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m2008 윈도우10 - Fm2008 windou10

어떻게 보면 제 첫 조립 PC가 아닌가 싶습니다. 94년에 삼성 매직스테이션으로 시작해 그 다음 세진컴퓨터 세종대왕, 이후 군 전역후 어머니가 전역 선물로 사주신 하이마트표 HP컴퓨터가 제가 구입한 마지막 컴퓨터입니다.

이후 외국을 나가게 되어 부득이 노트북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그 컴팩트함과 편리함에 반해 지금까지 근 10년을 노트북만 써온거 같습니다. 사실 제게 데탑이 필요없다고 생각한게 제 사용 패턴 상 굳이 데탑을 쓰지 않아도 성능에 큰 불만을 갖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LG xNote로 시작해서 쏘니, 델, 레노버, MSI 등등 매년 노트북을 바꿔가며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누워서 해도 되고 엎드려서 해도 되고 소파에 앉아서도 자유롭게 이용하는게 너무 편리했거든요. 단순계산으로 노트북에만 쓴 돈 합쳐보면 거의 1500만원에 육박하는거 같네요.

저는 게임을 즐겨하지는 않지만 유일하게 하는 게임이 있는데 다들 아시는 Football Manager 입니다.
도스, 윈도95,98 시절 고전게임 이후 스타 이외의 게임은(스타도 고전게임...) 전혀하지 않던 제가 우연히 잡게되고 그 자리에서 거의 24시간을 플레이 한 이후 아직까지 즐기고 있습니다.

체력소모가 없는점, 실시간 게임이 아니고 경쟁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저같이 느긋하고 게으른 사람에게는 아주 맞춤형 게임입니다.

한때 PGR에서도 유행이 들었는데 그때 얼마나 반갑웠는지 모르겠습니다.
당시 pgr에서도 한창 fm 으로 뜨거웠던 시기가 있었는데 그때 pgr식(?) 의 fm 이야기는 참 즐거웠습니다.
다른 유저들의 성토에 유게에서 제목에 당시에는 생소했던[fm] 이라는 말머리를 붙일 정도였으니까요.

여담이지만 fm2005 부터 시작한 제가 가장 좋아하는 fm 시리즈는 fm2008 입니다.
뭐,,, 바둑알의 마지막 버전이기도 하고 수많은 슈퍼스타들이 전성기였고 신예들의 성장으로 축구판의 세대교체의 시기였기에
게임 자체도 재밌었지만 수많은 스타들을 게임상에서 볼 수 있다는 점에 중독되어 헤어나오질 못했으니까요. 능력치를 외울 정도로...
지금도 컴에 깔려 있습니다. 물론 게임을 하지는 않습니다.. 시도해 봤지만 힘들더군요ㅜㅜ 추억은 추억으로 남기고요.

또 하나 fm2008이 제게 의미있는 이유는 제가 처음으로 노트북을 사용해서 했던 게임입니다. 게임 특성상 아주 편하게 자리잡고 플레이 해도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게임이라 그 이후부터는 오직 노트북으로만 fm 을 해 왔습니다.
심지어 화장실에서 해도 전혀 문제가 안됐으니깐요.

그런데 얼마 전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여느때처럼 fm2017을 노트북으로 신나게 돌리고 있는데 갑자기 블루스크린이' 파파밧' 뜨더니 컴퓨터 사망 선고를 받았습니다.
동네 컴퓨터 가게에 들고 가서 원인 조사를 했는데 과부하로 인한 CPU 사망, M/B 심각한 데미지로 밝혀졌습니다....

그제서야 그 동안 제 노트북이 많이 힘들어 했다는걸 떠올렸습니다. 플레이 좀 하다보면 하판이 손이 데일 정도로 발열이 일어나고 거기에 엄청난 소음을 내며 힘겨워하던 녀석을 저는 휴식도 없이 계속 괴롭혀 왔더라구요. fm.. 결코 저사양 게임 아닙니다.

이때의 현자타임이 참 길었습니다.

그리고 결정했죠. 데탑 한대 맞추기로.... 같은 돈 써가며 (혹은 그 이상) 가성비 떨어지게 사용을 했구나 싶은 생각이 들었어요.
최근에는 여러 사정상 집에서 노트북을 데탑처럼 사용했기에 이제는 노트북에 대한 미련을 버려도 되겠더라구요.

그래!! 나도 한번 고성능의 컴퓨터와 큰 화면을 누릴때가 왔군.. 지금이 그때야.. 넌 자격있어!! 라고 수십번 되내이며
그날부터 눈팅에 들어갔습니다. 견적도 수십번 바뀌었습니다.

i5 --> i7 --> i7 k버전 --> 라이젠 --> i7k --> 라이젠 -->> i7....
1050 --> 1060 --> 1070 --> 1080... --> 1060,..

그러다 결국 최종 선택은
i7-7700k, 1070, ssd512  + 3TB HDD, 32GB 램, 등등
제 능력 한도내에서 가장 럭셔리하게 맞췄습니다. 후후훗~  (와이프도 좋아하더라구요.  50만원 짜리 데탑 참 이쁘다고)

두둥.. ..

그동안 노트북에 포함되어서 별 신경 안 썼던 윈도우까지 정품으로 구매해서(혹시나 하고 베네쥬엘라에서 건너온 시디키 넣어 보는 나란 인간,,,) 설치하고 첫 부팅이 될 때 너무나 감격스러웠습니다.

데몬 구버전을 구하는 것보다 좋은 방법[가상 드라이브]

Posted by 신트

2016. 2. 9. 08:00 03 유틸리티 이야기

03 유틸리티 이야기

가상 드라이브 프로그램으로

가장 유명한 데몬툴즈

 

저도 상당히 오래동안 사용했었는데

로그인 기능이 생기면서

구버전을 구하시는 분이 많은데요

 

Fm2008 윈도우10 - Fm2008 windou10

 

여러 블로그에 파일이 올라와 있는데

블로그에 올라온 설치파일은

보안상 받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악성코드,바이러스,애드웨어 위험)

 

이번 포스팅에서는 좀더 편하고

안전한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공식 루트를 이용합시다>

 

로그인이 없는 버전은 4.49 버전인데

네이버 자료실에 등록이 되어 있고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로그인 기능이 추가되면서

데몬툴즈를 떠난 유저들이 많아지면서

제작사가 로그인 없는 버전이 있다고

열심히 홍보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Fm2008 윈도우10 - Fm2008 windou10

 

이런 상황에서 굳이 위험한

블로그의 설치파일을 받을 필요는 없죠

 

http://software.naver.com/software/summary.nhn?softwareId=MFS_100210

(네이버 자료실  4.49버전 링크)

 

위의 링크로 가셔서

데몬툴즈 다운 하시면 됩니다

 

<윈도우 10과 데몬 구버전>

 

여기서 포스팅이 끝나면 좋겠지만

아직끝나지 않았습니다

 

윈도우 10에서는 데몬툴즈 구버전이

작동하지 않습니다

 

 

Q1. 업그레이드 안하면 되지 않나요?

 

지금은 윈도우 10이 나온지 얼마 안되서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을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윈도우 10을 제외한

구버전 윈도우들의 업데이트가 멈추게 되고

그러면 어쩔 수 없이 업그레이들 해야 합니다

 

윈도우 95,98,xp등의 이전 버전들도

그런식으로 다 사라졌습니다

 

Fm2008 윈도우10 - Fm2008 windou10

 

윈도우 10 에서는 가상 드라이브 기능을

자체적으로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아무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iso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가상 드라이브로 잡히게 되죠

 

Q2. 그럼 이제 데몬 없어도 되나요?

 

iso 파일은 되는데 bin, mdf,mds 등의

다른 이미지 파일은 인식이 안됩니다

 

그래서 아직은 가상 드라이브 프로그램도

필요한 상황이 생기게 되죠

 

Fm2008 윈도우10 - Fm2008 windou10

 

데몬 구버전이 올라와 있는

네이버 자료실의 댓글을 살펴보면

 

데몬툴즈 제작사에서 윈도우 10 에서도

구동하도록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5.0 버전부터는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리고 5.0 버전이 출시되었죠

 

그런데 최신버전을 사용하면

윈도우 10 에서의 문제는 해결 되지만 

로그인을 해야 하는 불편은 그대로 남습니다 

 

다른 방법은 없을까?

 

Fm2008 윈도우10 - Fm2008 windou10


WinCDEmu 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무료 프로그램이며

로그인을 하지 않아도 되고


윈도우 10에서도

정상적으로 잘 작동합니다


http://wincdemu.sysprogs.org/

(WinCDEmu 홈페이지 링크)


해당 프로그램은

홈페이지에서 받을 수 있는데


위의 링크를 이용하시거나

인터네에서 검색을 하셔서

접속해주시면 됩니다


wincdemu - 윈도우10 작동하는 가상 드라이브

 (관련 포스팅 링크)


2부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과정과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공유하기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성공하고 싶다면 새로운 것에 관심을 가져라

  • 카카오스토리
  • 트위터
  • 페이스북

Trackback: Comment: