니즘이 개발된 사례가 있으나 내/외회전 메커니즘이 원통형으로 되어있고, 그 안에서 인체의 상박이 들어가서 회전하는 형태이므로 기구 간 또는 인체 부위 간에 많은 간섭이 생겨 동작에 제한을 주게 되고, 인체의 내/외회전의 동작 범위는 0~90° 이지만, 원통형의 메커니즘은 360°의 동작 범위를 제공하므로 불필요한 동작 범위를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어깨 관절의 내/외회전(internal/external rotation)을 구현을 할 수 있는 착용형 외골격 로봇 메커니즘을 제공함과 전상방거상, 후방거상(Flexion/ Extension), 측상방거상, 내전(Abduction/ Adduction)의 2 자유도 메커니즘과 구조적으로 떨어져 있는 내/외 회전(internal/extenal rotation) 메커니즘을 구현하여 기구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궁극적으로 어깨 3 자유도 구현 방법론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체 상지 어깨 관절의 근력 보조나 증폭을 요하는 분야에 쓰이는 착용형 외골격 로봇의 어깨 내/외회전(internal/extenal rotation) 구현한 구조이다.

또한, 관절과 근육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인체의 어깨 관절 움직임을 판단하고 분석하여 가상현실분야나 재활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분야 등에서 쓰이는 감각 장치(Haptic device) 어깨 내/외회전(internal/external rotation) 메커니즘이다.

그리고, 기구와 신체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안된 1/4원통형의 내/외회전 구동장치이다.

아울러, 근전도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힘센서(force sensor), 엔코더(encoder)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인체 상지의 어깨 내/외회전 관절 동작을 모방하는 착용형 외골격 로봇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재활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용이나 특수 임무의 군사용, 건설용등 근력의 증폭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 광범위하게 쓰일 수 있는 착용형 외골격 로봇이나 관절과 근육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움직 임을 판단하고 분석하여 가상현실분야나 재활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분야 등에서 쓰이는 감각 장치(Haptic device)의 어깨 내/외회전 구현 메커니즘으로써 근력 보조 및 증폭 그리고 동작 감지에 효과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깨 3자유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어깨 관절 부분에 3개의 관절을 집중시키는 메커니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즉, 어깨 3자유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어깨 관절 부위에 3개의 관절을 집중하여 설계를 할 경우 설계가 복잡해지고, 설계된 관절 또한 무리하게 커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관절 메커니즘에 구동기나 엔코더를 설치할 경우 각각의 부품별 간섭이 많이 생기게 되며, 이를 통해 어깨 동작이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어깨 부분에 전상방거상, 후방거상(Flexion/ Extension)과 측상방거상 및 내전(Abduction/Adduction)의 2자유도 메커니즘을 설계하고 상박(upper arm) 부위에 내/외회전(internal/ external rotation) 메커니즘을 설계하여 어깨 관절의 동작범위를 충분히 구현하며, 기구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1/4의 원통 형태로 제작된 내/외회전 구동 장치 내에서 회원운동을 원활히 전달하기 위하여 벨트 풀리, 벨트, 롤러 등을 이용하였고 이를 통하여 효과적인 회전 운동 전달 효과를 가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인체 상지 어깨 관절의 근력 보조나 증폭을 요하는 분야에 쓰이는 착용형 외골격 로봇의 어깨 내/ 외회전(internal/extenal rotation) 구현한 구조이다.

또한, 관절과 근육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인체의 어깨 관절 움직임을 판단하고 분석하여 가상현실분야나 재활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분야 등에서 쓰이는 감각 장치(Haptic device) 어깨 내/외회전(internal/external rotation) 메커니즘이다.

그리고, 기구와 신체와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안된 1/4원통형의 내/외회전 구동장치이다.

아울러, 근전도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힘센서(force sensor), 엔코더(encoder)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인체 상지의 어깨 내/외회전 관절 동작을 모방하는 착용형 외골격 로봇이다.

본 발명은 인간의 근력 보조나 감각장치(haptic device)를 위한 착용형 외골격 로봇의 어깨 관절 내/외회전 구현 메커니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근골격계 환자나 특수 임무 수행을 위한 군인, 건설현장에서 큰 힘을 필요로 하는 작업자 외에 여러 분야에서 상지 근력의 증폭을 위하여 쓰이게 된다.

또한, 관절과 근육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하고 분석하여 가상현실분야나 재활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분야 등에서 쓰이는 감각 장치(Haptic device)로 쓰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어깨 3자유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어깨 관절 부분에 3개의 관절을 집중시키는 메커니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즉, 어깨 3자유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어깨 관절 부위에 3개의 관절을 집중하여 설계를 할 경우 설계가 복잡해지고, 설계된 관절 또한 무리하게 커지게 된다.

또한, 관절 메커니즘에 구동기 또는 엔코더를 설치할 경우 각각의 부품별 간섭이 많이 생기게 되며, 이를 통해 어깨 동작이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어깨 부분에 전상방거상 ,후방거상(Flexion/ Extension)과 측상방거상 및 내전(Abduction/ Adduction)의 2자유도 메커니즘을 설계하고 상박(upper arm) 부위에 내/외회전(internal/external rotation) 메커니즘을 설계하여 어깨 관절의 동작범위를 충분히 구현하며, 기구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체의 다른 부분과의 간섭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어깨 관절의 내/외회전의 동작 범위인 0~90°에 맞추어 내/외회전 구동 장치 또한 원통형이 아닌 원통의 1/4형태로 제작된다.

또한, 본 발명은 1/4의 원통 형태로 제작된 내/외회전 구동 장치 내에서 회원운동을 원활히 전달하기 위하여 벨트 풀리, 벨트, 롤러 등을 이용하였고 이를 통하여 회전 운동 전달한다.

이와 같이, 전상방거상, 후방거상( Flexion/ Extension), 측상방거상, 내전( Abduction/ Adduction)의 2 자유도 메커니즘과 구조적으로 떨어져 있는 내/외회전(internal/ extenal rotation) 메커니즘을 구현하여 기구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궁극적으로 어깨 3 자유도를 구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의 전체 결합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절결합체(600)의 일측에 구성된 제1 링크부(100)는 인체의 하박(forearm)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링크부(100)와 연결 결합된 회전링크부(210)는 팔꿈치 관절 부분으로써 구동기(actuator) 또는 엔코더(endcoder) 등을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링크부(210)와 연이어지게 구성된 제2 링크부(200)는 상박에 체결되는 2개의 링크 중 첫 번째 링크로서 4면의 볼 롤러(ball roller)(310)가 결합된 클램프(300)와 연결되어 상기 클램프(300)의 내/외회전 구동 장치(400)의 곡면을 따라 움직이면서 어깨의 내/외회전을 구현한다.

상기 클램프(300)의 내/외회전 구동 장치(400)는 상박의 2번째 링크인 동력부(500)와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동력부(500)에는 어깨의 내/외회전을 구동시키는 구동기 또는 회전 각도를 알 수 있는 엔코더 등이 설치가 된다.

아울러,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의 내/외회전 관절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2는 내/외회전 구동 장치(400)와 볼 롤러(310)가 결합된 클램프(300)의 예시도로서 내/외회전 구동 장치(400)는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3개의 제1,2,3 풀리(410)(420)(430)와 10개의 롤러(440)로 구성되며 이 롤러(440)의 양 끝단에는 베어링(450)이 체결되어 원활한 회전을 돕는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300)에 구성된 첫 번째 제1 풀리(410)는 구동기 또는 엔코더의 제1 풀리(410)와 벨트(460)로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전달하고, 구동장치(400)에 형성된 제2 풀리(420)와 제3 풀리(430)는 도 3번에서와 같이 내/외회전 구동 장치(400) 내부의 10개의 롤러(440)와 함께 벨트(460)로 연결되어 내/외회전 구동 장치(400)의 곡면을 따라 회전운동을 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의 내/외회전 관절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은 내/외회전 구동 장치(400)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제1,2,3 풀리(410)(420)(430)와 롤러(440)에 체결된 벨트(460)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내/외회전 구동 장치(400)의 곡면을 따라 움직이는 벨트(460)에 클램프(300)가 제1 풀리(410) 연결 부품을 통해 연결되어 클램프(300)도 볼 롤로(310)의 도움을 받아 내/외회전 구동장치(400)의 곡면을 따라 원활히 움직이게 된다.

아울러,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의 내/외회전 관절의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는 본 발명로 16개의 볼 롤로(310)가 설치된 클램프(300)의 예시도로서, 볼 롤로(310) 끝단에 있는 볼이 내/외회전 구동 장치(400)의 곡면과 접하여 회전운동을 하여 클램프(300)가 내/외회전 구동장치(400)의 곡면은 원활히 움직일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클램프(300)의 하단면 부분은 상박(upper arm)의 제2 링크부(200)와 체결되는 부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의 인체 착용 예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체 착용 예시도로서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내/외 회전 구동 장치(400)를 통하여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어깨 관절의 내/외회전(internal/external rotation)을 구현을 할 수 있는 착용형 외골격 로봇 메커니즘을 구현하게 된다.

그리고, 전상방거상, 후방거상(Flexion/ Extension), 측상방거상, 내전(Abduction/ Adduction)의 2 자유도 메커니즘과 구조적으로 떨어져 있는 내/외회전(internal/extenal rotation) 메커니즘을 구현하여 기구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궁극적으로 어깨 3 자유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구부 뿐만 아니라 인체와의 간섭 또한 최소화하는 메커니즘과 사용자의 근력을 증폭시키기 위하여 근전도 센서(Electromyography signal)이나 힘 센서(force sensor) 등을 이용하여 어깨 관절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근력을 보조 및 증폭시켜주는 로봇과 관절과 근육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판단하고 분석하여 가상현실분야나 재활을 목적으로하는 의료분야 등에서 쓰이는 감각 장치(Haptic device)에 적용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구현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의 전체 결합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의 내/외회전 관절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의 내/외회전 관절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의 내/외회전 관절의 클램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의 인체 착용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제1 링크부 200:제2 링크부

210:회전링크부 300:클램프

310:볼 롤로 400:구동 장치

410:제1 풀리 420:제2 풀리

430:제3 풀리 440:롤러

450:베어링 460:벨트

Claims (5)

  1. 인체 어깨 관절에 착용형으로 인체의 하박(forearm)과 연결되는 제1 링크부(100)와;

    상기 제1 링크부(100)의 일측에 회전링크부(210)가 결합되어 연이어지게 구성되는 것으로상박에 체결되는 2개의 링크 중 첫 번째 링크인제2 링크부(200)와;

    상기 상박(upper arm)의 제2 링크부(200)와 하단면 부분이 체결되면서 제2 링크부(200)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4면의 볼 롤러(ball roller)(310)가 결합된 클램프(300)와;

    상기 클램프(300)와 연결되어 클램프(300)가 곡면을 따라 움직이면서 어깨의 내/외회전을 구현하는 구동 장치(400)와;

    상기 클램프(300)와 연결되는 내/외회전 구동 장치(40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상박의 2번째 링크인 동력부(500);로 구성된 관절결합체(600);를 특징으로 하는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100)에 연결 결합된 회전링크부(210)와 동력부(500)에 구동시키는 구동기와 회전 각도를 알 수 있는 엔코더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400)는,

    볼 롤러(310)가 결합된 클램프(300)와 결합된 것으로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3개의 제1,2,3 풀리(410)(420)(430)와 10개의 롤러(440)로 구성되며, 상기 롤러(440)의 양 끝단에는 베어링(450)이 체결되어 원활한 회전을 돕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300)에 구성된 첫 번째 제1 풀리(410)는 벨트(460)와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전달하고, 구동장치(400)에 형성된 제2 풀리(420)와 제3 풀리(430)는 내/외회전 구동 장치(400) 내부의 10개의 롤러(440)와 함께 벨트(460)로 연결되어 내/외회전 구동 장치(400)의 곡면을 따라 회전운동을 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300)는,

    16개의 볼 롤로(310)가 설치된 것으로 볼 롤로(310) 끝단에 있는 볼이 내/외회전 구동 장치(400)의 곡면과 접하여 회전운동 시 클램프(300)가 내/외회전 구동장치(400)의 곡면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

KR1020070101190A 2007-10-09 2007-10-09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 KR101122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70101190A KR101122750B1 (ko) 2007-10-09 2007-10-09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070101190A KR101122750B1 (ko) 2007-10-09 2007-10-09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90037511A KR20090037511A (ko) 2009-04-16
KR101122750B1 true KR101122750B1 (ko) 2012-03-23

Family

ID=4076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070101190A KR101122750B1 (ko) 2007-10-09 2007-10-09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 KR1011227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CN103908394A (zh) * 2014-04-02 2014-07-09 华中科技大学 一种便携式二自由度腕关节康复机器人
KR101471385B1 (ko) * 2013-04-04 2014-12-10 (주)케이엔알시스템 상지 착용로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628397B1 (ko) * 2010-11-30 2016-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착용식 로봇의 어깨관절 구조체
KR101227861B1 (ko) * 2011-01-27 2013-01-31 근로복지공단 상지근력보조기구
KR101234517B1 (ko) * 2011-04-22 2013-02-19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복합 관절 운동용 재활기구
KR101979707B1 (ko) * 2017-11-23 2019-05-17 (주)한국미래기술 착용로봇의 팔 장치
CN111603361B (zh) * 2020-05-22 2022-04-15 余姚市菲龙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机械外骨骼数据采集控制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651639B1 (ko) 2005-12-30 2006-12-0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의 발바닥 압력 센서
  • 2007
    • 2007-10-09 KR KR1020070101190A patent/KR1011227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651639B1 (ko) 2005-12-30 2006-12-01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지능형 근력 및 보행 보조용 로봇의 발바닥 압력 센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471385B1 (ko) * 2013-04-04 2014-12-10 (주)케이엔알시스템 상지 착용로봇
CN103908394A (zh) * 2014-04-02 2014-07-09 华中科技大学 一种便携式二自由度腕关节康复机器人
CN103908394B (zh) * 2014-04-02 2016-06-01 华中科技大学 一种便携式二自由度腕关节康复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090037511A (ko)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1122750B1 (ko) 2012-03-23 어깨관절 내회전/외회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장치
Tadano et al. 2010 Development of grip amplified glove using bi-articular mechanism with pneumatic artificial rubber muscle
CN107773389B (zh) 2021-06-22 运动辅助设备
US7862524B2 (en) 2011-01-04 Portable arm exoskeleton for shoulder rehabilitation
US8635929B2 (en) 2014-01-28 Robot joint driving apparatus, robot having the same and cable linkage method of robot joint driving apparatus
KR102250260B1 (ko) 2021-05-10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US20110251533A1 (en) 2011-10-13 Wearable robotic system for rehabilitation training of the upper limbs
Rahman et al. 2012 Development and control of a robotic exoskeleton for shoulder, elbow and forearm movement assistance
KR101471385B1 (ko) 2014-12-10 상지 착용로봇
KR100810004B1 (ko) 2008-03-07 인체하지 착용형 근력지원로봇
JP2007097636A (ja) 2007-04-19 筋力補助装置
JP2007167484A (ja) 2007-07-05 筋力補助装置
US20190001487A1 (en) 2019-01-03 Systems and methods for tendon-driven robotic mechanisms
KR101295966B1 (ko) 2013-08-13 파워 수트
KR101965070B1 (ko) 2019-04-02 탄성구조체, 탄성구동기 및 이를 구비한 착용형 로봇
CN107690375B (zh) 2021-03-02 轻便式动力关节装置和下肢助力外骨骼设备及其控制方法
KR20200093056A (ko) 2020-08-04 신체 부위를 이동하기 위한 구동 어셈블리
KR101983377B1 (ko) 2019-05-28 운동 보조 장치
JP2013074920A (ja) 2013-04-25 四肢関節部装着装置
KR101026105B1 (ko) 2011-04-05 어깨 관절 3자유도 구현을 위한 착용형 로봇 메커니즘
KR101716761B1 (ko) 2017-03-15 착용 가능한 다자유도 회전중심 일치형 근력보조 관절
KR102399605B1 (ko) 2022-05-18 동력 전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CA3158757A1 (en) 2021-06-10 System for guiding motions of a target joint
Chay et al. 2014 Upper extremity robotics exoskeleton: Application, structure and actuation
Ang et al. 2019 3D printed soft pneumatic actuators with intent sensing for hand rehabilitative exoskeletons
DateCodeTitleDescription
2009-04-0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2011-03-1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1-11-2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2012-0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2015-02-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4

2016-02-0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5

2017-01-0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2018-04-0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7

2019-03-2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